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최신 CPU 동시성 버그 해결 기술로 구글 어워드 수상
-
화학 염색 없이 무지개색 섬유 생산하는 생물제조 기술 개발
-
UNIST, 2차원 반도체 상용화 앞당길 새 이론 제시했다
-
전력 없는 냉난방 시대 연다...KAIST, 자율 열관리 기술 첫 구현
-
디스플레이 후면에서도 정확한 컬러 스펙트럼 감지 센서
- 2025-11-18 15:19
- 달리보르 스토이코비치 연구개발 부문장, 밀리안 페트코비치 광 센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디렉터 / ams OSRAM
-
보는 로봇, 생각하는 공장: 인간의 감각과 데이터의 협업으로 완성되는 제조 AI의 시작점
- 2025-11-18 15:05
- 방성덕 아이브(AiV) AI 리서치 그룹장
-
KAIST, 광학 양자연산 분석 기술 개발...양자컴퓨팅 신뢰성 높인다
-
UNIST, 전고체 배터리 수명 늘리는 ‘연신 필름 전해질’ 개발
-
DGIST,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전환하는 고효율 광촉매 개발
-
인하대 연구팀, 3D 재구성 정확도 높이는 AI 기술 개발
-
체열로 전기 생산...UNIST, 차세대 자가발전 웨어러블 기술 제시
-
GIST-경북대, 전기·빛으로 제어 가능한 뉴로모픽 AI 반도체 기술 개발
-
DGIST, 3차원 구조로 스스로 냉·난방 전환하는 에너지 절감 기술 구현
-
KAIST, 리보플라빈 금속화로 차세대 인공 효소 기술 확보
-
스마트 유지보수로 나아가는 공정 산업의 혁신
- 2025-11-11 13:22
- 에릭 린드옘, 에머슨 아시아 태평양 사장
-
LTspice 활용 시 서드파티 모델 가져오는 방법
- 2025-11-11 13:00
- ADI 안 마하페이(Anne Mahaffey) 수석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마이클 포츠(Michael Potts), 스태프 FAFE
-
병렬 SiC MOSFET: 임계전압의 숨겨진 역할
- 2025-11-10 18:13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
KAIST, 암 전이·면역 질환 원인 규명 새 길 열었다
-
시뮬레이션과 AI를 활용한 새로운 분자·물질 개발
- 2025-11-09 09:57
- 스미다 마사토, 이화학연구소 혁신지능통합연구센터 분자정보과학팀
-
산업 현장 소음성 난청·소통 부재 문제, ‘물리 기반 AI’로 해결
-
AI가 직접 택시 부르고 SRT 예매...KAIST, 행동형 AI ‘FluidGPT’ 개발
-
사진 몇 장으로 실감형 3D 복원...KAIST, ‘SHARE’ 기술 공개
-
빛·전압으로 색 제어...GIST-KAIS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KAIST-서울대, 상온서 작동하는 차세대 고체 전해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