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로봇 전자눈’ 구현 앞당긴 초소형 IR 센서 기술 개발
-
KAIST, 젠슨황 ‘협력 제안’에 즉각 호응...“AI·로보틱스 공동혁신 추진”
-
KAIST, ‘컨텍스트 무결성 침해’로 인증 없는 메시지 공격 가능성 입증
-
‘영원한 화학물질’ PFAS, KAIST 기술로 1000배 빠른 정화 가능
-
KAIST, AI 활용해 ‘기후리스크에 강한 상권’ 찾아낸다
-
에니아이, 150조 美 햄버거 시장 진격...뉴욕에 ‘알파 그릴’ 첫 공급
-
KAIST, 그린수소 전지 10분 완성 기술 개발 “수소경제 게임체인저”
-
KAIST, AI 프론티어 심포지엄 개최...글로벌 협력 강화
-
KAIST, IoT 데이터로 우울·불안·스트레스 변화 정밀 추적
-
KAIST, 브랜드 수익 학생에 환원...실천형 ESG 연구 플랫폼 출범
-
‘PIMBA’로 AI 반도체 새 지평...KAIST, LLM 속도 4배 높인 기술 공개
-
KAIST “환경 규제 강한 나라일수록 전기차 경쟁력 높아”
-
“세포도 AI가 설계한다” KAIST, 약물·유전자 예측 기술 공개
-
KAIST, 데이터 보안 강화한 차세대 연합학습 AI 개발
-
사람처럼 보고 읽는 AI…데이터 편향 극복한 학습 기술 개발
-
KAIST, 버넥트 손잡고 K-메타버스 연구 플랫폼 조성
-
KAIST 연구팀, 차세대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 생산 길 열어
-
'문워크·오리걸음 척척’...국산 휴머노이드 로봇 하체 플랫폼 ‘눈길’
-
테솔로, ‘문워크 하는 로봇 손가락’으로 주목...기술 전문 매체에 등재돼
-
KAIST, 여성 문자 ‘여서’ 현대 기술로 확장...국제상 수상
-
KAIST, 기초연구 기반 신약개발...7500억원 기술이전 성과
-
[봇규의 헬로BOT] 생존 조건이 된 로봇 혁신 ① | 전문가가 답한 미래向 키워드는 ‘오픈소스·탈중앙화·보안’
-
“로봇, 스펙에서 맥락으로”...‘로봇 친화 도시’의 해법 모색하다 [헬로즈업]
-
KAIST, 물리법칙 결합 AI로 신소재 물성 규명 효율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