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피싱조직 차단 나선다...금융위, AI 플랫폼 ‘ASAP’ 가동

2025.10.29 15:29:50

이창현 기자 atided@hellot.net

 

금융위원회가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정보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금융위원회는 29일 경기도 용인시 금융보안원에서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SAP)’ 출범식을 개최하고,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과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ASAP은 ‘Anti-Scam AI Platform’의 약자로, 금융권 전반의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통합·분석해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다. 금융회사 간 신속한 정보 전달을 통해 국제 범죄조직의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 플랫폼에는 총 90개 항목(9개 유형)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주요 항목은 ▲피해자 계좌 관련 정보(14개) ▲범죄에 이용된 계좌 정보(18개) ▲해외 범죄조직의 해외계좌 정보(8개) ▲위조 신분증 정보 ▲경찰 수사 추정 피해자 정보(4개) 등이다.

 

예를 들어 특정 국가의 범죄조직이 보이스피싱에 이용한 해외계좌가 포착되면, 해당 정보가 ASAP을 통해 즉시 금융회사·수사기관 등에 전파돼 송금이나 이체가 즉시 차단된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출범식에서 “캄보디아 범죄단지 사건이 보여주듯 보이스피싱은 국제적이고 조직적인 사기행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정부와 금융권, 유관기관이 협력해 범죄의 근본적 차단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ASAP 가동으로 해외 피싱조직의 국제 자금망 추적과 차단 능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에는 금융회사별로 개별 대응이 이뤄져 전체 범죄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이제는 AI가 정보를 실시간 분석·연계함으로써 대응 속도와 정확도가 대폭 향상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금융위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후속 정책도 병행 추진한다.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주도로 진행 중인 정보보호 체계 전수점검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해킹 등 침해사고로 인한 정보 유출 시 징벌적 과징금 도입, 금융권 정보보호 공시제도 도입,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 권한 강화 등을 담은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AI 기반 ASAP 플랫폼 출범으로 해외 피싱조직의 범죄 자금 흐름을 차단하고, 금융 소비자의 피해 예방과 보안 체계를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