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톰로봇코리아(Atomrobot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델타 로봇(D3 Series)과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톰로봇코리아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정밀 델타 로봇과 효율적인 물류 적재 자동화를 위한 팔레타이저 솔루션을 공개하며, 제조업 및 물류 산업에서의 혁신적인 자동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D3 시리즈 델타 로봇은 검증된 설계의 고속 병렬 로봇 구조를 채택해 X, Y, Z축의 3차원 공간 이동 및 Z축 회전을 지원하는 자동화 솔루션이다. 고정밀 머신 비전 시스템을 장착해 식품 및 제약 산업과 같은 고속 생산 작업에 적합하며 가벼운 소형 부품 또는 무작위 재료의 조립, 이송, 분류 작업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는 고효율 적재 및 이송 작업을 위해 설계
스탠다드 로봇(Standard Robots)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첨단 자율이동로봇(AMR) 솔루션 ‘OASIS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스탠다드 로봇은 이번 전시를 통해 최첨단 제조업에서 활용되는 AMR(Autonomous Mobile Robot) 솔루션을 시연하며, 반도체·전자·공장 물류 산업을 위한 혁신적인 물류 자동화 기술을 선보였다. OASIS SMT-E2는 더블 레이어(Double-layer) 설계를 적용해 자재 적재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AMR이다. 이를 통해 운송 효율을 극대화하여 생산 라인의 가동률을 향상시키며, 고속 자동화 공정에서 무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OASIS 300EL은 반도체 산업을 위한 초정밀 AMR 솔루션으로, 정밀한 물류 이동과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전아이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Zebra 고정형 스캐너 및 머신비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Zebra의 고정형 산업용 스캐너는 부품과 패키지의 자동화된 추적 및 조회 기능을 지원하며, 생산, 보관, 풀필먼트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판독 성능을 제공한다. Zebra의 머신비전 시스템은 운영 개선을 위한 스마트 카메라 솔루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단순한 추적부터 복잡한 품질 검사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전아이즈는 머신 비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렌즈, 프레임 그래버,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며, 최적화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여러 글로벌 비전 브랜드의 공식 한국 대리점으로서, 최신 머신 비전 제품
카덱스(Kardex)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동화 보관 및 피킹 솔루션 ‘카덱스 셔틀(Kardex Shuttle)’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오토스토어의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 솔루션인 ‘스타터 그리드(Starter Grid)’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카덱스는 자동화된 보관 및 물류 시스템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피킹 속도를 향상시키는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제조업 및 물류창고 운영 기업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을 공개했다. 카덱스 셔틀(Kardex Shuttle)은 수직 리프트 모듈(Vertical Lift Module, VLM) 제품군에 속하며, 기계의 전면과 후면에 트레이를 2열로 수직 보관하는 시스템이다. 옵티플렉스(Optiflex) 기술을 활용해 각 트레이에 보관된 상품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용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10GigE속도를 지원하며 바우머가 제공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해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하다.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바우머는 190개국의 39개의 지사를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자동화 공정을 위한 센서, 엔코더, 프로세스 센서, 산업용 카메라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로 다양한 어플리
엑소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납땜인두 장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엑소가 소개한 디지털온도 조절형 인두기는 팁 히타 일체형 인두기 구조로 실시간 온도 회복이 가능하다. 딥 깊숙이 K 타입 센서가 내장돼 팁끝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온도변화에 빠르게 대응한다. 또한 자동 납땜 로봇인 탁상용 4축 솔더링 로봇은 한국에서 생산해 신속한 A/S가 가능하다. 팁을 직접 생산함으로써 작업 대상에 적합한 팁을 개발해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국내 최초의 납땜인두 및 PCB 관련 장비 전문회사인 엑소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납땜인두와 전자공구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용 납땜인두에서 PCB관련 장비와 주변기기까지 엑소의 전제품은 철저한 품질관리로 생산된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
아미쿠스(AMICU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페어이노(Fairino) 협동 로봇과 DH-Robotics 전동 그리퍼를 핵심 제품으로 한 차세대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미쿠스는 페어이노 협동 로봇의 한국 총판을 맡아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협동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협동 로봇과 스마트 그리퍼를 결합한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및 작업 안전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미쿠스의 핵심 기술력을 집약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미래형 자동화의 비전을 제시했다. 페어이노 협동 로봇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높은 안전 기능을 갖추어 작업자와의 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높은 정밀도와 반복 작업 능력을 제공해 다양한 산업 환경에 적
프락스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소형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초소형 1.0mm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는 기존 검사 장비로 접근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이나 정밀 부품 내부까지 정밀한 화상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약 2m 길이의 헤드 케이블을 갖추어 반도체·전자기기 점검, 의료 기기 검사, 정밀 기계 내부 진단, 자동차 및 항공 부품 검사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프락스코리아는 프락스 본사의 선진 기술력을 기반으로 2006년 설립되었으며, 급변하는 전자 산업에서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들의 개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속적인 첨단 기술 교육 및 본사 연수를 통해 최첨단 전자기기 및 제품을 연구·개발하는 고객에게 최상의 품질과 솔루션을 제공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
티엘씨테크퍼스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고조도 라이팅 박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티엘씨테크퍼스트가 출시한 ZLB-A-W는 초고조도 라이팅 박스로 700만Lux의 조도를 달성한 제품이다. 세부 결함 검출이 요구되는 외관 검사 및 고속 이동 대상 검사에 활용된다. 고조도 필요한 현미경의 동축 광원 사용이 가능하다. 350W Metal Halide 램프에 대비해 조도를 2.5배 이상 실현했다. 티엘씨테크퍼스트는 비전 검사 조명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에 최적화된 비전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FPD 시장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철강, 자동차, FA(Factory Automation) 검사 분야까지 폭넓은 비전 솔루션을 공급하며, 조명, 카메라, 렌즈 및 관련 액세서리를 활용한 맞춤형 검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3D
씨씨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광택 및 입체 형상 샘플을 위한 검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광택 및 입체 형상 샘플을 위한 외관 검사 솔루션은 광택이 있거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공작물의 외관 검사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주문 제작 조명과 포토메트릭 스테레오 방식을 활용했다. 이 솔루션은 분할 링 조명 시스템을 적용해 빛의 균일한 조사가 어려운 광택 표면에서도 이물질 및 요철 부분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영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카메라·렌즈·영상처리 장치 등과 함께 토탈 시스템 형태로 제공 가능하다. 씨씨에스는 머신비전용 LED 조명 제조 및 솔루션 제공, 산업용 센서 유통 및 공급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머신비전 기술을 활용해 생산 현장의 자동 검사 및 시각 검사 대체 솔루션을 개발하며, 1,600개
엘퓨젼옵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정밀 검사용 광학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FINE 시리즈는 고해상도와 높은 수치 조리개(N.A.)를 제공하는 정밀 검사용 광학 렌즈로, 최적의 검사 솔루션을 지원한다. 텔레센트릭 및 일반형 렌즈 옵션을 제공하며, 왜곡이 적고 균일한 MTF 성능을 갖추고 있어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외부 및 내부 동축 조명 지원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엘퓨젼옵틱스는 광학 기술과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산업용 정밀 계측 및 검사 광학 시스템을 연구·개발하는 기업이다.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고성능 광학 제품을 제작하며, 광학 렌즈 및 광학 시스템의 설계부터 제작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엘퓨젼 옵틱스는 산업용 렌즈 이외에도 인피니티 코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OTTO 100 자율주행로봇(AMR)을 선보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산업용 자동화 장비 및 스마트 제조 기술을 제공하며 공장 운영 최적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제품군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시스템을 포함하며 특히 제조업·에너지·자동차·물류 및 식음료 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본사를 두고 현재 2만 7천여 명의 직원이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고객을 위해 일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선보인 자율주행로봇 OTTO 100은 공장 자동화에서 생산 물류를 지원하는 소형 AMR 제품으로, 최대 페이로드 150kg까지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이다. 인공지능과 첨단 3D 카메라 센서를 탑재해 공장이나 물류센터 내에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 운행한다. 좁은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연성을
스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레이저 가공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3D LASER Marking System은 3D 스캐너 기반의 레이저 가공 시스템이다. 복잡한 형상의 레이저 가공이 가능하며, 3차원 데이터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 자동 소재탈피 및 자동 용접 시스템을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에나멜 제거 및 피복 제거 가능하다. 또한 권선 제거 및 용접에 활용할 수 있다. 스톰은 국내 제작을 기반으로 고품질 레이저 마킹기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이다. 자동차, 기계, 조선,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후 식품, 음료, 전자, 제약, 화학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산업별 맞춤형 레이저 마킹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하여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사용 환경을
풍림무약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새로운 컨셉의 전동형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풍림무약이 소개한 Computar Lens Connect Series는 USB 연결을 통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동형 렌즈이다. 이 렌즈는 Focus, Iris, Zoom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품이다. 플로팅 시스템을 적용해 어떠한 위치에서도 고해상도를 유지하며, 장비 내부 또는 손이 닿지 않는 환경에서도 조정이 가능하다. 스테핑 모터를 활용한 미세 조정 기능으로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타사의 리퀴드 렌즈와 달리 중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우수한 반복성을 갖추고 있다. 풍림무약은 1974년 설립 이후 화상광학 제품, 의약품 원료, 화장품 원료, 화학 원료의 수출입 및 의약품 제조를 수행해왔다. Computar Lens는 40년
애니텍테크놀로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각종 산업용 단자대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애니텍테크놀로지는 Barrier type, Euro type, Din-rail type 등으로 구성된 단자대와 라운드 소켓(Round Socket)을 참관객에게 선보였다. 특히, 컨트롤러 등 현장 설비의 전선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단자대 제품을 소개하며, 효율적인 배선 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일반 표준 제품부터 고객 맞춤형 주문제작 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 애니텍테크놀로지는 전자부품 분야의 사출, 금형, 스탬핑 제품을 OEM·ODM 방식으로 공급하는 글로벌 제조업체로, 고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생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 심천과 상하이에 대규모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단자대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부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