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필먼트 전문 브랜드 ‘품고(Poomgo)’를 운영하는 두핸즈(대표 박찬재)가 신규 풀필먼트 거점인 ‘용인 비엠(BM)센터’를 공식 오픈했다. 이번 센터는 수도권 1일 2회 집배송과 전국 당일배송이 가능한 최적의 입지를 기반으로, 빠른배송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허브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용인 비엠센터는 약 2,400평 규모로 조성됐으며, 오픈 전 진행된 프리세일즈 단계에서 이미 입점이 100% 완료됐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인 국내 유망 브랜드 다수가 입점해, 물류 운영 효율화와 당일배송 서비스 고도화를 목표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신규 거점 오픈으로 품고는 냉장·냉동 풀필먼트센터를 포함해 총 14개 센터, 약 3만 평(축구장 14개 규모)의 전국 물류 인프라를 확보했다. 품고의 성장세는 빠른배송 시장의 확산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다. 2025년 3분기 기준 품고의 누적 국내외 물동량은 전년 대비 약 56% 증가했으며, 신규 고객사 수는 59% 늘었다. 이는 뷰티, 건강기능식품, 일상소비재 등 다품종·소량·당일배송 중심의 시장 구조에 최적화된 품고의 운영체계가 업계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박찬재 두핸즈 대표는 “품고는
쿠팡이 ‘제22회 한국파렛트·컨테이너산업대상’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쿠팡 로켓프레시 품질보증(QA)팀이 유닛로드시스템 컨테이너 부문에서 물류기기 표준화와 새벽배송 콜드체인 혁신을 통해 물류 산업 발전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유닛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은 팔레트나 컨테이너 등 표준화된 단위(유닛)에 여러 상품을 묶어 한 번에 운송하는 물류 방식으로, 개별 상품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전통적인 방식보다 효율성이 크게 높다. 쿠팡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작업자의 안전성과 제품 품질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으며, 현장 운영 효율도 크게 개선하고 있다. 쿠팡은 특히 옥타곤 형태의 물류기기 표준화를 통해 안전·위생·환경을 아우르는 EHS(환경·보건·안전) 기준을 충족시켰다. 해당 개선을 통해 적재 효율은 높이고 물류비용은 절감했으며, 작업자 안전성도 함께 강화했다. 또한 콜드체인 테스트 과정에서 방울토마토와 양산빵의 2차 포장 방식을 개선해 제품 신선도와 품질을 모두 향상시켰다. 특히 꼭지가 없는 방울토마토의 포장 구조를 개선해 유통 중 손상률을 줄이고, 고객에게 더 신선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됐
의료 및 산업용 영상 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자사의 디지털 의료영상 처리 소프트웨어 ‘VXvue’가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시판 전 허가(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뷰웍스는 엑스레이 디텍터와 전용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일체형 시스템을 북미 시장에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되어, 글로벌 의료영상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이번 승인은 뷰웍스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AI 영상처리 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로 FDA의 개별 허가를 받은 사례다. 뷰웍스는 강화된 심사 기준에 맞춰 제품의 임상적 동등성, 품질관리 절차, 사후관리 체계 등을 모두 입증하며 기술적 신뢰성과 규제 대응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VXvue는 뷰웍스가 독자 개발한 의료영상 소프트웨어로, 엑스레이 디텍터를 통해 획득한 임상 이미지를 송출하고 처리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자체 AI 영상처리 알고리즘인 ‘퓨어임팩트(PureImpact)’를 탑재해 연조직과 골격의 세부 묘사를 향상시키며, 의료진이 보다 명확한 진단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인체용, 수의용, 차량 내 검진 등 진료 환경에 따라 최적화된 프리셋 기능을
AI 리터러시 전문기업 에이블런(대표 박진아)이 국내 직장인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GenAI World Report’에서, 직장인 10명 중 9명 이상이 생성형 AI를 실무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5년 9월 2일부터 9일까지 진행됐으며, AI가 이미 업무 현장의 표준 도구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 99.1%가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주요 활용 분야는 ‘문서 작성 및 정리’(99.1%)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자료 분석 및 시각화’(83.9%), ‘이미지 생성 및 편집’(78.3%), ‘발표 자료 제작’(77.0%) 순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영상 제작(43.9%)이나 코딩(37.0%) 등 전문 기술 영역에서도 활용률이 크게 증가해, AI의 범용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 가지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AI를 조합해 쓰는 ‘멀티툴 스택(Multi-tool Stack)’ 트렌드가 두드러졌다. 실제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도구는 챗GPT(57.7%)였으며, 클로드(30.3%), 퍼플렉시티(22.7%), 제미나이(16.8%)가 뒤를 이었다. 직무별로는 마케
원/달러 환율은 12일 엔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한 단계 더 상승하며 장중 1470원을 터치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보다 2.4원 오른 1465.7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부진한 미국 고용 지표의 영향으로 2.3원 내린 1461.0원에서 시작해 1459.2원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오전 내내 강한 상승세를 탔다. 정오 무렵에는 잠시 147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 4월 9일 장중 고가(1487.6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이날 환율 상승은 엔/달러 상승, 즉 엔화 약세와 연동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엔/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2시께 154.784엔을 찍기도 했다. 이는 지난 2월 13일(154.652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엔화 약세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 중지) 종료 국면에서 미국 경제 불확실성이 줄어들며 나타난 달러 강세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0.07% 내린 99.545를 나타냈다. 장중에는 99.6대까지 오르기도 했다. 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온라인 수출과 판로 확대를 위해 협력에 나섰다. 두 기관은 12일 국제우편물류센터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협약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공동물류 지원 사업 등에 선정된 수출 중소기업이 우체국 국제우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물류비 절감을 위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는 해당 기업들에 예산을 지원해 수출 중소기업의 물류비 부담을 대폭 경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은 중소기업 전용 항공 물류센터인 ‘지능형 거래 거점(스마트 트레이드 허브)’에서 중소기업이 국제특급우편(EMS) 등 국제우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이를 통해 수출 중소기업의 국제물류 처리가 한층 원활해지고 물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은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판로 지원을 위한 협업 확대도 포함된다. 우정사업본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들이 우체국 쇼핑몰에 입점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이를 위한 판촉(마케팅) 비용을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한다. 또
·SAP코리아, 창립 30주년 맞아 비즈니스 AI 전략 발표 ·쥴·BDC·시그나비오·아리바 등 통합 솔루션으로 AI 전환 지원 ·CJ제일제당·SAP 사례 중심으로 클라우드 ERP 혁신 강조 SAP코리아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IFC에서 창립 30주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AI와 클라우드 중심의 ‘비즈니스 스위트(Business Suite)’ 전략을 발표했다. 1995년 국내 진출 이후 30년간 한국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온 SAP는 이번 행사를 통해 ‘AI·클라우드·데이터 통합’을 핵심 축으로 하는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비전을 제시했다. 신은영 SAP코리아 대표는 “SAP코리아는 1995년 설립 이후 고객과 함께 성장하며 디지털 전환과 비즈니스 혁신의 동반자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AI 및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해 국내 기업이 더 빠르고 스마트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SAP는 최근 한국어를 공식 지원하는 생성형 AI 비서 ‘쥴(Joule)’과 기업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Business Data Cloud, BDC)’를 국내 시장에 선보이며 AI 기반 업무 혁신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
산업통상부 강감찬 무역투자실장은 12일 경기도 화성시에서 열린 ASML의 ‘화성캠퍼스 준공식’에 참석했다. ASML은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글로벌 반도체 장비 기업으로, 반도체 초미세공정 구현에 필수적인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독점 생산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국내외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에 준공된 ASML의 화성캠퍼스는 심자외선(DUV)·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등 첨단 장비 부품의 재제조센터와 첨단기술 전수를 위한 트레이닝 센터 등을 통합한 ASML의 아시아 핵심 거점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안정성 강화와 기술 내재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SML은 동 캠퍼스를 통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과의 공정 협력 및 기술 교류를 강화하고,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과의 연계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반도체 산업과의 상생형 협력 모델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강감찬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축사를 통해 “외국인 투자는 우리 경제의 혁신과 성장의 핵심 동력임을 강조하고 정부는 현금지원 확대, 입지 세제 혜택 강화, 규제 개선 등 글로벌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iPC 제어기·신규 로봇 2종’ 현장 시연으로 베트남 제조업계 주목 동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현지 협력사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아진엑스텍이 지난 11월 5일부터 7일까지 베트남 박닌에서 열린 ‘VIAF 2025’에 참가해 동남아 스마트 제조 시장의 본격 진입을 알렸다. 이번 전시에서 아진엑스텍은 최신 제어기 ‘iPC 시리즈’와 함께 새롭게 선보인 SCARA 및 수직다관절 로봇 2종을 현장 시연하며 현지 제조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고속·정밀 조립 및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제어 성능은 베트남 산업 현장의 자동화 수요와 맞닿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시 부스에서는 DC Servo, AC Servo 등 다양한 서보 라인업도 함께 전시되어 아진엑스텍의 로봇 구동 기술력과 제어 솔루션의 통합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현지 방문객들에게 공개된 ‘Gen1~Gen6 로드맵’은 회사의 30년 기술 진화를 한눈에 보여주는 핵심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이 로드맵에는 모션칩과 보드부터 일본 필드버스 기반 제품, EtherCAT 보드, iPC 제어기, 소프트웨어 솔루션 ‘RemoteManager’, 그리고 최신 로봇·서보 제품군까지
카스퍼스키가 산업 제어 시스템 보호를 위한 확장형 탐지 대응(XDR) 보안 솔루션 ‘Kaspersky Industrial CyberSecurity(KICS)’의 최신 버전을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산업 제어 플랫폼 전반의 XDR 기능이 강화되고, 보안 설정 관리와 네트워크 가시성이 개선돼 산업 현장의 보안성과 운영 효율성이 한층 향상됐다. 카스퍼스키 ICS CERT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 산업 제어 시스템 컴퓨터의 20.5%에서 악성 객체가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산업 현장이 직면한 보안 위협의 심각성을 보여주며 기업이 핵심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종합적 보안 전략을 시급히 도입해야 함을 시사한다. 카스퍼스키는 이에 대응해 산업 환경 전용 보안 기능을 대폭 업그레이드했다. KICS는 산업 제어 시스템(ICS)을 보호하기 위한 네이티브 XDR 플랫폼으로 단말 보호를 담당하는 ‘KICS for Nodes’와 네트워크 감시 기능을 제공하는 ‘KICS for Networks’로 구성된다. 이번 버전은 XDR 성능을 확장하고 보안 설정 관리 간소화 및 PLC(공정 제어 장비)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해 시스템 전반의 통합 보안
플리토가 대한성형외과학회 주관 ‘PRS KOREA 2025’ 전 세션에 실시간 AI 동시통역 솔루션을 제공했다. 이번 행사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개최됐으며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성형외과 전문의와 의료 관계자들이 참여한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 학술 행사다. 플리토는 행사 통번역 파트너로서 AI 동시통역 솔루션 ‘라이브 트랜스레이션(Live Translation)’을 지원해 참가자 간 글로벌 학술 교류를 원활히 도왔다. 특히 성형외과 분야에 특화된 의학 용어 학습을 통해 전문 의료 용어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고 별도 랜딩 페이지와 자막 병렬 배치 기능을 제공해 실시간 번역 경험을 개선했다. 청중은 메인 스크린을 통해 한국어·영어 번역 자막을 확인했으며 세션별 QR코드를 통해 최대 42개 언어로 번역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존 학술대회와 달리 모든 발표 공간으로 AI 동시통역 지원을 확대했다. 플리토는 기조 세션 중심 제공에 머물던 기존 범위를 넘어 모든 세션에 통역 시스템을 적용해 참가자 누구나 언어 장벽 없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다. 플리토는 이미 안티에이징학회, 한일성형학회,
Moxa의 공식 한국 총판인 여의시스템은 차세대 산업용 Modbus 게이트웨이 ‘MGate MB3170/MB3270/MB3470-G2 시리즈’를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Moxa MGate G2 시리즈는 RS-232/422/485 기반 설비를 Ethernet 네트워크로 손쉽게 연결해주는 고성능 Modbus 게이트웨이로, Modbus RTU/ASCII ↔ Modbus TCP 변환을 지원한다. 또한 Agent Mode(능동 폴링 및 데이터 캐싱 기능)를 통해 대규모 시스템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구현한다. 이번 신제품은 IEC 62443-4-2 기반 Secure Boot 구조, 듀얼 이더넷 서브넷, 웹 기반 트래픽 진단, -40~75°C 동작 온도 등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보안성과 내구성을 제공한다. 비표준 Modbus 및 제조사 고유 프로토콜도 지원해 다양한 설비 브랜드 간 통신 호환성을 보장한다. MGate G2 시리즈는 전력, 해양, 석유화학, 데이터센터 등 스마트팩토리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여의시스템은 Moxa의 기술 트레이닝 자격을 보유한 국내 유일 파트너로, 단순 총판을 넘어 산업용 네트워크 솔루션의 기술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히타치 밴타라(Hitachi Vantara)가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복구 전문기업 인덱스 엔진스(Index Engine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AI 기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한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인덱스 엔진스의 AI 기반 데이터 무결성 분석 솔루션 ‘사이버센스(CyberSense)’가 히타치 밴타라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VSP One Block’과 통합됐다. 이를 통해 변경 불가 스냅샷(Safe Snap)을 기반으로 백업된 클린 데이터를 신속히 복원해 랜섬웨어 공격 발생 시 안정적인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통합 솔루션은 AI 기반 랜섬웨어 탐지, 데이터 불변성, 복구 보증을 결합한 업계 유일의 기술로 99.99% 수준의 탐지율과 최대 2배 향상된 복구 속도를 제공한다. ESG(Enterprise Strategy Group)의 검증을 받은 이번 시스템은 AI가 분석한 ‘변경 불가능한 스냅샷’을 활용해 수 초 내 복구를 지원하며 다운타임과 재감염 위험을 최소화한다. 히타치 밴타라와 인덱스 엔진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각자의 기술 역량을 결합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고객에게
모두솔루션이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SMATEC 2025)’에 참가해 지스타캐드(GstarCAD), PTC Creo·Windchill, 도면배포시스템(MDDS)을 중심으로 스마트 제조 혁신을 제시했다. 전시기간 동안 1400명 이상이 부스를 방문하며 현장 관람객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전시는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산업의 기술 흐름을 공유하는 국내 대표 전시회로, 제조·설계 전문가와 기업 관계자가 대거 참여했다. 모두솔루션은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최고의 선택’을 주제로 CAD부터 PLM, IoT, 도면 관리까지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2D영역에서 지스타캐드는 빠른 속도, DWG 호환성, 합리적인 비용, 직관적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현장 엔지니어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 환경으로 설계돼, 관람객들은 직접 체험을 통해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확인했다. 3D 설계 영역에서는 PTC Creo와 3D FastView가 주목을 받았다. Creo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MBD, AR 등 최신 기능을 지원해 스마트 제품 개발의 혁신 방향을 제시했고 3D FastView는 다양한 3D 형상을 빠르고 가볍게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실무자들의 관
노타는 소아·청소년 호흡음을 스마트폰으로 분석하는 AI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고, 성북 우리아이들병원에서 진행한 임상 실증을 86% 이상의 정확도로 완료하며 기술 실효성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폐렴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은 소아와 고령층에서 사망률 1위를 차지할 만큼 조기 대응이 중요하지만, 아날로그 청진 방식의 특성상 데이터 축적과 객관적 분석이 어려워 정확한 상태 파악과 진단 표준화에 한계가 있었다. 노타는 이번 실증을 통해 소아청소년 호흡음 데이터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의료 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호흡기 질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 소리 기반 의료 데이터는 대부분 의료진의 청음에 의존해 표준화가 어려운 영역이며, 특히 10세 미만 소아의 호흡음 데이터는 극히 제한적이다. 노타는 연간 내원 환자 50만 명 규모의 성북 우리아이들병원과의 실증을 통해 소아청소년의 이상 호흡음을 구별하는 AI 모델을 고도화하고 표준화했다. 또한 수집한 호흡음 데이터를 병원 진료 기록과 비교 분석하여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번에 실증한 이상호흡음 AI 진단 모델은 청진기를 통해 들리는 호흡음이 아닌 신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음을 기반으로 호흡 이상을 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