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 마스크 폐기물로 이차전지 성능 향상하는 기술 개발
-
국내 연구진, 적린·카본 코팅 고효율 흑연 음극재 개발
-
화학 플랜트 운전·보수의 DX
- 2023-10-04 11:52
- 야마시타 요시유키, 도쿄농공대학 대학원 공학연구원 화학물리공학 전공
-
이더넷-APL 길라잡이[3]
- 2023-10-04 11:34
- 조익영 ODVA코리아 전무
-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2.0을 위한 안전한 보안 환경
- 2023-10-04 10:51
- 에밀리 옌·앨리슨 프리드만,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제품 마케팅 관리자
-
드론 안전 인증과 사회 실장에 요구되는 성능 평가 기법
- 2023-10-04 10:28
- 이가라시 히로키, 도쿄대학 대학원 공학계연구과 항공우주공학 전공
-
KAIST “전기차 이차전지 수명 획기적 연장할 기술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바닷물로 그린 수소 생산 가능성 확인”
-
국내 연구진, 피부처럼 늘어나는 고해상도 공감각 디스플레이 개발
-
KAIST, 유독물질 뺀 초고해상도 QLED 신기술 개발
-
UNIST 연구진, 프러시안계 물질 적용한 고체 전해질 개발
-
[IAR] 어플리케이션 보안, 이제는 쉽고 간편하게
- 2023-09-22 16:10
- IAR 김진형 FAE
-
KAIST, 생체조직신호 정밀 측정하는 AI 영상 분석 기술 개발
-
KAIST-LG엔솔, 고용량 배터리 수명 향상 원리 영상화
-
KIST, 사람처럼 색 구분하는 인공 신경회로 플랫폼 개발...“인공 망막 연구에 도움”
-
제조업의 DX화…디지털 기술을 치수 계측
- 2023-09-17 10:49
- 쿠리야마 유키오, 어큐어티주식회사
-
AI를 활용한 화상 센싱
- 2023-09-17 10:21
- 사이토 히데오, 게이오기주쿠대학 이공학부 정보공학과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스마트 팩토리’,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 2023-09-06 15:54
- 박신석 교수,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UNIST 연구진, 실리콘 음극재 평가 분석 프로토콜 제시
-
UNIST,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개발
-
무인 항공기용 머신비전 렌즈 설계 시 주의할 점은?
-
KAIST, 차세대 3D 홀로그래픽 이미징 센서 기술 개발
-
KAIST·POSTECH 연구팀, 백금 대체할 비귀금속 촉매 개발
-
국내 연구진, 수소·전기 양방향 생산 가능한 전지 전극촉매 개발
-
1
[헬로즈업] ‘소재·장비·기판·OSAT’ 참가기업이 보여준 패키징 생태계
-
2
메이사, HDC현대산업개발과 드론 기반 디지털트윈 협력
-
3
가민, 인리치 기술 더한 피닉스 8 프로로 글로벌 시장 공략
-
4
로이드케이, 파트너사 대상 첫 AI 기술 교육...전문성 확산 본격화
-
5
PMI, 한국서 CPMAI 공개...AI 프로젝트 관리 새 패러다임 제시
-
6
‘모두를 위한 AI’ 선언한 레노버, 차세대 디바이스 라인업 발표
-
7
다원넥스뷰, 반도체 기업과 42억 원 규모 장비 공급 계약
-
8
[글로벌NOW] 로봇 가능성, 빅테크 규제, AI 칩 경쟁...'세계 산업 분기점' 직면
-
9
웨이비스, 천안테크노파크 부지 매입...초고주파 대역 사업 확장
-
10
한컴, ‘2025 테크세미나’ 개최...지식그래프와 AI 에이전트 비전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