KAIST(전기및전자공학부 이정용 교수 연구팀)가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양자점) 층에 직접적인 자외선, 전자빔 처리나 용액 가둠막 없이 고효율을 낼 수 있는 RGB 패턴 발광 다이오드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은 높은 외부 양자 효율과 색 순도를 가지고, 퀀텀닷 내부의 할라이드 음이온의 종류와 그 비율에 따라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차세대 디스플레이 발광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물질이다. 하지만,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은 용매 분산을 위하여 긴 탄소 사슬을 갖는 절연 유기 분자가 퀀텀닷 주변을 둘러싸고 있어 전자 소자로 적용 시 낮은 성능을 갖게 하고, 패터닝 공정에 사용되는 자외선 및 전자빔 처리에 취약해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픽셀 패터닝 공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정은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주변의 절연성 유기 리간드(결합 분자)를 전하 수송이 유리한 유기 리간드(결합 분자)로 교환해 발광 다이오드 성능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퀀텀닷 내부 할라이드 조성 비율을 조절하는 할라이드 음이온 교환을 통해 퀀텀닷 박막의 발광 색상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페로브스카이트
최근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 혈당을 측정하는 등의 헬스케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같은 기술에 사용되는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광검출기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된 광검출기의 제작 방식은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하기 어렵고, 공정 단계가 많아 공정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열에 약한 유연기판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DGIST(총장 국양)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권혁준 교수는 미국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의 Jake Yoo 박사, UNIST 서준기 교수팀과 함께 디지털 레이저 산화 공정을 통해 한번에 내 마음대로 반도체 물질을 형성할 수 있는 ‘구리 산화물 기반의 동질접합 광검출기’를 개발했다. 권 교수팀은 단 한번의 디지털 레이저 산화 공정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유연 광검출기를 제작했다. 나아가 자유자재로 디자인할 수 있다는 디지털 레이저 산화 공정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채널 크기의 광검출기를 제작하여 광응답 특성을 함께 규명했다. 그 결과, 유연한 구리 기반의 동질접합 광검출기 제작에 성공했다. 권교수팀은 광검출기의 공정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