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냅소프트가 울산 르엘컨벤션에서 열린 ‘제14회 혁신 ROAD 컨퍼런스’에서 공공기관을 위한 생성형 AI 적용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울산, 대구, 부산, 경남·북 지역 공공기관과 지자체 정보화 담당자가 참석해 최신 ICT 흐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사이냅소프트는 공공 분야에서 AI 도입이 어려워지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와 지식을 결합한 생성형 AI 아키텍처를 제시했다.
사이냅소프트는 발표에서 공공기관이 성공적으로 AI 도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LLM의 성능보다 기관 내부 데이터 결합과 지식 활용 구조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공공기관의 고유 데이터를 정교하게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RAG’, ‘랭체인’, ‘청킹’을 결합한 지능형 생성형 AI 아키텍처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 적용에 필요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발표는 데이터와 지식의 융합을 중심으로 생성형 AI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전시 부스에서는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 공공업무 환경에서 아키텍처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시연했다. 사이냅 어시스턴트,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 사이냅 OCR 등 자사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 추출, 지식화, 답변 생성까지 이어지는 전체 흐름을 보여주며 기술이 어떻게 행정 효율화로 연결되는지를 설명했다. 데이터 기반 생성형 AI 구조가 문서 활용과 공공업무 자동화 등 기존 절차의 문제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소개됐다.
사이냅소프트는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AI 도입 과정에서 겪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관별 데이터 특성에 최적화된 기술 구성을 중심으로 실무 적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제시된 구조는 공공 조직 내에서 생성형 AI 도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소개됐다. 전시와 발표는 AI 기반 데이터 처리 체계를 운영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이번 행사는 공공 및 지자체 정보화 담당자분들이 AI 도입 과정에서 겪는 막막함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안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며 “사이냅소프트가 제시한 지능형 AI 아키텍처가 공공기관의 데이터 가치를 재발견하고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명확한 이정표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