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우리은행]뿌리산업 육성 협약 체결 산업통상자원부와 우리은행이 뿌리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우리은행이 핵심기술을 보유한 뿌리기업이 중견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하고 펀드를 조성하는 등의 지원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뿌리기술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2,500억원의 특별자금을 마련해 저리로 융자해주고, 전문인력 50명을 투입해 금융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뿌리기업의 내실 있는 성장을 직접 지원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뿌리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올 1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20대 추진과제 중 하나로 ‘뿌리기술 전문기업 육성’ 과제를 선정한 바 있다. 한편,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뿌리기술 전문기업’으로 지정된 기업들이 ‘뿌리산업의 국가대표’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향후 정부도 뿌리기업들이 중견기업과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스옵엔지니어링 ‘2013 Stratasys 3D 프린터 유저미팅’ 개최 3D 프린팅 시스템 기업 스트라타시스의 한국 공식 디스트리뷰터인 시스옵엔지니어링이 지난 5월 9일, 라마다 호텔에서 3D 프린터 고객을 위한 유저미팅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시스옵엔지니어링 직원들과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터 유저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유익한 자리가 되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스트라타시스의 3D 프린터를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시스옵엔지니어링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 공공기관, 그리고 교육기관 등에 많은 유저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시스옵엔지니어링은 이들 유저들과 3D 프린터에 관한 최신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기 위해 지난 5월 9일, ‘2013 Stratasys 3D 프린터 유저미팅’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시스옵엔지니어링 김종호 대표의 ‘3D 프린팅 시장 동향’ 발표를 시작으로, ‘3D 프린터 최대로 활용하기’, ‘새로운 시스템 및 재료’ 등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또한 3D 프린팅 애플리케이션, 고객 활용 사례 발표 등 3D 프린터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되었다. 시스
공작기계의 메카 창원에서 미래 기술을 만난다 2013 국제공작기계 및 관련부품전 (MATOF 2013) 우리나라 최대의 기계산업단지인 경남 창원에서 현장중심의 산업전시회로 성공 히스토리를 만들어 가고 있는 ‘2013 국제공작기계 및 관련부품전 (MATOF 2013)’이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는 오는 11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며, 첨단 미래 기계기술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오는 11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2013 국제공작기계 및 관련부품전(MATOF 2013)’은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주최하고 창원컨벤션센터,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 부산경남금형공업협동조합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로서 국내 유일의 제조산업 현장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이다. 이번 전시회는 우리나라 공작기계 제1의 생산지 및 수요지인 창원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구매력 높은 제조업 바이어가 대거 참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중국, 대만,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기계, 금형 해외 유관단체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해외바이어 초청이 예상됨에 따라 참가업체들의
공정집약형 5축 머시닝센터 M2-5AX 공정집약형 5축 머시닝센터 M2-5AX는 X축의 경사형 구조, 3점 지지 방식의 Y축, 6개의 Roller형 LM 블록을 적용한 Z축을 통하여 강력한 이송 능력을 발휘하며, OTT 방식 웜 기어를 내장한 고토크 2축 테이블은 고강성 5축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내장형 모터 스핀들 방식으로 고속 회전 시에 진동과 소음,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가공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스핀들 냉각 방식은 베어링에 Oil-Jet 직접 분사 및 Jacket 순환에 의한 모터와 프레임 냉각으로 장시간 가공 작업에도 열에 의한 변위를 극소화시킨다. 화천기계공업 TEL : (02)523-7766, FAX : (02)523-2867 www.hwacheon.com
5축 고속 머시닝센터 DINOMAX FPT사제 5축 고속 갠드리 타입 머시닝센터 DINOMAX는 강력한 절삭뿐만 아니라 고속 가공에도 적합하다. 각종 어태치먼트에 의해 황삭부터 정삭까지 가공 가능하며, 공작물 중량에 제한이 없다. 최신 FEM 분석 방법을 통한 구조의 최적화와 리니어 모터는 최신 버전의 드라이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머신 툴 분야에 새로운 기준점이 되며, 높은 생산성과 정밀도를 모두 만족시키고 있다. 항공 부품, 발전기 부품, 고정도 가공, 사출금형, 디자인 스튜디오 등과 같은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옵션과 솔루션으로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호마종합통상 TEL : (02)894-6417, FAX : (02)894-6412 www.homa.co.kr
CNC 자동 선반 XD120 한화테크엠의 XD120은 복합 가공 능력을 극대화한 3계통 9축의 CNC 자동 선반이다. 고정밀 가공 능력을 실현하는 혁신적인 툴링 시스템을 채용하였으며, 다양한 옵션 툴을 적용할 수 있어 유저의 요구를 충족시켜 준다. 기존 전자 및 자동차 부품 외에 정밀의료용 부품 가공에도 적합한 제품이다. 또한 업드레이드된 3축 Gang Tool 장착으로 다양한 툴링이 가능하며, 빌트인 모터 채용으로 고강성, 고효율성을 실현한다. 드릴링, 엔드밀의 동시 가공 및 복합 가공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화테크엠 TEL : (055)280-4694, FAX : (055)280-4664 www.hanwhatechm.co.kr
PANTAGON 5면 가공기 PANTAGON은 유럽스타일의 전자동 5면 가공기로 동급 최대의 컬럼 사이즈의 머시닝센터이다. 베이스 및 컬럼의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복합적이고 보다 높은 생산성을 확보한다. 또한 컬럼의 극대화로 고안정성을 확보하였으며, 중절삭은 물론 3D 모델링 작업까지 다양한 가공성을 지닌다. Z축 이송의 4Linear Ways 방식과 Y축 이송의 2Linear Ways 방식의 독창성으로 높은 정밀도를 실현한다. 하트포트는 100여종의 머시닝센터를 생산하여 세계 6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대만 최대의 머시닝센터 전문기업이다. 하트포드오토메이션 TEL : (02)6343-6390, FAX : (02)6343-6394 www.hartfordkorea.com
5축 고속가공기 HSC 600 고속가공기 HSC 600은 열처리 금형 및 공구 생산에 적합하며, 동시 5축 가공을 위한 강력한 기계이다. 열 대칭적인 구조로 세로형 테이블을 채택하였으며, Dynamic 충돌 모니터링 시스템을 채용했다. 옵션으로 건식, 습식 가공을 위해 가공된 칩이 Chipping trolley로 직접 떨어지도록 설계된 Slat-band chain 컨베이어를 선택할 수 있고, 외내부 냉각수 공급장치도 선택할 수 있다. 별도의 축 장착이 가능하고 완벽한 강도, 내열성을 가지며, 최고의 동적 정밀도를 위해 토크 드라이브 사용하였다. 엑스론코리아 TEL : (031)977-4048, FAX : (031)977-4047 www.exeron.co.kr
5축 머시닝센터 CMV 시리즈 SHIN NIPPON KOKI의 5축 머시닝센터 CMV 시리즈는 연속 5축가공에서 경사면가공까지 모든 가공에 대응하는 제품으로, 5축 가공을 위한 풍부한 서포트 기능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작업에의 간섭을 최소로 한 심플한 주축두를 채용하고 있으며, 금형에서 항공기 부품까지 다종 다양한 작업에 대응하는 대형 팔레트를 장치하고 있다. SHIN NIPPON KOKI는 항공기용 부품 가공기, 자동차용 금형 가공기, 범용 머시닝센터 등 수십 종의 대형 및 중형 공작기계를 생산하는, 일본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공작기계 제작회사이다. 에스엔케이엔지니어링코리아 TEL : (02)3471-4484, FAX : (02)3471-4486 www.snkkorea.co.kr
새로운 단축키 추가하기 01.[설정]-[일반]에서 ‘키보드’를 누른 후 ‘단축키’를 선택한다. 02. ‘단축키’ 화면이 나타나면, 단축키를 눌렀을 때 나타날 문구와 단축키를 입력하고 ‘저장’을 누른다. 메시지나 메모 화면에서 지정한 단축키를 입력하면 저장한 문구가 나타나 선택하여 바로 입력할 수 있다. Tip. 메시지나 메일에 자주 사용하는 문구가 있을 것이다. 매번 입력하는 것이 귀찮다면 문구를 단축키로 추가해보자. 복잡하고 긴 문장이라도 몇 개의 단축키만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되어 편리하다.
국제 LED EXPO & OLED EXPO 2013 혁신의 빛, LED에 주목하라 LED 조명업체, 장비업체, 부품업체가 대거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LED 축제, 국제 LED EXPO & OLED EXPO 2013이 오는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11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LED, OLED 조명, 장비, 부품, 소재, 연구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관련 기업과 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LED 산업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나아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할 전망이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LED 조명은 세계 각국의 경기회복과 에너지 정책 규제강화 분위기와 맞물리면서 관련 시장의 성장 속도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한편 국내에서도 올해 전기료 4% 인상과 정부의 LED 관련 지원정책이 이어지면서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이러한 가운데 LED 기술의 모든 것을 집약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 LED 전시회인 국제 LED EXPO & OLED EXPO 2013이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일산 킨텍스 3, 4홀에서 진행된다. 11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
마이크렐은 AEC-Q100 인증을 받은 새로운 2종의 고성능 리니어 레귤레이터를 발표했다. MAQ5281/82 제품군은 최고 120V DC까지의 폭넓은 입력 동작전압 범위를 제공하며, 최고 25mA 및 50mA의 출력 전류를 공급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자동차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종종 직면하게 되는 혹독한 환경에 이상적이다. MAQ5281/82는 현재 대량생산 물량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가격은 1천개 기준으로 1달러/1.5달러이다. 마이크렐 아날로그 사업부의 브라이언 헤다야티(Brian Hedayati) 마케팅 부사장은 “자동차 및 산업용 환경을 위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큰 입력 과전압 과도(부하 덤프) 현상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며, “마이크렐의 새로운 MAQ5281/82는 자동차 등급의 품질 인증을 받았고, 6 ~ 120V DC의 넓은 입력전압 범위와 6µA의 초저 정동작 전류를 모두 갖추고 있어 자동차 및 까다로운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이다”라고 밝혔다. 이 디바이스는 25mA/50mA의 출력 전류를 보장하며, 1.27V에서 5.5V까지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은 120V DC까지 견딜 수 있으며, >90
LED, 미래를 밝히다 빛을 넘어 에너지 솔루션으로 진화하는 LED LED 조명은 단순히 빛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센서나 네트워크 산업과 결합되면서 동반 성장할 가능성이 클 뿐더러 LED 조명만의 차별화된 영역을 구축할 가능성이 있다. LED 조명 산업은 조명 제조 산업이라기보다 에너지 솔루션 산업으로서의 성격을 띠게 되고, 이를 지원할 각종 소재/물질/반도체/센서/소프트웨어 등의 업스트림(Upstream) 산업 역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 세계 조명시장 규모는 2012년에는 1,3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5년에는 약 30%의 일반조명 시장을 LED 조명이 침투하여 38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면서 연평균 성장률 32%의 고속 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LED 시장은 휴대폰, LCD TV, 자동차 등 전방산업이 발달해 있어 국내 시장이 성숙되어 있고, 2012년 이후 반도체조명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LED 에피/칩/패키지/부품소재’ 산업은 2020년까지 지속적 고속성장이 예견된다. LED 조명은 다른 산업과 융합되면서 지능형 조명·컨버
일본 메카트로닉스 부품 시장 경쟁 격화 속에 2015년 1조 5천억엔 일본 후지경제가 발표한 최근 자료를 보면 해외에서 중국·아시아 시장의 설비 투자 회복, 브라질·인도를 비롯한 신흥국 시장의 판매 증가를 배경으로 2015년 일본 메카트로닉스 부품 시장은 1조 5,182억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후지경제의 이번 조사는 PLC 등 컴퓨터&컨트롤러 영역(9품목), AC 서보모터·드라이버 등 모터&기계 영역(7품목), 광전 센서 등 센서 영역(6품목), 커넥터 등 수배전기기 영역(4품목), SCADA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PLC의 소프트웨어 영역(2품목), 합계 5개 영역 28품목의 메카트로닉스 부품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를 예측했다. 일본계 메이커 해외 의존도 상승 해외 판매 비율 40% 넘어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제어기기 공급 부족에 대한 염려가 과열되면서 4월부터 5월에 걸쳐 선구매 경향이 강해져 결과적으로 일시적인 특수 수요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2011년 후반부터는 중국의 금융긴축 정책의 영향과 유럽 금융 불안의 영향으로 인해 각국 제조 현장에서 설비투자 수요가 침체되었고 더 나아가 선구매한 재고 소화가 진행되
시스템 운용 모델 임무 분석을 통해 사용자와 함께 시스템의 유스 케이스와 시나리오를 식별한다. 다음 수행 단계는 사용자와 함께 그들이 어떻게 그 시스템을 배치하고, 운용하며 지원 및 폐기하는지를 개념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개념을 문서화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가 시스템 운용개념(ConOps)이다. 이 절은 ConOps를 개발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시스템 운용 모델을 소개한다. 시스템 운용 모델은 시스템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상위 레벨 운용 업무흐름을 제공한다. 1) 임무영역을 어떻게 나타내는지, 2) 임무를 어떻게 수행하는지, 3) 임무수행 지원을 어떻게 하는지를 모델구조는 요구규격 또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설계 솔루션으로 전환되는 운용과 업무로 구성된다. 우리가 논의해야 할 사항은 모델의 운용 능력이 장비, 인력 및 설비와 같은 시스템 요소로 할당되고 분할되는지를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 결과로 이러한 논의 사항은 시스템 임무와 지원 운용에 따른 토픽의 기반을 제공해 준다. 1. 이 장에서 얻고자 하는 내용 · 시스템 운용모델은 무엇인가? · 운용개념은 무엇인가? ·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