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함께 26일 서울 서초구 코트라 본사에서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한 글로벌사우스 진출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사우스는 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을 뜻한다. 최근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우리 기업이 진출할 대체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베트남, 인도 등 7개국에 위치한 코트라 FTA 해외활용지원센터 전문가와 국내 FTA 전문 관세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국가별 수출 유망 품목, 통상 규제 대응 전략, 품목별 인증 절차 등을 공유했다. 또한 참가 기업들은 원산지 판정, 인증 획득, FTA 활용상의 애로사항 등에 대해 1:1 맞춤형 자문을 받을 수 있었다. 권혜진 산업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글로벌사우스 시장에서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스마트팜 AI솔루션 개발 기업 어밸브가 한국국제협력단 CTS 과제 선정 어밸브가 베트남 하노이에서 중소농의 스마트팜에 대한 접근성 향상으로 소득을 증대시켜 농가의 소득불균형 해소에 기여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CTS(Creative Technology Solution) 과제는 혁신기술을 통해 개발도상국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글로벌 진출 프로그램이다. 해당 사업은 스타트업, 소셜벤처 혁신가들의 기술에 공적개발원조(ODA)를 적용해 기존 방법으로 해결이 어려웠던 개발 협력 난제에 대한 솔루션을 찾는다. 이번 CTS 과제에 선정된 어밸브는 AI 솔루션을 사용해 현지 초보 농부들이 키우기 어려운 작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팜 회사다. 코이카 CTS 과제를 통해 어밸브는 베트남 중소농들에게 고부가가치 작물 재배의 기회를 열어준다. 어밸브의 AI 기술을 도입하면 베트남 중소농들은 수익률이 낮은 보편적인 작물 재배에 머무르지 않고 인삼, 딸기, 의료용 대마와 같이 고수익 작물들을 기를 수 있게 된다. 베트남의 1인당 국민소득은 약 300만 원인데 반해 베트남 농촌 지역은 평균 90만 원으로 집계되어 농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