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금형 설계 솔루션 T-MOLD는 NX를 기반으로 국내의 대표적인 MOLDBASE, 각종 금형부품, 자동화 설계 기능들로 구성된 3D 금형 설계 솔루션이다. 금형 설계 소요 시간을 30 ~ 50% 단축할 수 있고 설계 오류도 95%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기신 및 영등포특수강의 규격을 비롯하여 다양한 비규격의 몰드베이스 생성을 지원한다. 스페이스솔루션 TEL 02-2027-5930, www.spacesolution.kr
3차원 프린터 스트라타시스의 Eden 3차원 프린터는 높은 해상도는 물론이고 연질, 경질, 투명 등 여러 종류의 광경화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Eden이 채택한 Polyjet 기술은 매우 정밀한 파트를 신속하게 조형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며, 후경화 과정이 필요없다. 현재 자동차, 우주항공, 전자,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시스옵엔지니어링 TEL 031-737-4730, 3차원프린터.kr
평면 연삭기 YGS-137A는 대형 부품 및 각종 금형류 등을 고능률·고정도로 연삭할 수 있어 유저들의 만족도가 높은 Saddle Type의 평면 연삭기이다. 중앙에 V&V 홈 안내면과 양단에 LM Guide를 사용, 4점 지지 방식으로 고정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Grinding Head는 정밀 연삭된 Lead Screw를 사용하여 정확한 절입 이송을 구현하였다. 유일연삭기 TEL 02-802-3958, www.youilmc.com
엔드밀 HRC 70 이하 고경도 소재에 적용되는 엔드밀인 H-PRO 시리즈는 고속 가공용으로 개발되었으며, 가공 표면조도 개선을 위한 센터부의 형상 설계와 Si 함유 코팅의 적용으로 미려한 표면조도를 보장한다. 또한 내마모성의 향상으로 긴 공구 수명을 달성하였으며, 파손에 대한 저향력을 높이고 칩 배출을 원활하게 하였다. 한송M&T TEL 031-419-4443, www.hsmnt.com
3차원 측정기 브리지 타입 3차원 측정기 ACCURA는 측정속도를 높이기 위해 제작된 특수 프레임과 새롭게 디자인된 베어링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성능 향상을 위한 옵션 패키지와 F.I. 기술로 넓은 온도 범위에서 동일한 정밀도를 보증한다. 또한 측정실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디자인되어 있다. 칼자이스TEL 02-3140-2707, www.zeiss.co.kr
공압용 카플러 스웨덴의 CEJN(세인) 그룹은 에어건과 퀵 카플러를 발명하고 상업화한 기업이다. 세인의 공압용 오토 카플러는 니쁠과 상관없이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자동화된 설비의 매니폴드에 직접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카플링에는 실링을 할 수 있도록 특수한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씨이제이엔코리아 TEL 032-623-0275, www.cejn.kr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첨단 MEMS 기술에 투자하여 3축 가속도센서와 3축 지자기센서를 단일 패키지에 결합한 최소형 전자 나침반(eCompass) LSM303C을 공개했다. ST의 새로운 전자 나침반 LSM303C는 첨단 내비게이션을 비롯하여, 스마트폰 등에 모션 감지 기능에 활용되는 2mmx2mm 의 소형 칩으로, 비슷한 디바이스보다 거의 20%까지 더 작다. 스마트폰이나 운동 팔찌, 스마트 와치 등에서는 공간 절약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ST의 새로운 LSM303C 전자 나침반은 경쟁 제품보다 PC 보드 공간을 약 1mm2 절약했다. 이러한 공간 절약은 제품 설계 시 부품 레이아웃을 최적화하고, 와이파이, 블루투스, 셀 방식 무선 통신 방해를 최소화하여 인도어 내비게이션이나 첨단 모션 인식 애플리케이션 등의 성능을 개선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스마트 컨슈머 기기 및 전문가용 애플리케이션에서도 LSM303C의 작은 사이즈는 작은 폼팩터를 구현할 수 있어 이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가속도센서와 지자기센서가 합쳐진 패키지이면서 ST의 12리드 가속도센서 디바이스의 보드와 호환이 가능하여, 설계 시
마우서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 이하 마우서)가 Intel® Corporation과 글로벌 유통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마우서는 엔지니어들이 인텔의 모바일, 데스크탑, 서버용 제품 등 모든 포트폴리오를 구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게 됐다. 이를 통해 마우서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인텔 제품들은 전 세계 반도체 팹라인 대부분의 선진 공정으로 제조되어 새로운 디자인과 솔루션을 가능케 하는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인텔 포트폴리오에는 최신 4세대 Core™ 및 이전 세대 Core™ 와 Atom™ 프로세서부터 가장 최신의 22 nm 공정 기술이 채택된 Core™ i7, i5, i3, Pentium®, Celeron®와 Xeon® 프로세서들이 포함된다. 또한 마우서의 인텔 제품 라인업은 Express 칩셋, 이더넷 컨트롤러, 시스템 콘트롤러에서 Next Unit of Computing(NUC)까지 포괄한다. 마우서의 제프 뉴웰 (Jeff Newell) 부사장은 “당사는 인텔과 협약을 맺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이 파트너쉽을 통해 마우서는 업계 최대, 최고의 반도체 제조업체와 함께 라인업을 확대시킬 수
리튬이온 2차 전지 분야 세계 1위인 삼성SDI(대표:박상진)가 유럽 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 초 독일 베막사, 이태리 에넬사에 이어 이번에 영국의 S&C사와 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면서 삼성SDI가 유럽의 Big3 ESS 시장을 선점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3일, 삼성SDI가 독일의 Younicos(유니코스)사와 공동으로 영국의 S&C사에 전력 안정용 10MWh급 ESS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삼성SDI가 ESS(Energy Storage System)를, 독일 Younicos사가 전력 관리 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을 공급하는 형태로, 10MWh급은 영국 내 최대 규모의 리튬이온 전지 기반의 ESS 실증 프로젝트다. 이번 ESS는 영국 런던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는 버자드 지역에 설치될 예정으로, S&C사가 최종 설치하고 영국의 전력 송·배전 업체인 UKPN사가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내년 7월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지역 내 노후된 전력망으로 인한 불안정한 전력 주파수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이 일반 가구에까지 가는 과정에서 수요
자일링스는 7 시리즈 GTH 트랜시버가 미국 뉴햄프셔대학교 상호운용성연구소(이하 UNH-IOL)의 10GBASE-KR LogiCORE™ IP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소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실험하는 권위 있는 기관으로, 백플레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NH_IOL의 리시버(Rx) 및 트랜스미터(Tx) 전기 및 프로토콜 규격 테스트를 완벽하게 충족하고 있는지 검증했다. 이번 성과로 OEM 업체들은 10GBASE-KR LogiCORE IP를 이용해 IEEE Std 802.3을 준수하는 10기가비트 또는 40기가비트 백플레인으로 고성능 네트워크 및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GTH 트랜시버를 가지고 있는 버텍스®-7 XT 및 HT 디바이스에서 40GBASE-KR4 LogiCORE IP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자일링스의 솔루션 마케팅 디렉터, 라즈 실람(Raj Seelam)은 “이 규격 테스트의 통과는 자사의 10GBASE-KR 10 기가비트 직렬 인터페이스 개발의 한 획을 긋는 초석으로, 서비스 공급자가 더 많은 대역폭 집중 서비스를 지능적으로 제공하여 자본지출과 운영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사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데
전자식 제상 제어장치 ‘DEFSAVER2’는 증발기의 바이패스 유량측정에 의한 신개념의 제상 제어장치이다. 이 제품은 보다 효율적인 제상으로 냉동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장비 소손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 환경에 맞는 다양한 기준 설정이 가능하며 통신기능을 통한 데이터 측정과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품 하나만으로 냉동 시스템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품 크기는 87×114×30mm (W×D×H)이며, 동작 환경은 -10~50℃이다. 두텍 TEL : 031-495-3767 www.dotech21.com
SK텔레콤(www.sktelecom.com)은 지난 달 진행한 '눝(누+ㅌ) 학교 대항전' 이벤트 우승학교인 경남 창원의 창원기계공고에 29일 방문해, 학교 내 테마파크를 만드는 등 광고모델과 함께하는 축하 행사를 성황리에 열었다. 이 날, SK텔레콤은 창원기계공고 운동장에 약 5천여 명이 수용 가능한 테마파크 형태의 놀이 공간과 먹거리 장터 및 각종 이벤트 등을 마련해, 이 학교 학생 및 교직원과 지역 주민들에게 '눝 앱'이 추구하는 신개념 놀이 문화를 오프라인 공간에서 선보였다. 특히, 이 날 행사에서는 참석자들이 휴대폰을 돌리는 게임에서 발생한 데이터(눝 포인트)로 준비된 간식을 구입하고, 각종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오프라인의 틀을 깬 새로운 시도로 평가 받았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3일부터 25일까지 '눝 앱 시즌2' 서비스 론칭과 함께, 휴대폰을 돌려 데이터(눝 포인트)를 쌓는 게임을 통해 학교별로 데이터를 쌓아 순위를 겨루는 이벤트를 진행한 바 있다. 이 이벤트에는 전국 총 11,330개 학교가 참여한 가운데, 약 312GB의 데이터를 생성한 창
스프링 없는 정량펌프 ‘DN 시리즈와 DKB 시리즈’는 스프링으로 발생하는 정량펌프의 성능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프링이 필요 없는 획기적인 설계로 만들어진 랜드마크적인 펌프이다. 따라서 기존 상용 제품보다 3~4배 이상 압력과 유량을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높다. 현재 이 제품은 국내제품이 진입할 수 없는 국내외 정량펌프 시장의 장벽을 뛰어넘고 있으며, 고압·고유량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일엠티 TEL : 031-981-8037 www.dongilmt.com
“올해 300억 실적… PLC 부문 10% 시장 점유한다” “올해 300억 실적으로 PLC 부문 10% 시장 점유하겠습니다.” 결코, 불가능한 목표가 아니다. 현재 PLC-S 기종의 경우 전년 대비 50% 이상 신장률을 보였고, CP/XP 시리즈는 조달청 우수제품으로 선정돼 영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디티시스템즈 김성훈 전무는 자동화 핵심 장비인 SCADA/HMI 소프트웨어, HMI 장치, PLC를 중심으로 개발과 보급에 모든 노력을 투입하는 한편, 해외시장에도 주력하여 KDT의 성장판으로 삼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Q 최근 PLC 업계의 주요 이슈를 짚어주십시오. A 해묵은 주제일 수도 있으나, DDC 시장과 DCS 시장이 PLC로 대체되는 마지막 단계에 와있다고 봅니다. 이미 많은 논의를 통하여, PLC와 DDC, PLC와 DCS 시스템 간의 장단점에 대한 여러 관점의 분석이 있었지요. 지금은 각 시스템에 대한 시장의 선택을 확인하는 단계라고 봅니다. 우선 DDC의 경우를 봅시다. 최근 10여 년 동안 몇 차례의 경제위기 과정을 거쳤지요. 또 한편으로, 네트워크와 전자기기 분야의 기술 발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전문가조차도 트렌드를 따라
“IoT 기반 지능형 자동화 리딩 기업 도약하겠다” 올해 30주년을 맞은 어드밴텍이 지능형 자동화 리딩 기업으로의 도약을 천명했다. 어드밴텍은 산업용 PC 시장에서 보여준 것처럼 IoT를 통한 자동화 사업에서도 넘버원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회사는 자동화 사업부와 인텔리전트 사업부를 두어 IoT 제품 솔루션을 통한 인텔리전트 자동화 구현에 주력하고 있다. 어드밴텍 한국지사 정준교 사장은 2017년에는 매출액 900억원의 지사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인터뷰에는 어드밴텍 자동화 사업부그룹 밍친우 사장과 어드밴텍 한국지사 정준교 사장이 함께했다. Q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얼마나 성장했다고 보는지요? A 어드밴텍은 현재 전 세계 20개 국가, 87개 주요 도시에서 지사가 운영되고 있으며 약 5,4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21% 성장이라는 괄목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어드밴텍 한국지사의 경우,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지난해 390억원, 지사 설립 15년 만에 13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Q 주력 사업과 운영계획을 말씀해주십시오. A 자동화 트렌드를 반영하여 크게 자동화 사업부와 인텔리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