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지멘스는 레이저 시스템 전문 제조기업인 트럼프와 파트너십을 새롭게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본 파트너십을 통해 레이저 메탈 퓨전 기술을 산업화하고, 적층 제조를 금속 부품 생산공정의 핵심 프로세스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현재 지멘스와 트럼프는 각 회사의 전문 역량을 결합해 3D 프린트된 금속 부품의 설계와 관련 준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협업하고 있다. 두 회사는 트럼프의 프린팅 머신용 Powder-bed 기반의 레이저 메탈 퓨전 프로세스 전체를 지멘스의 NX 소프트웨어로 통합해 간소화한다는 계획이다. TRUMPF build processor 기술을 통합한 이 솔루션은 적층 제조와 3D 프린팅 준비를 위한 부품 설계와 엔지니어링에 활용될 예정이다. 토니 헤멀건 지멘스 PLM 소프트웨어 대표 겸 CEO는 “새롭게 선보이는 양사의 통합 솔루션은 전체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걸쳐 스마트 제품 모델을 적용해 고객들에게 높은 수준의 프로세스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라며 “금속 부품의 설계, 시뮬레이션, 3D 프린팅과 NC 프로그래밍 툴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지
[헬로티] 제18회 선전 국제 기계제조산업박람회(SIMM 2017)가 2017년 3월 29일부터 4월 1일까지 선전 컨벤션&전시센터에서 열린다. 중국 남부 최대의 제조 박람회인 SIMM은 전시면적이 110,000m2에 달한다. 이번 박람회에는 중국 제4차 산업혁명 기계제조산업의 지능화 수준과 중국 주장강 삼각주 지역의 지역 제조 역량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전시업체로 가득할 전망이다. 주장강 삼각주는 엄청난 생산 역량과 거대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이곳은 지역 정부의 유리한 정책과 중국 남부시장과의 근접성 덕분에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 SIMM은 역동적인 시장과 유리한 정책 덕분에 중국 남부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제조 박람회로 빠르게 성장했다. SIMM 2017에서는 +GF+, HEXAGON, MAZAK, FANUC, TRUMPF 및 Han's Laser를 포함해 20개국 이상에서 1천 개 이상 업체가 최신 제조 솔루션을 전시할 예정이다. 주장강 삼각주는 제조장비 부문에서 가장 큰 잠재적 시장으로 부상했을 뿐만 아니라, 절삭 도구, 정밀 부품 및 부속 제품 같은 업계 소비재를 위한 높은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우리나라가 ‘의료분야 국제상호인정협정(APLAC-MRA)’에 가입하면서 의료기기의 해외진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임상검사 결과의 상호인정협정에 가입하기 위하여 관련 국제기구(APLAC)로부터 상호인정협정(MRA) 평가를 받았으며, 1일 의료분야 국제상호인정협정(APLAC-MRA)에 서명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삼성서울병원, 원자력의학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전북대병원 등 6개 기관이 국제공인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협정으로 임상검사 결과의 신뢰성 확보 및 해외환자 유치 등 한국 의료서비스 세계화의 기틀을 확립했다. 또한, 신약개발 및 의료기기 수출에 필수적인 임상검사를 해외기관에 의뢰하지 않고 국내 공인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어 고가의 검사비용 절감도 가능해졌다. 산업부는 국내 의료기관 인증을 위한 중복평가를 해결하기 위해 소관부처인 복지부, 식약처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대형병원뿐만 아니라 국내 의료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향상을 위해 국제공인제도를 보급,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
▲ 국산화 경항공기(KLA-100) [사진=건국대학교] [헬로티] 건국대학교 스포츠 급 경항공기개발 연구단이 순수 국내 기술의 가벼운 복합소재와 국내 IT기술을 활용한 국산화 경항공기(KLA-100)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경항공기(KLA-100)는 민간항공기 분야에서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되는 두 번째 경항공기로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과 민간항공기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개발된 경항공기(KLA-100)는 가볍고 강한 복합재 구조물(Composite material)로 기체를 만들어 진동에 강하고, 스핀(회전) 회복 특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효율 저탄소 신형엔진을 장착했으며 프로펠러도 비행상황에 맞게 피치(propeller pitch)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됐다. 항공기 기체 자체를 연착륙하게 하는 낙하산을 기본 사양으로 하고 많은 연료적재량(130L)과 긴 항속거리(1400KM), 자동조종장치(Autopilot) 등의 경쟁력을 갖췄다. 건국대학교 스포츠 급 경항공기개발 연구단 단장 이재우 교수는 “앞으로 경항공기(KLA-100) 2호기 제작, 지상시험, 비행시험 등을 통해 비행 안전성을 검증하고 안
[헬로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의 유해 물질은 환경을 오염시키며 작업자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분진 없이 깨끗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든다는 이념으로 설립된 크린에어테크는 최고의 집진기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다음은 “세계 최고의 집진기 기업으로 우뚝 서는 것”이 최종 목표라는 크린에어테크 서현석 대표이사와의 일문일답이다. ▲ 크린에어테크 서현석 대표이사 Q. 먼저 회사 소개를 간단히 부탁드립니다. 크린에어테크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 연기 등의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 전문 제조 기업입니다. 거의 모든 집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집진기 제작·설치 외에 대기 자가 측정, 환경인허가, 유해위험방지 계획, 정부지원 사업 등 집진기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대기환경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02년에 설립돼 최근 8년간 동종업계 매출 1위를 달성했고 지난해에는 환경부로부터 우수환경산업체로 선정됐으며, 올해 9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한 산업혁신운동에서 우수 기업으로 선정돼 산업통상자원부
[헬로티] 2004년에 설립된 케이원다이아는 다이아몬드 공구 전문 제조업체로서 지금까지 ‘고객의 성장이 곧 우리의 성장’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난삭재 소재의 고정밀, 고효율 다이아몬드 공구를 개발하며 전착 드릴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산업 발전에 기여해 온 케이원다이아의 김상근 대표이사는 “앞으로도 더 큰 책임의식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고객 감동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케이원다이아 김상근 대표이사 Q. 케이원다이아의 주력 제품으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다이아몬드 전착 제품으로 전착 드릴, 전착 리이머, 전착 코아 등을 다루고 있는데요. 특히 전착 드릴의 경우 일본에서 전량 수입되던 제품을 2008년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드릴은 수입 제품과 비교했을 때 수명은 90% 수준이고 납기는 5배 이상 빠릅니다. 즉, 일본에 제품을 주문하면 40일 후에나 받을 수 있지만, 저희는 7일 만에 납품이 가능하지요. 가격도 수입 제품에 비해 1/3 정도이므로 가격경쟁력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소결 제품인 세라믹 등 난삭재에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시계 제조 및 마이크로 기계 산업의 초정밀 기어 호빙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 Affolter Technologies가 웜 파워 스카이빙을 출시했다. 이 기술은 초정밀 웜을 단 6초 만에 완성할 수 있으며, 자동차 및 항공기 산업 제조업체들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폴터사의 Vincent Affolter 대표이사에게 이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자세히 들어 보았다. ▲ Affolter Technologies사의 Vincent Affolter 대표이사 Q. Affolter Technologies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A. Affolter Technologies는 전세계 16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아폴터 그룹의 계열사로, 1919년에 Louis Affolter가 스위스 말레래에 설립했습니다. 현재 4대째 가족 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중국에 자회사가 설립됐습니다. 당사는 폭넓은 유통망을 구축하여 전세계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Affolter Technologies은 주로 시계 제조 및 마이크로 기계 산업의 초정밀 기어 호빙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한국 내 유통
“한국 FA 시장의 잠재성은 높다고 보며 IO 링크 솔루션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하겠다.” 발루프코리아 강철민 대표는 발루프가 한국에 진출하게 된 가장 큰 이유로 한국 시장이 가진 잠재력을 꼽았다며 지사 설립과 함께 국내 고객들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안해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지난 1월10일에 법인 설립된 발루프코리아는 최근 IO 링크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국내 활동을 본격화했다. 체계적인 제품의 현지화를 모색하고 있는 발루프코리아의 비즈니스 성공 전략을 강철민 대표에게 들어봤다. Q. 발루프는 국내 고객에게 생소하다. 어떤 회사인가 A. 독일 기업 발루프는 1921년에 설립되어 2000년대 초반까지 센서 컴포넌트 관련 제품을 생산해오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솔루션 비즈니스로 방향을 전환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제조 트렌드에 맞춰 IO 링크나 트레서빌리티(Traceability)에 필요한 RFID에 센서를 연결해서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토털 솔루션을 공급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발루프는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로컬에 맞는 신제품을 개발 중이며, 전 세계에 26개의 지사
유비콤은 대학 보유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자금을 출자하고 유비쿼터스 바이오 정보기술 연구센터가 핵심기술을 이전해 설립된 신기술 창업 전문회사다. 유비콤은 지난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ECOG 건물관리용 전력제어 시스템과 UbiAmi 무선원격 검침 시스템을 출품했다. ECOG 건물관리용 전력제어 시스템은 조명 및 냉난방기를 무선으로 중앙에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리모컨 신호로 제어할 수 있어 개별로만 제어되던 조명 및 냉반기를 중앙에서 통합관리하며 제조사나 형태 구분 없이도 모든 냉난방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 강제 전원 차단으로 인한 냉난방기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제어모드는 온도 제어, 피크 제어, 재실감지 제어, 스케줄 제어, 그룹 제어, 우선순위 제어 등 다양한 제어모드가 있다. 별도의 배선 설계가 필요 없는 무선 시스템으로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네트워크 추가 연동이 편리해 소규모로 연차적인 투자가 가능하다. ECOG 건물관리용 전력제어 시스템이 고장났을 때에도 무선 시스템인 특징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A/S 조치하는 데 용이하다
엔박은 산업현장의 에너지 절감과 에너지 균형을 위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유챵 측정 및 열회수 전문기업이다. 엔박은 산업현장의 에너지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에너지 사용의 최적 환경을 제공하고자 자체 브랜드인 질량유량계 FLOMASTER와 오일콤프레셔 폐열회수장치 ENMASTER를 최근 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한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한 엔박은 질량유량계 FLOMASTER와 오일콤프레셔 폐열회수장치 ENMASTER 등을 대거 선보였다. 질량유량계 FLOMASTER는 유체의 온도와 압력이 반영되지 않고 측정되는 기존의 체적유량계의 단점을 보완했다. 유체의 팽창과 수축을 반영한 질량유량과 에너지 유량을 측정하는 산업 공정과 더불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정에 주로 사용된다. 수요처로는 석유화확 공장, 냉매공장, 발전공정, 스팀생산공정, 조선해양산업 등에 최적화할 수 있다. FLOMASTER의 생산은 ISO 9001:2008 품질시스템에 따라 제공되며 유량연산 및 제어부의 케이스는 내압방폭 구조로 제작돼 안전하게 운용된다. FLOMASTER의 정확도는 +/-0.5%를 만족한다. 또한 엔박은 주력 사업인 유량계 외에도
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는 올해로 36회째를 맞이한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와전류 보일러와 유리발열 보일러를 소개했다. 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고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발하는 무선 네트워크 전문 기업이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인 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는 무선영상 전송 모듈 개발 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도 신기술을 개발해 고효율 와전류 발열 보일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아크웨이브솔루션스코리아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인 와전류발열 기술을 기반으로 유리 발열 보일러와 나노세라믹 발열 코팅 등 고효율의 난방 기기를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에 보급하기 위해 신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최첨단 무선 영상시스템과 무선 네트워크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융복합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며 고효율 고품질 고성능의 난방기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와전류발열 보일러는 강력한 자석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열변환을 통해 에너지를 만드는 보일러다. 와전류 발열장치의 핵심인 회전발열체의 제작기술, 발열회전체와 배수관의 적절한 배치기술 온수관 설치에 관해 회전자와 배관의 간극 조정기술, 회전체 부분에 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밀한 조정 기술 등의
방주에너지는 지난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했다. 방주에너지는 2000년에 설립된 에너지 절감 및 폐수냉각 환경 설비 전문회사다. 주요 생산 품목은 페열회수 히트펌프와 무동력 폐수 열회수기이며, 주로 에너지 절감 사업을 하고 있다. 방주에너지는 기존 폐열 회수 방식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했고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핵심 원천 기술로 각국 특허 등록을 취득했다. 현재 설치 가동중인 히트펌프 및 폐수열회수기 시스템은 방주에너지의 특허 기술인 브러쉬 구동 자동청소 방식으로, 청소가 100% 깔끔하게 이뤄지며 역세 및 약품 세관이 필요 없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안정적인 운전으로 기계 수명을 최대로 연장한다. 별도의 냉동기 없이도 온수를 생산하면서 여름철 냉방, 냉탕 장치까지 겸할 수 있다. 방주에너지는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무인자동 특수 폐수열회수기, 수열원전용 특수증발기, 다단식 원형셀 무인 자동 특수 증발기 등을 대거 선보였다. 무인 자동 특수 폐수 열화수기는 전열관에 달라붙는 슬러지와 미생물 등을 브러쉬로 하루 최대 90회 이상 자동 왕복 청소해줌으로써 막힘 현
소형풍력발전기, 하이브리드 가로등을 생산하는 신재생 에너지 전문기업인 미래테크는 지난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했다. 미래테크는 하이브리드 가로등의 특허등록 및 녹색기술인증, 환경마크를 획득하고 우수제품지정을 받는 등 기술력과 녹색성을 인정받은 친환경 기업이다. 기존의 일반 프로펠러형 풍력 발전기는 와류현상으로 날개 끝에서 격렬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며 내구성이 약해 2년~3년 내에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미래테크의 루프형 블레이드 소형 풍력발전기는 루프형 날개 끝을 곡면으로 제작하여 소음이 전혀 나지 않으며, 1.6m/s 미풍에도 가동이 된다. 수평형 풍력발전기나 수직형 풍력발전기는 전자제어에 의존해 태풍시 파손 우려가 있는 반면, 루프형 하이브리드 풍력 발전기는 기계식의 3중 안정장치로 풍속제어 장치인 원심 에어브레이크, 자기 감속기능인 루프형 블레이드,풍압편향판이 탑재돼 강풍에 대처한다. 특히 4중 안전장치 외에도 Oil-Bath 방수축과 특수 베어링을 채택하여 메인 샤프트의 양쪽 끝단 고정을 트러스트 구조로 지지하기 때문에 설계수명을 20년으로 보증한다. 또한, 풍속제어 제동장치의 원심
레딕스는 LED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연구개발, 보급하는 기업이다. 2008년 설립된 이래, 2010년에는 LED조명의 장수명을 실현하는 AC 직결형 구동 드라이버 IC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LED 공장 제작에 적용했으며 AC 직결형 구동 드라이버 IC와 방열 기구의 디자인을 등록하고 특허를 받았다. 레딕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한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LED 투광등과 LED 직관등을 출품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레딕스 조명 라인은 LED가로등&보안등, LED공장등, LED다운라이트, LED면조명, LED직관등, LED주차장등, LED벌브등, LED터널등, LED산업등으로 고객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생산, 보급하고 있다. 레딕스의 LED 투광등은 산업등, 실내외 체육관, 공원 등의 메탈할라이드 램프 대체용이다. AC직결형 구동 드라이버 IC 적용으로 기존 LED조명의 3배~4배의 이상 장수명을 지원한다. 또한 최적화된 방열시스템을 적용한 회로기술이 적용됐으며 SMPS 교체가 불필요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한다. 컨버터 외장형인 LED 직관등은 직하방식의 높고 균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한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이 지난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국내외 300여개 업체가 참여한 이번 에너지대전은 에너지신산업은 물론 고효율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 전시회다. 올해로 36회째를 맞이한 2016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이 지난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에너지신산업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등 국내외 270여개 기업이 참가해 총 1,100개 전시부스로 최신 제품·기술이 전시됐다. 올해 전시는 신재생에너지전 및 녹색에너지전이 통합 개최돼 에너지신산업관 212부스, 신재생에너지관 162부스, 에너지효율관 142부스, 지자체관 등 공동협력관 241부스로 구성됐다. 특히 해외기업 특별관에는 12개국의 32개 해외기업이 66부스 규모로 직접 제품을 선보이며 국내외 기업 간 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에너지신산업 특별관에서는 직접 현장을 찾아가야만 가능했던 에너지신산업 주요 모델에 대해 실감 체험할 수 있도록 VR(가상현실) 체험관을 마련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