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돔이 국제지속가능인증원(IGSC)과 유럽 환경성적표지(EPD) 검증 연동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력기기, 자동차용 복합소재, 전기전자 부품, 건축자재 등 다양한 산업군의 수출 제조기업들이 효율적으로 EPD 검증에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검증을 연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PD는 제품과 서비스의 원료 채취부터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시·공개하는 제도로, 소비자와 기업이 친환경 제품을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대표적인 환경평가 도구다. 글래스돔은 제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데이터를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으로 실시간 수집·분석하고, 규제 요건에 맞춰 보고서로 자동 변환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DPP(디지털제품여권), 배터리 규제 등 다양한 환경 규제에 통합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부터 제3자 검증 연계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민감한 탄소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GSC는 아시아 최초로 인터내셔널 EPD 공인 인증기관으로
Arm은 AMD, 엔비디아와 함께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pen Compute Project, 이하 OCP) 이사회에 합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임명은 AI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형성하는 개방성과 업계 표준을 주도하는 Arm의 역량을 입증하는 것이다. Arm은 OCP 이사회의 일원으로서 메타, 구글,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과 함께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개방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설계 발전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모하메드 아와드 Arm 수석 부사장 겸 인프라 사업부 총괄은 “AI 경제는 컴퓨팅 인프라를 재편하고 있으며 클라우드부터 엣지까지 전례 없는 성능과 효율성, 확장성을 요구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범용 서버에서 AI 전용 랙(rack) 시스템과 대규모 클러스터로 전환하는 유례없는 변화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편으로 엄청난 전력 문제도 당면 과제다. 2025년 기준 AI 랙 한 대는 미국 100가구 수준의 전력을 소비하며 2020년 최고 슈퍼컴퓨터급 성능을 낸다”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차세대 인프라와 함께 빠르게 진화하는 생태계 전반의 개방적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Arm은 통합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인프라로
자동차 산업이 독점적 직렬화/역직렬화(SerDes) 솔루션에서 Automotive SerDes Alliance(ASA)의 개방형 표준인 ASA Motion Link(ASA-ML) 기반 상호운용 생태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ASA-ML은 차량 내 카메라, 센서,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고속 통신 표준으로, OEM 및 티어1 공급업체 중심으로 구현이 확대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ADAS 및 IVI 시스템용 멀티 기가비트 차량 인프라를 제공하는 아비바 링크스(AVIVA Links)와 함께 ASA-ML 칩셋 간 상호운용성을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 두 회사는 여러 공급업체의 ASA-ML 칩셋이 원활히 연동되어 확장 가능한 고속 커넥티비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개방형 표준의 실행 가능성을 증명했다. 이번 성과는 ASA-ML 생태계의 완성도와 자동차 산업 내 확산을 가속화할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ASA는 BMW, Ford, GM, 현대자동차, 기아, Nio, Renault/Ampere, Stellantis, Volvo, Xiaopeng Motors 등 주요 OEM을 포함해 175개 이상의 회원사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ADAS와 차량용 인포
데이터 수집을 넘어 의사결정의 주체로…실시간 공정 제어·예측 유지보수·공장 연결성의 중심에 선 스마트 센서 현대 제조 환경에서 센서는 더 이상 수동적인 데이터 수집 장치에 그치지 않는다. 공장이 점점 더 디지털화되고 상호 연결됨에 따라, 스마트 센서는 공정 최적화와 원활한 공장 연결성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반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은 중요한 매개변수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통신하며, 심지어 교정 조치를 실행하여 품질 관리를 사후 대응적 검사에서 사전 예방적 통제로 전환한다. 데이터 수집에서 지능형 통찰력으로 기존 센서는 온도, 진동, 압력, 치수 정확도 등의 변수를 포착하는 데 있어 제조업에서 항상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전통적으로 외부 시스템이 해석할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좁은 역할만을 수행했다. 반면 스마트 센서는 온보드 처리 및 통신 기능을 통합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장형 AI, 무선 연결성을 갖춘 스마트 센서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사전 처리하고 노이즈를 걸러내며 실행 가능한 정보를 상위 제어 시스템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하
원/달러 환율은 21일 일본 신임 총리 취임 등에 따른 달러 강세의 영항으로 1430원에 근접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거래일보다 8.6원 오른 1427.8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8원 오른 1421.0원에서 출발한 뒤 1419.7원까지 떨어졌다가 수입업체 달러화 결제수요로 상승 압력을 받았다. 오후에는 ‘여자 아베’로 불리는 집권 자민당 다카이치 사나에 총재가 일본 사상 첫 여성 총리로 선출된 영향권에 들었다. 다카이치 총재가 대규모 양적완화, 재정지출 확대 등 ‘아베노믹스’를 계승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엔화 약세, 달러 강세가 촉발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횡보하다가 다카이치 총리 선출 시점부터 상승 전환했다. 달러인덱스는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보다 0.33% 오른 98.819를 나타냈다. 같은 시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1.98원이었다. 전거래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0.05원 올랐다. 엔/달러 환율은 151.557엔이었다. 전 거래일보다 0.6% 올랐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이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연료·전력·데이터가 재편한 바다’라는 기조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선·해양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40개국 10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조선·해운·기자재·플랜트·에너지 등 산업 전반이 참여해 ‘기술의 미래보다 실행 가능한 현재’를 공유했다. 특히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와 GE버노바(GE Vernova),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UL솔루션즈(UL Solutions), 구스토MSC(GustoMSC), CMP츄고쿠페인트(Chugoku Paint), 볼보펜타(Volvo Penta) 등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친환경 추진 기술, 대체연료, 전력관리시스템(EMS) 등 최신 트렌드를 선보였다. 부대행사인 ‘코마린 컨퍼런스 2025(KORMARINE Con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이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연료·전력·데이터가 재편한 바다’라는 기조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선·해양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40개국 10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조선·해운·기자재·플랜트·에너지 등 산업 전반이 참여해 ‘기술의 미래보다 실행 가능한 현재’를 공유했다. 특히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와 GE버노바(GE Vernova),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UL솔루션즈(UL Solutions), 구스토MSC(GustoMSC), CMP츄고쿠페인트(Chugoku Paint), 볼보펜타(Volvo Penta) 등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친환경 추진 기술, 대체연료, 전력관리시스템(EMS) 등 최신 트렌드를 선보였다. 부대행사인 ‘코마린 컨퍼런스 2025(KORMARINE Con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이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연료·전력·데이터가 재편한 바다’라는 기조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선·해양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40개국 10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조선·해운·기자재·플랜트·에너지 등 산업 전반이 참여해 ‘기술의 미래보다 실행 가능한 현재’를 공유했다. 특히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와 GE버노바(GE Vernova),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UL솔루션즈(UL Solutions), 구스토MSC(GustoMSC), CMP츄고쿠페인트(Chugoku Paint), 볼보펜타(Volvo Penta) 등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친환경 추진 기술, 대체연료, 전력관리시스템(EMS) 등 최신 트렌드를 선보였다. 부대행사인 ‘코마린 컨퍼런스 2025(KORMARINE Con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이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연료·전력·데이터가 재편한 바다’라는 기조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선·해양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40개국 10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조선·해운·기자재·플랜트·에너지 등 산업 전반이 참여해 ‘기술의 미래보다 실행 가능한 현재’를 공유했다. 특히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와 GE버노바(GE Vernova),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UL솔루션즈(UL Solutions), 구스토MSC(GustoMSC), CMP츄고쿠페인트(Chugoku Paint), 볼보펜타(Volvo Penta) 등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친환경 추진 기술, 대체연료, 전력관리시스템(EMS) 등 최신 트렌드를 선보였다. 부대행사인 ‘코마린 컨퍼런스 2025(KORMARINE Con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이 지난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렸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연료·전력·데이터가 재편한 바다’라는 기조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선·해양 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40개국 10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조선·해운·기자재·플랜트·에너지 등 산업 전반이 참여해 ‘기술의 미래보다 실행 가능한 현재’를 공유했다. 특히 HD현대·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와 GE버노바(GE Vernova),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UL솔루션즈(UL Solutions), 구스토MSC(GustoMSC), CMP츄고쿠페인트(Chugoku Paint), 볼보펜타(Volvo Penta) 등 글로벌 기업이 참가해 친환경 추진 기술, 대체연료, 전력관리시스템(EMS) 등 최신 트렌드를 선보였다. 부대행사인 ‘코마린 컨퍼런스 2025(KORMARINE
연료·전력·데이터가 한 배에 오른 시대, 조선·해양 산업의 판이 달라졌다 조선·해운의 질서가 구조적 변화를 맞고 있다. 산업의 판이 기술이 아니라 ‘탄소(Carbon)’로 재정의되는 양상이다. 지난 2023년 국제해사기구(IMO)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강화하면서 ▲2030년 최소 20% ▲2040년 70% ▲2050년 넷제로(Net-zero)라는 구체적 이정표를 제시했다. 해양 산업에서도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 ‘선택’이 아니라 ‘이행’의 트렌드가 된 것이다. 이러한 탄소 감축의 해법은 단일 연료에서 끝나지 않는다. ‘연료·전력·디지털’의 삼중 구조 속에서 재편되는 중이다. 액화천연가스(LNG)의 과도기적 지위가 유지되는 사이, 메탄올 듀얼연료선(Methanol Dual-fuel Vessel)은 급속히 늘었다. 암모니아(Ammonia)와 수소(Hydrogen)는 안전성 검증과 규제 프레이밍이 동시에 진행되는 실증 단계에 진입했다. 여기에 ▲배터리 하이브리드(Battery Hybrid) 추진 ▲연료전지 보조 전원 ▲전력전자 고효율화 ▲폐열회수 시스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예지정비·사이버보안 통합 등은 조선·운항·유지보수의
오케스트로의 AI 전문 계열사 오케스트로 AGI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주관 지능형 CCTV 성능 시험인증에서 ‘배회’와 ‘침입’ 항목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으로 오케스트로 AGI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반 경량화 알고리즘의 성능을 공식 검증받으며 공공 및 산업 현장 적용을 본격 확대할 수 있는 기술 신뢰성을 확보했다. KISA의 지능형 CCTV 성능 시험인증은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특정 행위를 지능형 CCTV가 얼마나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제도로‘침입’이나 ‘배회’와 같은 이상 상황을 90% 이상의 정확도로 탐지해야 부여되는 고난도 인증이다. 오케스트로 AGI는 자체 개발한 경량화 영상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기준을 충족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에 인증받은 알고리즘은 초소형 AI 모듈 엔비디아 젯슨 나노(Jetson Nano)에 탑재돼 다양한 IoT 및 CCTV 장비와 연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이상 행동을 실시간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으며 생성형 AI와 결합해 공공 안전과 산업 환경 등 실시간 대응이 필요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오케스트로 AGI는 이러한 피지컬 AI 기
AI 보안 기업 에임인텔리전스가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최대 스타트업 경연대회 ‘Supernova Challenge 2025’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2000여 개 스타트업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에임인텔리전스는 AI 탈옥(jailbreak) 및 오작동을 실시간 탐지·차단하는 기술력으로 심사위원단의 주목을 받으며 최종 우승을 거머쥐었다. 총상금 30만 달러(약 4억 2천만 원)가 걸린 이번 대회에서 에임인텔리전스는 1등상인 10만 달러(약 1억 4천만 원)를 수상했다. 한국 기업이 이 대회에서 우승한 것은 4년 만이다. 결승 무대에는 전 세계 상위 10대 스타트업만이 진출했으며 에임인텔리전스는 독보적인 AI 보안 기술로 글로벌 경쟁사를 압도했다. 회사는 AI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탈옥 시도를 실시간으로 탐지·차단하는 기술을 통해 안전한 인공지능 활용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생성형 AI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로 평가받으며 에임인텔리전스는 ‘AI 보안의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매김했다. 박하언 에임인텔리전스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세계 무대에서 한국 스타트업으로서 성과를 인정받아 영광이며 AI 안전이 전 인류의 공
파수가 미국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조 분야 데이터 보안 전략 확산에 나섰다. 파수는 이달 초 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SEMICON WEST 2025(이하 SEMICON)’와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ManuSec USA 2025(이하 ManuSec)’에 참가해 AI 및 보안 시장 확대 전략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를 통해 파수는 미 제조 산업군 내 주요 기업들과의 접점을 강화하고 산업별 맞춤형 데이터 보안 및 AI 전략을 제시했다. 파수가 참가한 ManuSec은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제조 보안 콘퍼런스이며 SEMICON은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글로벌 행사다. 파수는 두 행사에서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의 주요 보안 이슈로 떠오른 설계도면 등 지적재산권(IP) 유출 방지와 AI 도입 확대를 위한 전략을 공유했다. 또한 공급망 보안 강화를 위해 협업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보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세부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파수는 글로벌 제조 기업의 핵심 자산인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파수 엔터프라이즈 디알엠(Fasoo Enterprise DRM, 이하 FED)’을 소개했다. FED
신탁업자 참여 활성화, 용적률 특례 및 임대주택 인수 가격 기준 등 포함 2025년 10월 21일 정부가 소규모 노후·저층 주거지의 자율적인 정비를 촉진하기 위해 소규모 주택 정비 관련 제도를 대폭 개선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의 사업 요건을 완화하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하 "소규모 주택 정비법") 하위 법령 개정안을 10월 22일부터 12월 1일까지 40일간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새 정부 「주택공급 확대 방안(9.7)」의 후속 조치로 마련되었으며, 지난 8월 26일 개정·공포된 「소규모 주택 정비법」('26.2.27. 시행)에 따른 통합 심의 공동위원회 구성 방법, 임대주택 인수 가격의 세부 기준 등 법률 위임 사항도 포함되어 있다. 9·7 대책 이행을 위한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성 개선국토교통부는 9·7 대책 이행을 위한 「소규모 주택 정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가로 구역 기준 완화 (시행규칙 개정): 현재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도로, 기반 시설로 둘러싸인 가로 구역에서만 시행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사업 시행 구역의 토지 등 소유자가 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