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후유증이라는 것은 타이밍에 맞춰 나타나는 것이 아닌 사고 직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수주 수개월이 지난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교통사고 후유증이 악화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적시적기 치료와, 환자의 후유증에 나타나는 증상에 따른 방식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
교통사고 후유증은 환자에 따라서 그 원인도, 치료 방법도, 치료의 예후도 다르다. 교통사고 이후 자신에게 나타나는 후유증의 증상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한의원이나 병원에 내원하여 증상에 대한 소상한 설명과 체질별, 건강상태를 종합하여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방카네트워크 수원영통점 경희해한의원 이지은 원장(왼쪽)과 탄벌동점 소통부부한의원 정한 원장.
경희해한의원 이지은 원장은 “한방에서는 초기치료를 할 때, 후유증에서 보여 지는 통증의 원인을 ‘어혈’로 보는 경우가 많다”면서 “한방에서는 사고 당시에 교통사고 후유증 중 여러 통증 질환이 어혈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또 “어혈이란 사고가 발생 당시 외부의 충격이 신체에 고스란히 전해지면서 파혈된 혈관에서 배출된 피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 고여 있는 현상”이라며 “어혈은 체내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만들고, 신체 곳곳으로 확산돼 통증을 유발한다”고 전했다.
소통부부한의원 정한 원장은 “한방에서는 교통사고 후유증에 대한 초기치료를 개인 체질과 병의 양상에 따라서 기본적인 침술, 한약, 부항, 뜸 치료 외에도 온열팩,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물리치료, 추나요법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정한 원장은 “그 중 추나요법은 연부조직을 부드럽게 자극하고 경락을 풀어줌으로서 어혈을 풀어주고 근육 손상을 회복시켜주는 한의사의 수기 요법으로서 기구와 손을 통해서 진행하기에 비교적 환자에게 느껴지는 부담이 적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원장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시술하는 한의사와 소통을 통해서 불편한 부분에 대한 소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환자가 보다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