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디지털화 위한 가상 세계와 첨단 워크플로우 구축 가속화
엔비디아가 새로운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의 주요 릴리스를 발표했다. 이 업데이트를 통해 개발자와 기업은 오픈USD 프레임워크와 생성형 AI로 3D 파이프라인을 최적화하고 개선한다.
옴니버스는 3D 도구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설명하며 시뮬레이션하는 오픈USD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산업 디지털화를 위한 가상 세계와 첨단 워크플로우의 구축을 가속화한다. 이제 세슘, 컨베이, 무브 AI, 사이드FX 후디니, 원더 다이내믹스가 오픈USD를 통해 옴니버스에 연결된다.
플랫폼 업데이트의 주요 특징으로는 네이티브 오픈USD 애플리케이션과 확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엔진인 옴니버스 키트, 엔비디아 옴니버스 오디오투페이스 기반 앱, 공간 컴퓨팅 기능의 발전이 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와 시뮬레이션 기술 부문 부사장인 레브 레바레디안(Rev Lebaredian)은 “기업들은 워크플로우를 디지털화하기 위해 경쟁하며, 이에 따라 오픈USD를 지원하는 상호 운용이 가능한 커넥티드 3D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최신 옴니버스 업데이트를 통해 개발자는 오픈USD를 기반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해 도구를 개선하게 됐다. 기업은 크고 복잡한 월드 스케일의 시뮬레이션을 구축해 산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테스트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