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 DC-DC 벅 컨버터 6A/9A/12A 출력 공급전류로 12V 레일에 최적화된 통합 MOSFET 벅 레귤레이터의 최신 제품군 SuperSwitcherⅡTM (MIC2405x 제품군)는 6개의 범용 풋프린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크렐의 독자 기술인 HyperSpeed ControlTM 및 HyperLight Load®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DC-DC 벅 레귤레이터이다. 이 제품은 분산제어형 전력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킹, 인프라,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이크렐 ☎ (02)538-2380 www.micrel.com
CAN/Fiber 브리지 대만 ICP DAS社의 로컬 CAN 브리지(I-2533)는 광섬유 전송 매체를 통해 두 개의 CAN 버스 시스템을 연결시킨다. 이 제품은 CAN 및 광섬유 전송 매체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적인 CAN 버스 신호를 광섬유 케이블로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I-2533은 사용자 정의 보 레이트(Baud Rate) 및 필터 구성이 가능한 유틸리티 도구를 제공한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사용자 정의의 보 레이트 및 메시지 필터가 허용된다. 에이디씨씨스템 ☎ (02)866-0321 www.adcsystem.co.kr
PoE 임베디드 비전 시스템 대만 ADLINK社의 EOS-1200은 2세대 Intel® 샌디브릿지 Core i5/i7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4개의 독립적인 PoE(Power over Ethernet) 포트를 갖춘 최신 비전시스템이다. 이 제품은 견고하고 컴팩트하며 PoE 기능뿐만 아니라 여러 대의 카메라간 영상 획득 동기화를 맞출 수 있는 IEEE 1588(Precise Time Protocol)까지 지원하므로 설치 단순화, 유지보수의 용이성,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스씨스템 ☎ (02)866-0003 www.dassystem.co.kr
M2M/IoT 도입으로 업무 효율 UP M2M/IoT 기술을 적용한 제조업 공정 개선 에너지 절약하면 생산성이라는 부분은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에너지를 끄는 형태를 얘기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끈다고 하는 것은 결국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생산을 안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생산성을 올리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M2M/IoT 기술이다. M2M/IoT는 제조업의 공정을 개선하는 핵심기술로 에너지를 쓰되 생산성을 올리는 ICT 융합 기술이다. 미래 생산 시스템은 M2M 기반 u-매뉴팩처링 ‘기계+IT 융합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공장을 운영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만들어졌다. 공장자동화에 이런 시스템들을 적용하면서 e-매뉴팩처링, u-매뉴팩처링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여기서 ‘e’는 과거 공장자동화의 한 부분을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형 관리 및 생산정보화 기술을 이용해서 기계제어의 전자화, 정보부여와 다기능화, 작업자와 기계간의 통신을 하는 의미로 P2M(Peer to Machine)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도 초에는 이러한 P2M을 기반으로 한 e-매뉴팩처링이 널리 구축되었다. 2000년도 후반에는 외부(타 기계, 인간,
M2M/IoT로 에너지 소모량 30배 절감 M2M/IoT 기술을 적용한 제조업 공정 개선 차석근 에이시에스 부사장 에너지 절약하면 생산성이라는 부분은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에너지를 끄는 형태를 얘기한다. 그러나 에너지를 끈다고 하는 것은 결국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생산을 안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 생산성을 올리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바로 M2M/IoT 기술이다. M2M/IoT는 제조업의 공정을 개선하는 핵심기술로 에너지를 쓰되 생산성을 올리는 ICT 융합 기술이다. 미래 생산 시스템은 M2M 기반 u-매뉴팩처링 ICT 융합을 통한 공정 개선을 얘기할 때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가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트너가 선정한 2013년도 유망한 10대 기술에 속할 정도로 최근 정보기술의 핵심어로 부상하고 있다. 2010년도 이전만 해도 제조업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미래적인 관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시각으로 돌아섰으며, 국내 제조업체에서 구축된 사례도 있다. 그 다음으로 빅데이터이다. 이미 제너럴일렉트릭은 이러한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해 M2M과 접목하며 항공기엔진 등에
KEA 조직 개편1팀1센터 신설…창조경제 부응 계획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이하 전자진흥회)가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급변하고 있는 통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산업 및 기업의 수요와 이익에 부합한 통상정책이 가능토록 지원하는 통상전담부서로 국제통상팀을 신설해 통상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창업과 고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창업&고용지원센터를 신설, 창조적인 아이디어로 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여 창조경제 실현에 부응한다는 계획이다. 산업 총괄기능이 전자산업팀으로 이관되면서 동반성장, 제도 개선, 업계 애로 해소 등 산업 기반 강화 등을 통해 시너지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며, 홍보기능은 경영지원팀으로 이관해 각 사업부서와의 조율을 통해 KEA브랜드와 추가 지원 사업을 알리는 창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지난 연초 전자진흥회 회장으로 취임한 권오현 회장이나 남인석 상근부회장이 국내 전자·IT산업이 창조경제 실현과 일자리 창출, 행복국가 실현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겠다는 계획의 밑그림이 그려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는 향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확산과 중소기업의 글로
중소기업청하반기 중기 정책자금 지원계획 발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하반기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하반기 운용계획에는 기술력이 우수한 중소기업이 보다 쉽게 정책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특허담보 대출을 도입하고, 시설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기업당 대출한도를 30억원에서 45억원으로 대폭 높이는 한편, 글로벌 강소기업이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종을 전환하는 사업전환기업은 70억원까지도 대출하는 등 지원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중기청은 이와 관련 ▲기술력 우수 중소기업이 특허를 사업화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허권을 담보로 자금을 지원하는 ‘특허담보 직접대출’ 시범실시 ▲풀뿌리 제조업체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 소공인특화자금 대출한도를 2억원에서 5억원으로 대폭 확대 ▲중소기업 해외진출 역량 강화를 위해 글로벌 강소기업은 대출한도를 30억원에서 7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기업의 원활한 구조조정 및 재기지원을 촉진시키기 위해 ▲일시적 경영애로자금 지원한도를 대폭 확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업종을 전환하는 사업전환기업이 충분한 시설투자를 할 수 있도록 대출한도를 30억원에서 70억원으로 확대 ▲과거에 사업
ETRI와 Kdac지능형자동차 연구 본격 나선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와 Kdac(한국델파이)은 지난달 9일, Kdac 대구 본사에서 양 기관 대표 및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ICT 기반 지능형자동차 융합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대구지역 자동차부품산업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해 ▲ 지능형자동차 융합 분야 연구소기업 공동 설립 및 운영 ▲ ICT 기반 지능형자동차 융합 분야 기술개발 및 기술지원 ▲ 자동차 전장 분야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및 ISO26262 인증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주요 공동 연구과제로 차량용 스마트센서 기술 및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를 공동 개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ETRI는 이미 차량용 스마트센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Kdac의 글로벌 마켓을 활용해 양 기관이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향후 공동으로 연구소기업 설립을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했으며, ETRI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동차 분야 원천기술들을 사업화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ETRI와 Kdac은 향후 3년간 인력 및 기술정보 교류, 신 융
[SK텔레콤]사물통신 보안 솔루션 시장 공략 SK텔레콤은 최근 사물통신(이하 M2M) 모뎀에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 솔루션을 탑재한 M2M VPN 보안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국내 M2M 시장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M2M VPN 보안 서비스는 단순 통신기능에 국한됐던 M2M 모뎀에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VPN솔루션을 탑재한 서비스이다. SKT에 따르면 우선 기존 유선VPN 대비 큰 폭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기존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가상사설망인 VPN을 설치해 유선으로 연결해 왔는데 이 서비스로 대체할 경우, 회선 설치에 드는 비용이 50% 절감되며, 유지 보수 편의성이 크게 제고된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산간 및 도서 지역처럼 유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에는 공공기관, 은행 등의 지점 설치가 어려워 국민들이 많은 불편을 호소해왔으나 M2M VPN 보안 서비스를 활용하면 이런 부담이 해소되어 각종 공공기관 업무, 은행 업무, 보험 업무 등 암호화된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
[LG전자]친환경 자동차 사업 본격화 LG전자가 미래 성장사업인 친환경 자동차부품 연구개발을 본격화 한다. LG전자는 이와 관련 지난달 자동차부품 관련 조직을 통합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글로벌 자동차부품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VC(Vehicle Components)사업본부를 신설하는 한편,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에 위치한 LG전자 인천캠퍼스 준공식을 여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LG전자 인천캠퍼스는 연면적 10만 4621㎡(약 3만1648평) 규모이며, 자동차부품 연구, 설계, 시험 등 R&D 핵심 인력 800여명이 근무한다. 지난 2011년 11월부터 총 3,100억원을 투자해 완공했으며, 향후 LG전자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친환경 자동차부품 사업의 핵심 기지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캠퍼스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부품 사업을 하는 IVI(In-Vehicle Infotainment)사업부 ▲전기차용 모터, 인버터, 컴프레서 등을 개발하는 H&M(HVAC & Motor)사업부 ▲자동차부품 설계 엔지니어링을 담당하는 VE(Vehicle Engineering)사업부 등 VC사업본부 주요 부서가 위치한다.
[산업부]스마트 소형가전 명품화 추진 스마트 소형가전 명품화 전략이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아이디어와 기술력으로 단기간 기업 성장이 가능한 산업 영역인 소형가전 분야 명품화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소형가전 분야 글로벌 전문기업이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R&D 및 사업화 지원,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저가 중국산과 글로벌 브랜드 제품 간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아이디어 제품 위주로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공유, 홈쇼핑 협업 등 기술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소비자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연내 상품기획, 2014년 기술개발 등 사업화 전과정을 지원하는 한편 식품, 의류 등 생활기반 서비스 업체와 가전업체를 연계한 이업종 생활가전 유통망도 숍인숍 형태로 확충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국내외 소비자 풀을 구성하여 현지형 콘셉트 개발을 위한 상품기획 및 피드백 제공, 전문가와 애로기술 업체 간 연결 지원 등 인프라를 구축한다. 산업부는 이와 관련 산학연관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달 17일 소형가전 경쟁력 지원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산업부 허남용 정
초저배형 메모리 모듈 소켓 DDR3 DIMM 소켓은 표준 디자인보다 낮은 장착 높이로 설계됐다. 또한 ATCA 블레이드 시스템에서는 장착 높이가 최대 2.80mm 이하인 저배형 메모리 모듈을 사용했다. 10밀리옴의 낮은 레벨 접촉 저항값을 특징으로 하는 이 소켓은 표준 DIMM 모듈을 지원하며 블레이드 서버에서 전력 소비량을 줄여준다. 이 제품은 네트워킹, 스토리지 시스템, 고급 컴퓨터 플랫폼, 산업 제어기기 등 광범위한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한국몰렉스 ☎031-492-9000 www.korean.molex.com
NI PXIe-5645R 벡터 신호 트렌시버 NI PXIe-5645R은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아키텍처에 구축되어 있어 LabVIEW를 이용하면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의 차동과 싱글엔드 설정이 가능한 베이스밴드 I/Q 인터페이스가 추가됨으로써 최신 PC 및 FPGA 기술과 함께 더욱 빠른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 제품은 65MHz~6GHz 주파수 범위와 80MHz 순시 대역폭, 고속 디지털 I/Q의 24개 채널을 지원한다.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 02-3451-3400 http://korea.ni.com
FL Isolator 100-M12 네트워크 아이솔레이터 FL Isolator 100-M12는 M12 커넥터를 사용하는 모든 산업용 이더넷 환경에서 보다 견고하게 사용되도록 설계됐다. 특히, EN 50155 기준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했으며 구리로 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전위차와 최대 4kv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안정적인 보호기능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또 산업 환경 내에서 최대 100Mbit/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통신 노이즈에 대한 내성도 크게 향상시켰다. 피닉스컨텍트 ☎031-627-0454 www.phoenixcontact.co.kr
SN65HVD101/102 SN65HVD101/102는 로컬 회로에 최대 20mA까지 공급할 수 있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통합하고 있어 디스크리트 구현 대비 최대 50%까지 보드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최대 40V, 정상 상태 보호기능을 통합하고 있어 설치 불량이나 케이블 단선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그뿐만 아니라 IO-LINK PHY 디바이스에서 유일하게 -40~105℃까지의 동작 온도 범위를 지원해 혹독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TI 코리아 ☎02-560-6800 www.t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