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 “암흑 상태 기반 자발적 양자 얽힘, 실험으로 구현”
-
SDT, 중성원자 양자컴퓨터 개발 위한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
표준연, 6G 통신 안테나 성능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
-
표준연, 6세대 통신 주도권 선점할 전자파 측정표준 확립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UAM 소재기술 개발 등 융합연구단 4곳 출범
-
[인터뷰] 이윤우 박사 “새로운 기술혁신은 광산업 신기술에서 나올 것”
-
종이보다 얇은 이차원 반도체를 빛으로 땜질 가공하는 기술 개발
-
LG전자, 6G 테라헤르츠 대역 실외 320m 무선 전송 성공...그 의미는?
-
표준연, 초전도 나노전기역학 소자 활용한 마이크로파 주파수 빗 생성기술 개발
-
표준연, 3,000K 이상 초고온 극한소재의 열물성 정밀측정기술 개발 성공
-
‘측정표준, 디지털 세상의 기준’...표준연, 세계측정의 날 기념행사 개최
-
'피부에 착붙' 전자패치로 심근경색·부정맥 초기에 잡는다
-
KRISS, 고압 저온 수소에서의 수소취성 측정기술 개발...수소전기차용 소재의 국제공인기술 확보
-
-
KRISS-파월코퍼레이션, 평판형 플라즈마 측정 기술 기술이전 협약식 개최
-
KRISS-건국대 공동연구팀,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개발
-
정보처리 성능 높일 스핀 기반 차세대 제어 메커니즘 개발
-
KRISS-한선에스티, 실제 화재 불꽃만 인식하는 지능형 화재감지기 개발
-
반도체 플라즈마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세계 최초 개발
-
"기존 기술보다 5배 이상 정확"...KRISS, 양자 상태 평가·측정하는 정밀측정기술 개발 성공
-
표준과학연구원,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반사경 국산화에 성공
-
표준과학연구원,1000조분의 1몰까지 측정하는 장비 개발…질병 조기진단 가능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