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GitHub)가 자사 플랫폼 전반에 적용되는 새로운 협업 기능인 ‘에이전트 패널(Agents Panel)’을 20일 공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깃허브 사용자는 깃허브닷컴(github.com)의 모든 페이지에서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코파일럿(Copilot)에 작업을 맡기고, 개발 흐름을 방해받지 않고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코파일럿 프로(Pro), 프로 플러스(Pro+), 비즈니스(Business),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등 모든 유료 요금제 구독자는 이날부터 깃허브닷컴 내 모든 페이지에서 에이전트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에이전트 패널은 깃허브에서 에이전트 기반 워크플로우를 총괄하는 개발자의 ‘미션 컨트롤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가벼운 오버레이 형태로 제공돼, 사용자는 작업 화면을 벗어나지 않고도 코파일럿에 새로운 작업을 할당하거나 진행 중인 작업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코파일럿 코딩 에이전트가 VS 코드(VS Code), 깃허브 모바일(GitHub Mobile), 깃허브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서버와도 통합돼, 개발자들은 어떤 환경에서든 코파일럿과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다. 에이전트 패널
구글 클라우드가 개발자 협업 환경에 최적화된 AI 코딩 도구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을 무료로 출시했다. 이 도구는 제미나이 CLI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개발자가 서로 협업하는 플랫폼과 저장소에서 효율적인 워크플로를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이번에 출시된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은 오픈소스로 제공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새로운 이슈나 풀 리퀘스트 발생 시 프로젝트의 전체 맥락을 파악해 자동으로 작업을 실행한다. 비동기적으로 작동해 개발자는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구글 클라우드는 함께 제공하는 세 가지 오픈소스 워크플로를 통해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인다. 첫째는 지능형 이슈 분류 기능으로 새로운 이슈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분석 및 라벨링, 우선순위 지정이 가능하다. 둘째는 신속한 풀 리퀘스트 리뷰 기능으로 코드의 품질과 스타일을 빠르게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셋째는 온디맨드 협업 기능으로 개발자는 특정 작업을 자연어로 @gemini-cli를 멘션해 직접 위임할 수 있다. 이 모든 기능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수정하거나 새롭게 구성할 수 있다. 보안과 제어 기능도 강화됐다.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은 자격 증명
명확한 사양 기반의 구조화한 개발 방식으로 생산성 및 신뢰성 동시 확보 아마존웹서비스(AWS)가 7월 18일,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자동화하는 통합 개발 환경(IDE) ‘키로(Kiro)’의 프리뷰 버전을 공식 출시했다. 키로는 초기 아이디어부터 운영 환경 배포까지 개발 전 단계를 자동화하며, 기존 AI 코딩 툴의 한계를 넘는 에이전트형 개발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키로의 가장 큰 차별점은 단순한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 기능을 넘어, 명확한 사양 기반의 구조화한 개발 방식을 통해 생산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리뷰 기능을 추가하세요’와 같은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시스템은 사용자 스토리와 수용 기준을 자동 도출하고, EARS 형식 기반의 요구사항을 명세해 기능 구현의 경계를 명확히 설정한다. 이후 키로는 자동화한 기술 설계를 통해 데이터 흐름도, 타입스크립트 인터페이스, DB 스키마, API 엔드포인트를 생성한다. 코드 설계와 문서화가 통합되며, 팀 내 협업 효율성과 유지보수 편의성도 향상된다. 작업 단위로는 단위 테스트, 모바일 호환성, 접근성 등 다양한 구현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작업은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