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Bank [헬로티] 12월 20일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 1주년을 맞았다. 지난 1년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은 이전 1년에 비해 10.9% 감소했다. 하지만 한중 FTA 혜택품목 수출은 4.0% 감소하는데 그쳐 FTA가 대중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 물량을 보면 전년 대비 11.4% 증가했으며, 한국산 제품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10.5%로 1위를 유지했다. 수산물과 소비재의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해 수산물의 경우 그 증가율이 24.9%에 달했고, 섬유제품 증가율도 17.1%였다. 농산물 수출 역시 2.8% 증가했다. FTA의 수출 활용률은 발효 초기 8.2%였으나 매월 꾸준히 상승해 올 11월에는 38.3%였다. 이는 한중 FTA와 교역 구조가 비슷한 아세안보다 빠른 것이다. 아세안은 5년차 활용률이 33.1%였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1조2천억 원 규모였고, 수입은 1천90억원여서 전자상거래 무역수지 흑자 폭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4.8% 감소했다. 특히 중국산 공산품 수입이 5.9% 감소한 것을 비롯해
[헬로티] 한국델켐은 오는 2017년 3월 7일부터 5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제23회 국제금형 및 관련 기기전시회(INTERMOLD KOREA 2017)’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인터몰드 코리아는 세계 3대 금형산업 전문 전시회 중 하나로,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동종 업계 최대 규모로 참가할 계획이다. 한국델켐의 메인 부스에서는 파워밀(PowerMILL), 피쳐캠(FeatureCAM), HDAS 등 제조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한국델켐 제조 솔루션의 주요 기능 소개가 이루어진다. 매년 한국델켐 전시회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는 섹션 중에 하나인 오픈 프레젠테이션 섹션에서는 2017년도에 새롭게 업데이트된 기능을 포함해 솔루션들의 주요 기능을 데모 시연 방식으로 진행한다. 지난해 성공적으로 런칭한 제조 정보화 솔루션 ‘에임스(AIMS, Adaptive & Intelligent Manufacturing Solutions)’의 업데이트된 기능들도 선보인다. 에임스는 2016년 한해 동안 스마트공장추진단과 여러 협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조기업에 판매가 되어 활발히 활용 중에 있다. 이외에도 고객사들의 공정의 표준화
[헬로티] 에너지절약 전문기업 금호이앤지가 12.0W의 고효율 LED 직관형 램프를 개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12.0W LED 직관형 램프는 금호이앤지가 취득한 고유 특허 기술에 기반하며 전력 소비도 효율적이다. 현재 국내에서 많이 쓰이는 32W 형광등을 12.0W LED 직관형 램프로 대체하면 약 62%의 에너지와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어, 2020년까지 형광등 퇴출을 목표로 하는 세계적인 추세에도 부응하는 제품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광효율이 200lm/W 이상이라는 점도 주목된다. 금호이앤지가 제공하는 190.3lm/W 12.2W LED 램프의 경우 광효율이 190.3lm이었는데, 이번 12.0W LED에선 수치가 상승했다. 이와 관련해 금호이앤지는 광효율 200lm/W 이상의 제품 개발은 자체 기록을 또 한번 경신한 것으로 기술력을 증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호이앤지 이임식 대표는 “이번 12.0W 개발은 에너지절약을 실현하려는 노력의 결실이었으며,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한 우수한 고효율 에너지 제품 보급으로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연주 기자(eltred@hellot.net)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에 의해 CES 2017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두 분야 수상자로 선정됐다. CTA가 주최한 연례 CES 공개 뉴욕 행사에서 온세미컨덕터의 Ezairo 7150 SL 오디오 프로세싱 하이브리드 모듈은 공식적으로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기술’ 부문, 스마트 패시브 센서 (SPS) 솔루션은 ‘임베디드 기술’ 부문에 올랐다. 모든 심사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Ezairo 7150 SL과 SPS는 CTA가 선정한 '작지만 독점적인 제품'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두 개의 수상을 받은 오디오 프로세싱 하이브리드 모듈의 혁신은 무선 기술을 통해 보청기 착용자의 삶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스마트 패시브 센서는 사물 인터넷 구현을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킹을 다루고 있다. Ezairo 7150 SL은 콤팩트하면서도 오픈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싱(DSP) 기반 하이브리드 소자로, 보청기 및 달팽이관 보형물의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오디오 DSP EEPROM 메모리와 무선 IC를 하나의 소형 패키지에 집적한 이 하이브리드 모듈은 보청기 제조업체가 전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16일 여의도 전력기반센터에서 전력정책심의회를 개최해 ‘제8차 전력수급계획’ 에 대해 논의했다. 전력수급계획은 전기사업법 제25조에 의거해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2년마다 수립하는 계획이다. 이번 심의회는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8차 전력수급계획 추진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하는 자리로, 참석자들은 8차 계획이 다양한 전력생산원의 등장, 분산형 전원 확대, 전기화 진전, 기후변화 대응 등 변화된 여건들을 반영하면서도 안정적 전력공급이라는 핵심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데 공감을 표했다. 또한, 수급계획 수립의 핵심은 합리적 수요예측, 안정적 전력수급을 위한 전원믹스 구성, 다양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는 수요관리 강화, 분산전원의 확산을 뒷받침하는 전력계통의 보강 등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부는 위원들이 제시한 다양한 의견을 수급계획 수립 과정에서 적극 반영하고, 향후 다양한 배경의 전문가 소위 등을 구성·운영해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김연주 기자(eltred@hellot.net)
[헬로티] 실리콘랩스(지사장 백운달)는 홈 오토메이션 시장을 위해 가정에서의 생활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며 에너지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사물인터넷(IoT) 연결 기기 솔루션을 제공하는 새로운 무선 동체 감지 센서 및 스마트 아웃렛 레퍼런스 디자인 2종을 출시했다. FCC 및 UL 사전 인증을 획득한 이들 레퍼런스 디자인은 실리콘랩스의 지그비 ‘골든 유닛(Golden Unit)’ 홈 오토메이션(HA 1.2) 소프트웨어 스택과 멀티프로토콜 무선 게코(Wireless Gecko) SoC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미래지향적인 커넥티드 홈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와 펌웨어, 그리고 소프트웨어 툴을 포함하고 있다. 실리콘랩스에 따르면, 이들 신제품은 홈 오토메이션 기기 제조사와 개발자가 지그비 메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해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시스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개발자들은 새로운 이들 턴키 레퍼런스 디자인을 이용해 사전 인증된 무선 기술과 오픈소스 하드웨어 설계 파일,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설계 콘셉트부터 최종 제품까지 신속하게 앞서 나갈 수 있으며, 검증된 테스트 설정 및 제
[헬로티] 나노 신소재 전문기업 나노브릭이 글로벌 가전부품 전문업체 E·G·O 사와 손잡고 주방가전에 탑재되는 정품 인증 감성 소재를 공동 개발한다. 최근 나노브릭은 E·G·O(Elektro-Gerätebau GmbH)와 LOI(Letter of Intent: 대상 기업에 대해 투자 의사를 표현하는 문서. 계약이 최종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에 두 당사자 이상이 협약의 대략적인 사항을 문서화하는 것)를 체결하고 나노브릭의 원천기술인 나노 신소재(MTX)를 적용한 정품 인증 감성소재를 함께 연구 및 개발하기로 했다. MTX는 나노브릭이 양산화에 성공하여 생산, 공급하고 있는 나노 신소재다. 85년의 역사를 가진 E·G·O는 세계 유명 가전업체에 전열 제품(Heating Appliance) 및 생활·주방가전제품의 부품(발열체, 컨트롤러 등)을 공급하고 있다. E·G·O 그룹은 스위스 추크(ZUG)에 위치하며, 전 세계 18개 국가에서 6,00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나노브릭 관계자는 "MTX는 나노브릭의 정품인증라벨 ‘엠태그(M
[헬로티]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사물인터넷(IIoT) 기반의 스마트 제조 시대에 적합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외로 다양한 활동과 투자를 꾸준히 전개하며, 제조업 리더십뿐 아니라 제조업 발전을 위한 기업 및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블레이크 모렛 사장 겸 CEO는 최근 약 1만 4천 개의 제조업체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제조업을 위한 정책 연구 단체인 전미제조업협회(NAM)의 이사회 및 최고 경영자 위원회 중 한 명으로 선출되어 1,200만 여명의 제조업계 종사자를 대표하는 리더십을 표방하고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제조업 발전과 육성을 위한 노력에 힘을 실었다. 제4차 산업혁명의 중심이 되는 스마트 공장 및 스마트 제조 시대의 개막은 기존의 산업과 일자리 구조를 변혁시키고 있으며, 기존 산업 인력의 은퇴 시기와 맞물려 새로운 인력들이 진입할 때 겪을 수 있는 기술 격차가 큰 위험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의 최선남 대표이사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라는 스마트 제조 비전을 실제로 현장에서IT와 OT(제조운영기술) 간 융합을 통해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 양성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는 이제 로크웰
[헬로티]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레일투레일 입력 공통모드 범위를 지원하는 8개의 동시 샘플링 채널이 특징인, 채널당 1.5Msps 성능의 16비트 무지연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DC 신제품 'LTC2320-16'을 출시했다. LTC2320-16은 차동, 단극 또는 양극성 아날로그 입력 신호 뿐만 아니라 임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나이퀴스트(Nyquist) 주파수까지 입력 신호를 샘플링 할 때 82dB의 신호대잡음비(SNR)와 102dB의 높은 공통모드 제거비(CMRR)를 유지하는 유연한 아날로그 프런트엔드(AFE)가 특징이다. 입력 대역폭이 넓어서 750kHz의 나이퀴스트 주파수까지 입력 신호의 디지털화가 가능하다. 이와함께 LTC2320-16은 드리프트가 낮고 20ppm/ºC의 최대 온도 계수를 보증하는 정밀 밴드갭 레퍼런스를 55mm2 크기의 작은 QFN-52 패키지에 통합하고 있어 밀집도가 높은 설계에서 PCB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내부 레퍼런스가 두 개 채널로 구성되는 각각의 쌍에 대해 최대 4개의 별도 외부 레퍼런스로 오버드라이브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헬로티]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용 고성능 반도체 분야 글로벌 기업인 아나로그디바이스(이하 ADI, 한국 대표이사 양재훈)는 비센트 포토닉스(Vescent Photonics)로부터 고체 레이저 빔 조종 기술을 이전 받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ADI는 지난 11월 빈센트 포토닉스의 이 기술을 인수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ADI는 이를 통해 차세대 ADAS 및 자율 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자동차 안전 시스템 기술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회사에 따르면, 비센트의 비기계식 빔 조종 기술을 사용하면 오늘날 상당한 부피를 가진 기계 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안정성, 크기, 비용 문제의 상당수를 해결함으로써 통합 LIDAR 시스템을 더욱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자동차 주행 안전 부문 총괄 사장인 크리스 제이콥스(Chris Jacobs)는 “ADI의 솔루션은 지난 20여년 간 에어백과 전자식 주행 안정 장치(ESC)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관성 MEMS 센서부터 24GHz 및 77GHz 자동차 RADAR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이들의 목숨을 구하는 데 일조해 왔다”며 “고체 레이저 빔 조종 기술은 전세계의 모든 신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신세대 공정 기술을 이용해 16V CMOS 듀얼 및 쿼드 아날로그 컴퍼레이터를 업그레이드 출시했다. ST에 따르면, 새로운 TSX393, TSX339, TSX3702, TSX3704는 전 세대 IC와 호환이 가능하며 경쟁 제품인 바이폴라 컴퍼레이터에 비해 CMOS 디바이스의 성능 및 효율 상의 장점을 크게 향상시켰다. 2.7V ~ 16V에 이르는 넓은 단일 공급전압 범위를 제공하고 산업 및 자동차 장비를 비롯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전압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이 신제품 디바이스는 -40°C~125°C의 온도 범위를 제공하고, 기존 세대 제품에 비해 나은 ESD 성능을 갖추고 있어 혹독한 환경조건에서 사용되는 센싱 및 제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SX393는 2개, TSX339는 4개의 컴퍼레이터를 통합하고 있으며, 오링(ORing)이나 레벨 시프트가 필요한 회로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오픈-드레인(Open-Drain) 출력을 갖추고 있다. 듀얼 TSX3702 및 쿼드 TSX3704는 풀-업(Pull-Up)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시그널링이 가능하도록 푸
[헬로티]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는 30A 스텝다운 µModule (파워 모듈) 레귤레이터 'LTM4647'를 출시했다. 리니어에 따르면, LTM4647은 인덕터, MOSFET, DC/DC 컨트롤러 및 보조 부품을 9mm x 15mm x 5.01mm BGA 패키지에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디바이스는 70℃에서 히트싱크 또는 에어플로우 없이 최대 30A가 연속으로 공급되는 조건에서 30A, 12V 입력, 1V 출력일 때 87%의 효율을 나타낸다. LTM4647은 병렬로 6개 디바이스를 연결해 전류 공유를 함으로써 최대 180A까지 공급할 수 있다. 총 출력 전압DC 정확도는 레퍼런스, 피드백 저항, 라인, 부하 및 온도(–40℃~125℃)에서 ±1.2%이 보장되며, 내장된 감지 증폭기는 높은 부하 전류 때문에 발생되는 PC 보드의 트레이스 임피던스로 인한 전압 드롭을 보상한다. LTM4647은 소형 패키지와 정밀 전압 정확도가 특징으로, 고밀도 시스템 보드의 PCB 공간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FPGA, ASIC, 마이크로프로세서, GPU와 같은 저전압 고전류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상적이다. 이 제품은 PC
[헬로티] 오늘날 자동차 안에서는 CAN을 사용해서 약 60개의 ECU가 서로 통신하고 있다. 네트워킹이 가속화되고 편의성 및 자동화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서 차량내 통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프로토콜의 개정 버전인 CAN FD(CAN Flexible Data)는 더 높은 데이터 대역폭 및 전송 속도가 가능하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래밍, 테스트 및 진단 루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SOTA)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인피니언이 차량내 통신 속도, 보안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TLE925x CAN FD 트랜시버를 출시했다. 인피니언에 따르면, 이 신제품을 사용함으로써 현재보다 최고 30배까지 빠르게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다. TLE925x는 최대 5Mbit/s의 전송 속도를 달성한다. 전통적인 CAN 트랜시버가 최대 8바이트인 것에 비해서, TLE925x 같은 CAN FD 트랜시버는 메시지당 최대 64바이트의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지금까지 가능했던 17비트가 아니라 21비트 체크섬을 사용해서 전송된 데이터가 송신 제어 장치와 일치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더 긴 체크섬을 사용하면 제어 장치들 사이에 신
▲ 이노그리드와 이트론이 함께 개발한 국산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CCA)가 이번 해양 재난망 시범사업 참여로 국산서버시장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자료: 이노그리드) [헬로티] 국내외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양사고의 경우는 구조도 힘들고 대형 인명 피해로 이어지기 쉽다. UN산하의 국제해사기구(IMO)는 인적 과실에 의한 해양사고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 도입을 결정, 2018년부터 시행하기 위해 국제협약 제·개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도 국가재난망 구축 시 확보된 다양한 국산기술과 제품 솔루션들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글로벌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 이노그리드(대표이사 조호견)는 국산 서버 시장의 확대를 위해 국산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CCA) 개발 및 생산을 위해 이트론(대표이사 노성혁)과 사업 제휴를 맺고 최근 조달청과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에서 발주한 초고속해상무선통신 시험망(LTE-Maritime) 구축사업에 이트론과 함께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국산 어플라이언스(CCA)를 공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초고속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기술수요자인 중소기업 간 기술수요 발굴 및 애로기술 해결 등을 위한 기술정보 교류의 장인 ‘출연(연)-중소기업 기술지원협의회’가 본격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 협의회는 올해 8월 미래부에서 발표한 ‘출연(연) 중소·중견기업 지원효율화 방안’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출연(연)과 중소기업 간 밀착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 교류를 강화하기 위해서 추진됐다. 협의회는 중소기업의 기술수요 발굴 및 애로기술 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전담인력과 중소기업 CTO, 기술사업화 전문가 등이 참여하게 된다. 기업의 다양한 기술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협력환경 조성을 위해 기계·소재, 전기전자·정보통신, 바이오·화학, 에너지 자원 등 주요 분야별로 4개 분과를 구성하고, 각 분과별 15명 내외로 편성된다. 또한 분과별 회의는 분기 1회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필요시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출연(연)과 중소기업단체 간 공식 협력 채널을 확보함에 따라 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