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선박 건조용 소형 로봇 개발…작업자 혼자 2∼3대 작동 현대중공업은 최근 사내 생산기술연구소에서 선박의 블록을 용접하는 소형 로봇을 개발, 현장 적용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현대중공업이 개발한 로봇은 팔을 접었을 경우, 크기가 가로 50cm, 세로 50cm, 높이 15cm 정도로 작고, 무게는 약 15kg에 불과해 작업자가 직접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기존의 선박 건조에 사용하던 로봇들은 무거운 중량 때문에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는 옮기기 어렵고, 부피가 커서 좁고 복잡한 작업공간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로봇은 팔이 6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사람이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 속도는 숙련된 기량의 용접사와 비슷하며, 균일한 품질로 장기간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몸체에 부착된 자석을 이용하면, 벽면과 천장에 붙은 상태로도 작업할 수 있어 활용도가 뛰어나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선박 건조용 소형 로봇은 조작도 간편해 작업자 한 명이 2∼3대의 로봇을 동시에 작동, 관리할 수 있어 기존보다 2~3배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회사 측
지멘스 에너지 솔루션 사업 한국 거점 역량 키운다 지멘스는 최근 에너지 솔루션 사업의 아시아 지역본부를 한국에 설립하고 지역 거점으로서 사업 역량을 키워나가기로 했다. 지멘스의 에너지 솔루션 사업은 가스발전, 복합화력발전, 석탄화력발전 공급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턴키 솔루션을 완성할 수 있는 통합적인 공급 라인을 갖추고 있다. 한국에 자리잡을 아시아 지역본부는 아시아태평양과 중동지역을 총괄하고, 고객 서비스 향상 및 프로젝트 실행 역량도 키우게 된다. 한국지멘스 관계자는 아시아지역본부 한국 설립으로 약 500명 고급인력 고용 창출 효과가 기대되며, 특히 독일 등 해외에서 파견된 전문가들로부터 환경 친화적인 최첨단 발전소 솔루션 노하우를 전수받아 한국 엔지니어들의 핵심 역량도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지멘스는 그동안 아시아 다른 지역과 경쟁을 하면서 지멘스 본사와 긴밀한 논의를 통해 지역거점으로서 한국의 강점을 부각해왔다. 에너지 솔루션 사업의 아시아 지역본부는 올해 해외 최고급 인력을 포함하여 우선 100여 명 이상을 고용하고 2017년까지 인원을 500명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1단계 투자가 끝나는 2017년에는 에너지 및 발전소 관련
에너지 기술개발 신규과제 485억원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에너지 분야 부품·소재·장비 기술개발의 단기 신규과제에 48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그동안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과 유지관리 등을 위해 대규모 플랜트와 시스템 구축을 중점적으로 지원해왔으나, 주요 부품·소재 등은 해외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었다. 특히, 지난 2011년 기준 부품·소재·장비의 평균 수입률은 연료전지 91%, 풍력 85%, 태양광 79% 등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지난해 12월 ‘에너지산업 공급사슬 육성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부품·소재·장비 개발이 시급한 태양광, 에너지 저장 등 9대 기술과 50개 분야를 선정, 기술개발 목표와 실행 계획을 제시했다. 이번 지원되는 단기 과제 중 ‘공급사슬 육성형’ 과제는 중소·중견기업이 주관하도록 지원하며, ‘시장 수요 대응형 과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상시 기술 수요조사 결과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거쳐 기술 분야 지정과 자유공모로 나누어 지원하되, 중소·중견기업이 주관 또는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OS81118’은 USB 2.0 High-Speed 포트와 통합 동축 트랜시버를 내장한 MOST150 지능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이다. 개발자들은 OS81118에 내장된 USB 포트를 통해 표준 와이파이/3G/LTE 모듈에 연결, MOST150 네트워크상에서 차량 내 무선/와이파이 연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 컨트롤러로 멀티코어 컨수머 SoCs(시스템온칩)를 차량 내 MOST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도 있다. 한국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 TEL : 02-554-7200 www.microchipkorea.com
리니어 유닛 ‘KL 2000’은 로봇의 작업영역 확장에 사용되는 리니어 유닛이다. 이전 모델보다 기초 플레이트는 45퍼센트, 앵커 로드는 40퍼센트 절감하고 용접심 길이는 15퍼센트 절약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절감 효과가 크다. 특히, 모터와 기어가 갠트리에 통합되어 있어 적은 설치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스트로크는 0.4미터 더 개선됐다. 고객은 이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5~1,000kg의 폭넓은 가반하중 클래스를 커버할 수 있게 됐다. 쿠카 로보틱스 코리아 TEL : 031-501-1451 www.kukakorea.com
고효율 홀센서 ‘TLE496x’는 홀센서 패키지 중 가장 작은 SOT23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 신형 센서는 1.6mA 이하의 매우 낮은 전류 소모 특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대 32V의 높은 동작 전압에도 견딜 수 있다. 또한 향상된 시스템 품질, 신뢰성, 제어를 위한 포괄적인 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이전 세대보다 한층 강화된 턴-온, 리셋, 턴-오프 특성을 제공한다. 이들 제품은 위치 측정, 브러시리스 모터 정류, 지수 계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TEL : 02-3460-0814 www.infineon.com
파워 버스 시스템 높은 유연성과 경제성은 현대 시스템 플래닝의 핵심 요소다. 특히 파워 분배를 위해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솔루션들은 산업자동화 분야에서 더욱 그러하다. 지능형 설치 시스템은 고전적인 STAR distribution을 대체하며, 독일 WIELAND사는 파워 분배를 위한 총체적 개념, 예를 들면 컨베잉 테크놀로지와 사업시스템을 제공한다. 수동, 능동적인 필드버스 유통업체, 커넥터 및 포괄적인 액세서리들은 전체 솔루션에 사용할 수 있다. 와이텍 TEL : 031-777-8200 www.ytec.net
무선 통신 컨버터 ‘SCM-WF48 시리즈’는 USB 및 RS485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와 PC 간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으로 최대 100미터까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서지보호 회로의 내장으로 안정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콤팩트한 사이즈(W39×H25.3×L76mm)와 DIN Rail 및 패널 장착이 가능해 다양한 작업장에 활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윈도 98, 98SE, ME, 2000, Sever 2003, XP, Vista, 7 등의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오토닉스 TEL : 032-610-2706 www.autonics.co.kr
팬리스 인텔리전트 시스템 ‘ARK-2150’은 인텔코어 i3/i7 CPU 탑재로 샌디브릿지 CPU 탑재 제품보다 20%의 성능 향상과 30%의 그래픽이 향상됐다. 또한 DDR3-1600과 DDR3L-1333을 통해 저전력으로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과 교환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또 -20~60℃ 광범위한 온도 지원과 5G 진동, 50G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의료 영상기기, 반도체 장비, 고차원 자동화 장비와 같이 가혹한 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어드밴텍 TEL : 080-363-9494 www.advantech.co.kr
e체인 마이크로 ‘E2.15 micro’는 기존 모델보다 2배 하중 수용력을 제공하며 비지지 길이는 최대 1.25미터, 설치 공간 소모도 훨씬 더 작아졌다. 이 제품은 초소형 사이즈의 1~2개 구성품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우 가벼우며, 계측기기, 픽 앤 플레이스 로봇, 조정 유닛과 같은 경량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케이블과 접촉에도 마모가 적으며, 체인 내부는 마이크로 세퍼레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측면 설치 시에도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다. 한국이구스 TEL : 032-821-2911 www.igus.kr
디지털 아이솔레이션 솔루션 ‘Si826x’ 제품군은 입력회로가 LED의 특징을 모방하면서도 더 낮은 드라이브 전류를 필요로 하여 높은 효율을 구현한다. 신호 전파 지연 시간은 입력 드라이브 전류와 독립적이어서 일정하게 짧은 전파 시간(25ns)을 갖고 유닛 간의 편차가 더 적으며, 입력회로 설계 시 유연성을 지닌다. 특히, MOSFET과 IGBT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구동력을 제공하여 최대 효율을 위한 외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신속한 턴 오프와 턴 온을 실현한다. 실리콘래버러토리스 TEL : 02-562-7381 www.silabs.com
랙 솔루션 ‘APC넷쉘터 SV 랙’은 세로형 랙 PDU(전원분배장치)와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통합으로 이루어졌으며, 시스템 설치 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두 시스템을 서버 랙 유닛을 차지하지 않는 캐비넷 후면에 설치할 수 있어, 추가적인 서버 유닛 비용도 절감된다. 그뿐만 아니라 후면 액세서리 삽입부가 호환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EIA-310 규격에 맞는 19인치 장비라면 제조사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TEL : 1588-2630 www.schneider-electric.co.kr
머신비전 카메라 ‘Grasshopper 3’는 데이터 처리에 효율적인 CCD와 USB 3.0 인터페이스를 탑재했다. 이 제품은 Sony Exview HAD II 기술의 높은 해상도와 고감도 성능을 제공하며, 안정성을 극대화한 FPGA와 frame buffer 기반의 아키텍처가 특징이다. 또한 컬러, 감마 외의 여러 종류의 풀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높은 QE와 노이즈 감소, Low smear 기능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PGR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킷도 내장하고 있다. 싸이로드 TEL : 070-7018-0720 www.cylod.com
마이크로모듈 레귤레이터 ‘LTM4637’은 PCB 트레이스에서 드룹으로 발생되는 전압 오류에 대한 자동 보정을 실현한다. 이것은 저전압에서 고전류를 요구하는 FPGA와 같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때 유용하다. 또한 LTM4627 15A 출력 μModule 레귤레이터와 드롭인 및 핀 호환이 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과전류와 과전압 조건에서 보호 기능이 있다. 디바이스의 내부 온도는 내부 온도 감지 다이오드를 통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리니어 TEL : 02-792-1617 www.linear.com
콤팩트 인버터 ‘PowerFlex 525’는 100~600V의 전압 등급에서 0.4~22kW/0.5~30Hp의 용량 정격이 가능한 모듈형 디자인이 특징이다. 내장된 EtherNet/IP, 세이프티 기능, USB 프로그래밍, 에너지 절감, 다양한 모터 제어 옵션은 단독형 애플리케이션과 독립형 장비 혹은 간단한 시스템 통합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표준 USB 연결을 통해 여러 개의 인버터와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시운전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TEL : 02-2188-4434 www.rockwellautomati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