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가통신서비스 매출 199조원…4천352개 기업 41만명 고용

2022.05.08 18:26:20

김진희 기자 jjang@hellot.net

온라인직거래 사업자 63.2% 차지…디지털플랫폼 부가통신매출 101조원

 

 

국내 부가통신사업자의 부가통신서비스 매출 규모가 2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디지털 플랫폼 관련 기업은 회사 수로는 전체 부가통신사업자 중 4분의 1이었으나 부가통신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을 웃돌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작년 9월부터 3개월간 자본금 1억원 이상의 부가통신사업자 4,352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첫 실태조사의 결과를 8일 공개했다.

 

과기정통부의 '2021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가통신사업자 중 대표 서비스가 '온라인직거래'인 사업자는 2,750개로 63.2%를 차지했다. '통신인프라'는 750개(17.2%)였으며 '중개 플랫폼'과 '플랫폼 인프라'가 각각 407개(9.4%)와 383개(8.8%)였다.

 

부가통신사업자의 2020년 국내 매출은 총 802조8천억원이었으며, 이 중 부가통신서비스 매출은 199조원으로 추정됐다.

 

활성이용자수(3개월 평균 이용자수)는 대기업 서비스가 389만명이었으며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90만5천명, 28만9천명이었다. 대기업 서비스가 중소기업 서비스 대비 13.5배에 달했다.

 

부가통신사업자의 총 종사자수(재직인력)는 약 41만명으로 기업당 94명이었다. 채용 희망 인력은 기업당 평균 9.5명이었다.

 

한편 제공서비스 기준(중복 허용)으로는 온라인직거래가 3,026개였으며 중개 플랫폼과 플랫폼 인프라 등 디지털 플랫폼이 1,078개였다. 통신인프라는 865개였다.

 

디지털 플랫폼 중 중소기업 비중은 66.7%로 전산업(90%)이나 부가통신사업자(82%)보다 낮았다.

 

디지털 플랫폼의 총 매출은 378조원이었으며, 이 중 부가통신서비스 매출은 101조원이었고, 그 가운데 이용자·광고·중개 수수료 등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매출이 69조원으로 추정됐다.

 

해외 매출을 일으키는 국내 플랫폼은 2.7%에 불과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플랫폼의 역동성과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지만 해외진출 기업 비중이 낮고 외부자금 조달 여건이 좋지 않은 점은 약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