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매출 100억원… 거침없는 성장은 계속된다 한국이구스가 거침없는 성장의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e체인, dry테크 제품군으로 산업화 장비에 종합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한국이구스는 매년 150여 개의 신제품을 출시하며 연평균 20%의 성장을 지속했다. 올해는 매출액 100억원을 목표로 사옥 확장 이전과 함께 인력도 확충했다. 앞으로 계획은 이구스의 케이블과 베어링의 경쟁력 있는 이점을 앞세워 인지도를 높여나가는 한편 e체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장에 접근해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이날 인터뷰에는 e체인 담당에 홍영기 차장, 베어링 담당 김성우 과장, 케이블 담당 권태혁 과장이 함께 자리했다. Q. 올해로 창립 12년째다. 얼마나 성장했다고 보는가? A. 한국이구스는 2001년도 국내 법인을 세운 지 12년 만에 약 90배의 매출 증대와 함께 100배에 육박하는 성장을 거두었다. 또한, 전 세계 57개 지사 중 한국이 매출액 부문 10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20% 이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2012년에는 히든 챔피언의 반열에 올라 매출과 규모 면에서 국내 대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우량 강소기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고객들이 한국이구스의 제
데스크탑 로봇 데스크탑 로봇 ‘DTR-M’은 ‘DTR-M’은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몸체를 설계해 중량을 60kg에서 27kg으로 55%까지 감소시켰다. 또한 제품 외형은 기존 제품보다 약 30% 줄인 콤팩트한 디자인이지만 동일한 작업 공간과 생산량을 확보했다. 그뿐만 아니라 부품을 이동하는 중량은 기존 제품보다 50% 증가한 15kg까지 제어할 수 있어 최대의 파워를 구현한다. 이 로봇은 가전, 모바일, 자동차 등 정밀한 IT제품 생산에 활용된다. 동부로봇 TEL : 032-329-5551 www.dongburobot.com 스카라 로봇 초고속 스카라 로봇은 최대 속도 1만mm/s, 최대 가반하중 20Kg으로 고효율적인 동력전동기와 소형로봇을 이용, 고속의 고강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형 스카라 로봇은 400ARM으로 최소 설치공간을 구현하며, 6000mm/s 및 최대 가반하중 5Kg으로 고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들 로봇은 수직, 수평운동을 통해 각각의 원하는 제품을 조립, 이송 및 디스펜싱, 나사체결기 등이 가능해 자동차 부품제조라인에 많이 적용된다. 로보스타 TEL : 031-400-3600 www.robostar.co.kr 스카라 로봇 스카
‘KR 1000’ 타이탄 조립라인 불량률 제로를 구현하다 중국 후이샨(Huishan)에 새로 건립된 대형 디젤 엔진 제조 공장은 연간 125,000대 용량의 규모를 자랑한다. 이 공장은 최근 700kg 고중량 실린더 블록을 핸들링하는 KUKA 로봇 ‘KR 1000’타이탄을 도입하며 조립라인에서 불량률 제로라는 높은 품질 수준을 달성했다. FAW Group은 중국 최대 자동차 제조사이다. FAW Jiefang Automotive Co., Ltd.의 Wuxi Diesel Engine Works는 FAW Group Corporation의 100% 자회사로 2012년 2월 후이샨에 대형 디젤 엔진 제조공장을 가동했다. FAW Jiefang 사는 이런 미래지향적 투자로 현대적 대형수송차량 제조 분야에서 그 입지를 공고히 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중국 내수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처음부터 FAW는 이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중대형 상용차 생산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이 생산라인의 특징으로 현대적 제조 공정, 최신 생산장비 및 엄격한 품질관리 체계를 들 수 있으며, 모든 라인에서 유연성, 효율성, 상황별 자동화율과
제조용 로봇 단순 동작 넘어 지능화되다 로봇의 지능화는 인간의 작업을 분석하여 로봇화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봇 지능화 기술은 탁상공론으로 결코 구현될 수 없으며, 작업 현장에서 로봇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생산성 혁신을 달성하고자 할 때 비로소 발전할 수 있다. 한국 제조업의 위기가 뉴스거리가 된 지도 여러 해가 지났지만, 근년에는 수치 지표로 구체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핵심 생산인구가 200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거나, 인구 감소와 제조생산 인구의 고령화가 이대로 진행된다면 2020년부터는 한국의 잠재 성장률이 2%대로 하락한다거나 하는 예측이다. 최근에 세계적인 경제 침체에 엔저 현상까지 맞물려서 국내 제조업계는 유례없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세계 경제의 중심이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기울고 있다는 이른바 글로벌 틸팅(global titling) 현상에서 한국은 여전히 수혜자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필자는 몇몇 글로벌 산업을 제외하면 여전히 자동화와 로봇화가 부족한 산업계에 진일보한 자세로 로봇을 도입하고 보급해 생산성의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내에 제조업용 로봇이 본격적으로
TI가 업계 최저전력 정전식 터치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정전식 터치 솔루션 개발을 한층 수월하게 해주는 새로운 MCU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센서 튜닝 GUI, 설계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번에 개발된 TI의 MSP430™ MCU는 버튼당 평균 1μA 미만의 전류로 초저전력 동작을 지원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가전기기, 액세서리와 같은 정전식 터치 버튼, 슬라이더, 휠, 근접 애플리케이션에 업계에서 가장 뛰어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MSP430 정전식 터치 에코시스템의 지원을 원하는 개발자들은 www.ti.com/cte-pr-lp에서 설계 작업 전반에 걸친 설계 가이드, 소프트웨어 툴, MCU 지원 등 포괄적인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TI의 확장된 오픈 소스 MSP430 정전식 터치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버튼, 슬라이더, 휠 및 근접 정전식 터치 애플리케이션 설계에 최근 출시된 MSP430G2xx5 밸류라인 디바이스 및 울버린 MSP430FR58xx/FR59xx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최신 디바이스는 정전식 터치 기능을 탑재하고 가격에 민감한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러시아 보건사회개발부(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Development), 러시아연방 의료생물학기관(FMBA), 교육과학부 산하 연방 청소년기관(Rosmolodezh)과 함께 5월 24일부터 6월 1일(현지시간)까지 ‘LG 사랑의 헌혈 배’를 운영한다. ‘LG사랑의 헌혈 배’ 외관은 헌혈동참을 호소하는 내용으로 디자인, 강을 타고 이동할 때 주위의 이목을 끄는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노렸다. LG전자 러시아법인 임직원과 러시아연방 청소년기관 관계자, 자원봉사자 등 100여 명이 배를 타고 볼가강과 카마강을 따라 페름, 카잔, 사마라, 사라토프, 볼고그라드 등 주요 8개 도시를 순회한다. 이들은 도시마다 하루씩 머물면서 헌혈 캠페인을 전개한다. 일일 헌혈캠프를 운영하고 헌혈의 중요성을 알리는 홍보활동을 펼친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의 중요성과 LG전자의 사례를 소개하는 강연도 개최한다. 세계적인 권투선수 코스티야 추(Kostya Tszyu), 육상선수 옐레나 슬레사렌코 (Elena Slesarenko)를 비롯, 러시아의 유명 스포츠 스타들도 일일 헌혈 홍보대사로 참여한다. LG전자는 러시아 최대 전자유
ams는 혁신적인 원격 피드백 회로를 갖춘 전력 관리 IC(PMIC)인 AS3721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발열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준다. ams의 신제품 AS3729 로드 레귤레이터와 한 쌍으로 구성된 고집적 AS3721은 완벽한 전력 관리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프로세서 성능과 고효율, 유연한 보드 레이아웃으로 부하 의 과도 특성에 대해 신속한 응답이 가능하다. AS3721과 AS3729는 엔비디아 (Nvidia) 의 테그라 (Tegra)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사용할 때 최적화되도록 설계됐다. S3721 PMIC는 IC의 집적 DC-DC컨트롤러에 대해 프로세서로부터 간단한 원격 피드백 회로를 가능케 한다. ams의 특허 출원중인 설계 혁신 덕분에 AS3721에 대한 피드백 인터페이스는 다른 PMIC에서 요하는 4~5개의 신호들을 대폭 줄여 2 개의 신호들(한 개는 제어 신호, 나머지는 온도 신호)만으로도 작동된다. 프로세서와 PMIC를 연결하는 보다 적은 신호로 인해 이 두 소자는 공간 제약이 심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기기의 보드 레이아웃상에서 떨어진 위치에도 배치가 가능해
피닉스 컨택트는 무선랜 IEEE 802.11 a/n 네트워크 (5GHz 주파수 대역)상에서 이더넷 지원 장치 통합을 위한 산업용 무선랜 이더넷 어댑터를 출시했다. 이 새로운 어댑터는 IP67 등급의 외형 구조와 IEEE 802.11 b/g 무선랜 표준(2.4 GHz 주파수 대역) 상의 무선랜/WLAN 이더넷 어댑터 (WLAN 클라이언트)를 보완한다. 통합 안테나는 간섭이 심한 산업 환경에서 무선 통신의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특별히 개발됐다. 또한 무선랜 이더넷 어댑터는 컨트롤러, 단말기, 또는 I/O 모듈 등과 같은 이동 또는 휴대용 이더넷 지원 장치가 무선으로 메인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제품군 브랜드인 로크웰 소프트웨어 에서 FactoryTalk View HMI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을 공개했다. 이 최신 버전을 통해 제조업체, 특히 프로세스 업체는 기능성과 운영자 환경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되었다. FactoryTalk View 의 Site Edition (SE) 와 Machine Edition (ME) 애플리케이션은 더욱 효과적인 알람 관리, 간편한 설치, 향상된 사용자 경험은 물론 광범위한 생산 환경에서의 통합 데이터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FactoryTalk View SE 소프트웨어의 제품 매니저인 이호중 차장은 “제조업체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제어 및 정보 시스템과 더 밀접하게 통합하고 확장 가능한 HMI 솔루션이 필요하다”며, “로크웰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각화 소프트웨어를 발전시켜왔다” 고 말했다. FactoryTalk View SE 7.0 소프트웨어는 그러한 배경으로 탄생됐다. 단일 시스템에서 다수의 HMI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지원할 수 있어 FactoryTalk View SE 알람 하위시스템인 FactoryTalk Alarms & Events를 지원할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동남부지부는 청년벤처창업과 취업활성화를 위해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과 지난 5월 23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동에 있는 한국벤처투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중진공 서울동남부지부는 호서대 벤처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창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창업자금 등 정부 지원정책 설명회 등을 통해 청년벤처창업 활성화에 힘쓸 계획이다. 또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관내 우수 중소기업을 소개하여 취업연계를 추진하고, 공동 포럼과 세미나를 개최하기로 했다. 중진공 정재환 서울동남부지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창조경제의 주역으로서 벤처정신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의 창업활성화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중진공이 운영 중인 으뜸기업 인력매칭 서비스인 ‘스마일 스토리知’와 연계하여 청년 구직난 해결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NC 5축 가공기 RMV-160RT AKIRA SEIKI의 CNC 5축 가공기 RMV-160RT는 틸팅 로터리 테이블의 높은 효율성으로 한번의 세팅으로 모든 가공을 마칠 수 있으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멀티 페이스 가공에 가장 적합한 기계이다. 롤러 기어 캠 구동방식을 채용하여 마찰력이 작고 인덱싱의 정밀도와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캠과 함께 구동되는 스크루의 나사 산은 롤러 캠 밑으로 회정되기 때문에 백러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캠에 마모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클리어런스를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최소화된다. 서창상사 TEL : (031)732-1055, FAX : (031)732-1053 www.seochang-trade.com
5축 제어 머시닝센터 MAG1 항공기 분야에서 Leading edge, Trailing edge, Rib 등 1500mm 이하의 알루미늄 기체 부품가공에 최적인 머시닝센터이다. 콤팩트하고 고출력의 HSK-F80/80kW 주축을 채용하였으며, 특수 형상의 공구 홀더를 사용하였다. 헤드 본체는 살두께의 벽과 리브를 설치한 구조로 높은 강성을 가지며, 고속 이동시의 칼럼이나 테이블로부터 발생하는 관성응력을 강하게 지지한다. 또한 고강성 헤드는 3점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레벨 메인티넌스가 불필요하다. 또한 기계 이동 설치가 용이하다. 마키노후라이스제작소 TEL : (02)856-8686, FAX : (02)856-8555 www.makinoseoul.co.kr
【기술 동향】 다축 제어 가공기계·기술의 최근 동향 최근 세계적인 공작기계 관련 전시회의 출품 경향을 살펴보면, 복합가공기와 5축 제어 머시닝센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 다축 제어 가공기는 생산설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선박, 항공기,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정집약, 단납기화, 고정도화 등의 성과를 올리고 있다. 기자 (prmoed@hellot.net) 세계 시장의 경쟁 심화는 리드타임 단축, 공정집약 등 생산 합리화를 가속시키고 있으며, 현재 세계적인 경향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 5축 제어 머시닝센터, 복합가공기 등 다축 제어 가공기가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생산설비로서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다축 제어 가공기의 도입은 우선 선박·항공기·에너지 분야에서 대형화의 경향이 확대되고 있어 대형 5축 복합가공기 등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형 부품용이 많이 개발되어 중심적인 부품 생산 설비로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복합가공기와 그 활용 현재 공작기계는 다기능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각종 부품 생산에 이용하는 생산설비의 선택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선택 기준을 포함한 유연하고 또한 최신 기술 정보에 기초한 선택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는 차세대 파워 트랜지스터 제품군 STripFET™ VII DeepGATE™를 선보였다. 이 제품군은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파워 디바이스들로 구성되어 전기 통신, 컴퓨팅 시스템, 태양광 인버터, 산업 자동화 및 자동차 등의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번 STripFET VII DeepGATE MOSFET 제품들은 스위칭 효율성이 더욱 향상됐을 뿐만 아니라, 현재 출시되어 있는 80V 및 100V 제품 중 최고의 전도 효율성을 자랑한다. 또한, 시스템 전력 및 효율성 달성치를 소형 패키지로 줄어든 디바이스 수준에 맞추었기 때문에 설계를 간소화하고 비용 및 장비 크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ST의 STripFET VII DeepGATE 기술의 핵심은 더욱 향상된 모스펫의 게이트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내부 커패시턴스와 게이트 충전을 줄이면서, 온 상태 저항을 낮춰 더 빠르고 효율적인 스위칭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극한의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한 애벌런치 내구성(avalanche ruggedness)을 갖추고 있어 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다.
MHL, LLC는 최첨단 모바일 연결 솔루션인 MHL® 기술을 채택한 기업이 현재 200여 곳을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지난 2011년 처음 MHL 구현 기기가 도입된 이래, MHL 사용환경(ecosystem)은 전세계 가전 및 모바일 기기를 선도하는 업체들이 공급하는 2억 6,000만 대 이상의 제품들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거두고 있다. MHL을 통해 모바일 기기들은 홈씨어터 수준의 영상 및 디지털 오디오를 HD급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다. MHL을 이용하게 되면, 스마트폰은 게임 콘솔, 모든 기능을 갖춘 휴대용 사무실 또는 홈씨어터 시스템 수준으로 진화될 수 있다. MHL 제품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디지털 TV, TV 액세서리, 블루레이 Disc™ 플레이어, 오디오/비디오(A/V) 리시버, 모니터, 프로젝터, 어댑터, 자동차 액세서리, 케이블 등이 있다. MHL, LLC의 주디 첸 의장은 “MHL 기술을 채택한 곳이 200여 개라는 사실은 MHL 표준의 입지가 강화되었고 모바일 경험을 한층 발전시킨 기술 공헌에 대한 증거”라면서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및 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