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IT용 ‘가상화 교환기’ 상용화

2015.09.16 09:58:51

SK텔레콤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LTE 교환기(virtualized Evolved Packet Core, 이하 vEPC)’를 최근 상용화했다.

 

vEPC의 최대 장점은 기존의 LTE 교환기 장비의 구축에 수개월 정도가 소요됐던 것과 달리 수시간이면 설치할 수 있으며, 신규 장비의 구축 없이 추가 서버 할당 만으로 용량 증설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SK텔레콤은 신규 통신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은 물론, 예측하기 어려운 트래픽 증가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등 더욱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vEPC를 IoT 서비스용으로 우선 상용화한 만큼 모든 사물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IoT 서비스의 본격 도입 등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트래픽의 증가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SK텔레콤은 밝혔다.

 

이밖에도 SK텔레콤은 5G로의 진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 받는 NFV의 상용화에 성공함에 따라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통신업계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인프라 개발 및 상용화 경쟁에서 이번 상용화가 큰 의미를 지닌다고 SKT측은 말했다.

 

SK텔레콤은 vEPC와 함께 가상화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국제 표준 시스템인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도 상용 서비스에 도입했다. 오케스트레이터는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의 관리 및 자원 할당 등을 위한 전용 시스템이다.

 

특히 오케스트레이터는 서로 다른 업체들이 개발하는 가상화 장비들로 안정적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평가돼, 이에 대한 글로벌 이동통신사업자들과 제조업체들의 관심이 높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