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디스플레이 성능은 스마트폰을 차별화하고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다.
독립적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는 디스플레이 표현의 일관성과 정확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모든 주변 광 조건에서 컬러가 자연스럽고 일관되게 표현되는 디스플레이를 선호하며, 눈이 피로하지 않도록 적절한 밝기의 디스플레이를 원한다. 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가 주변 광의 컬러와 밝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이 기능은 스마트폰 OLED 디스플레이를 통과하여 감쇠된 매우 약한 광신호를 감지하여 정확하게 동작하는 특수한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 ALS)에 의해 수행된다.
이 글에서는 OLED 디스플레이 후면(behind OLED)에 위치한 주변광(ALS) 센서의 동작을 어렵게 하는 기술적 과제들과 ams OSRAM의 최신 ALS 제품에 새롭게 도입된 기능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주변 광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스마트폰 제조회사가 이전보다 더욱 만족스럽고 편안한 OLED 디스플레이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어디서든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표시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의 핵심이다. 이는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위한 주요 인터페이스로서,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재현하고, 기기내 앱에 접근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며, 동영상 콘텐츠를 표시한다. 소비자가 중저가형 모델에 비해 훨씬 비싼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위해 기꺼이 지불하는 추가 비용의 상당 부분을 디스플레이의 성능과 품질이 차지할 정도로 디스플레이는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폰 제조회사들이 경쟁하는 디스플레이 매개변수에는 전통적으로 해상도, 다이내믹 레인지, 명암비가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컬러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벤치마크 결과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컬러에 대한 인간의 눈의 반응은 스마트폰 사용 환경의 주변 광의 화이트 포인트(상관 색온도,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혹은 CCT)의 영향을 받는다. 소비자의 디스플레이 선호도는 미묘하게 차이가 나며, 지역별로도 다르다. 다양한 주변 광 조건에서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과, 사진과 동영상의 정확한 렌더링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많은 지역의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을 선호하며, 실사와 같은 재현을 원한다. 이와 달리 다양한 색조와 밝기 수준 같은 차별화된 스타일을 선호하는 지역도 있는데, 그러한 요구 사항도 실사를 기반으로 재현된 스타일을 조정함으로써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2의 DXOMARK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야외 장면은 정오에는 생생하지만 해질녘에는 흐릿해 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HDR 지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면 주변 환경 및 컬러와 일치하는 컬러로 장면을 촬영하고 렌더링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는 디스플레이의 화이트 포인트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고성능 ALS 센서가 필요하다.
애플(Apple)은 트루 톤(True Tone) 디스플레이의 이러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트루 톤 기술은 레티나(Retina) 디스플레이와 터치 바(Touch Bar)의 이미지를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매킨토시(Mac) 컴퓨터, 스튜디오 디스플레이(Studio Display) 및 애플 프로 디스플레이 XDR(Apple Pro Display XDR)의 트루 톤 기술은 첨단 멀티 채널 센서를 사용해 디스플레이와 터치 바의 컬러와 밝기를 주변 광에 맞춤으로써 이미지를 더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이 트루 톤 기술은 애플 아이폰(Apple® iPhone®) 모바일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된다.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성능 벤치마킹 기업인 DXOMARK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디스플레이 제품들을 소비자 패널 대상으로 테스트한 결과를 새로운 논문을 통해 발표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효과적인 컬러 적응(자동조정)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이 사용자 선호도 추세에서 뚜렷한 이점을 보였다.
주변 광 센서를 통한 실시간 및 사실적 컬러 조정
소비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자연스러운' 컬러 표현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사하는 주변 광의 색온도(CCT)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ALS의 성능에 달려 있다. 센서의 측정이 정확할수록 디스플레이의 화이트 포인트 조정 알고리즘을 더 잘 조정해 디스플레이의 자연스러운 컬러 균형을 구현하고 더 자연스럽게 보이게 한다.
따라서 고정밀 주변 광 측정의 가치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더욱 편안한 사용 경험을 누릴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그림 3은 색온도가 따뜻한 흰색 조명 환경에서 동일 이미지를 촬영한 데모폰(왼쪽)과 일반 스마트폰(오른쪽)의 디스플레이를 비교한 것이다. 오른쪽 일반 스마트폰의 차가운 화이트 포인트는 그림 3에서는 배경 이미지와 부자연스러워 보이나, 오히려 그림 4의 색온도가 차가운 흰색 조명 환경에서 촬영한 것과는 잘 어울린다. 이에 반해 데모폰의 디스플레이는 그림 3과 4 모두에서 잘 적응해 이미지의 컬러를 정확하게 렌더링한다.
그리고, 카메라에서 디스플레이까지 이미지의 획득과 재현(glass-to-glass)에 일관성을 구현한 스마트폰 시스템에서는, 주변 광 조건에 대응하는 정확한 화이트 포인트 밸런싱이 이미지를 캡처할 때는 월드-페이싱 카메라(world-facing camera)에 의해 적용되고, 동일한 이미지를 렌더링할 때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적용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가 실제 세계에서 본 것과 정확히 동일하게 보인다. 이것이 바로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이미징 성능이다.
이처럼 자연스러운 컬러 표현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가치를 유지하려면 화이트 포인트 조정 성능이 시간이 지나도 일관적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생산 유닛이 다르더라도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다시 말해, 동일한 모델의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두 명의 소비자가 있다면 동일한 주변 광 조건에서는 이들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컬러를 표현하는 방식에 아무런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 기술은 또한 다음과 같은 사용자 설정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 생체 리듬에 최적화된 컬러 밸런스 조정: 스마트폰 운영체제에는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하루 일과가 끝날 무렵 블루라이트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 높은 동적 화면 주사율: 게임이나 비디오와 같이 역동적인 콘텐츠를 시청할 때 높은 주사율을 적용하여 플리커(flicker)로 인한 눈의 피로를 방지한다.
• 높은 듀티 사이클: 화면 주사율에 있어 높은 듀티 사이클을 적용하여 콘트라스트 변화가 큰 플리커를 최소화한다. 디스플레이 화면 주사율에 매우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텍스트 페이지와 같은 정적인 이미지를 볼 때에도 눈의 피로가 유발된다.
OLED 디스플레이 후면에서의 정확한 주변광 센싱의 과제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보이는 색상표현(color rendition)을 위해 디스플레이 화이트 포인트를 조정하려면, 시스템은 주변광 측정값을 기반으로 작동해야 하며, 이 측정값은 인간의 눈이 평균적인 백색광에 반응하는 것과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반응은 CIE 1931 색 공간 같은 모델에 코드화 될 수 있다. 주변 광 감지 기술은 지난 10년 동안 RGB(적색/녹색/청색) 센서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인간 눈의 세 가지 '원추세포(콘세포)'가 감지하는 파장 감도와 유사한 3채널 방식의 새로운 XYZ 센서로 발전했다. 자유 공간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절한 알고리즘을 통해 보정 및 컴파일된 XYZ 센서의 출력은 CIE 1931 또는 기타 인간 시각 모델에 정확하게 매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인간의 시각적 인식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이트 포인트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ALS(주변광센서)가 자유(open) 공간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다.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마트폰의 가장자리까지 극대화하기 위해, ALS가 베젤이 아닌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후면에 위치한 ALS 센서의 주변광 인식률은 크게 제한된다.
• 낮은 디스플레이 투과율은 입사광을 크게 감쇠 시켜 ALS가 스마트폰 사용자보다 100 ~ 1,000배 더 적은 빛을 보게 된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LTPS에서 LTPO로 발전하고 COE(Color Filter-on-Encapsulation) 기술이 추가되면서 디스플레이 투과율이 3%에서 1% 이하로 감소했다.
• OLED 디스플레이의 자체 발광원에 의해 ALS에 도달하는 주변 광의 광 신호를 방해한다. 스마트폰 제조회사들은 센서 측정 작업을 프레임 사이의 짧은 블랭킹 구간과 동기화하는 기술을 구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ALS는 여전히 디스플레이의 잔류 후방 산란광에 간섭을 받는다. 모든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이러한 간섭은 일반적으로 1% 정도이다.
• 디스플레이 픽셀 사이에 있는 마이크로 홀은 ALS의 시야각을 좁혀, 주변광 중에서도 디스플레이에 수직 방향과 양측의 좁은 대역의 일부 광만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제한은 특히 새로운 COE 지원 디스플레이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이처럼 매우 까다로운 동작 조건에서는 표준 XYZ 컬러 센서가 충분히 정확한 컬러 측정값을 제공하지 못한다.
ams OSRAM은 스마트폰 시장의 선도적인 제조회사들과 협력하여 가시광선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5개의 필터 채널을 갖춘 다양한 '트루 컬러' 스펙트럼 센서들을 개발했다(그림 5: 차세대 ams OSRAM ALS 제품의 5채널 출력과 이 다섯가지 스펙트럼 세트의 예시 참조). 디스플레이 후면(behind OLED)에 위치한 센서의 센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5채널 출력을 처리해 주변 광을 정확한 XYZ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스펙트럼 컬러 센서 덕분에, ams OSRAM은 OLED 디스플레이 화이트 포인트 보정 애플리케이션용 센서 시장에서 선도적인 센서(ALS) 공급회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번에 ams OSRAM은 자사의 최신 ALS 제품이 OLED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될 때 더 정확하게 컬러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혁신 기술을 발표했다.
성능 향상을 통해 더 정확한 주변 광 측정
탁월한 정확도와 스펙트럼 응답의 일관성을 제공하는 온 칩(on-chip) 간섭 필터 기술을 통해, ams OSRAM은 OLED 디스플레이 화면 후면에서 작동하는 주변 광 센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비하인드-OLED 센싱 애플리케이션에서, 간섭 필터를 기반으로 하는 ams OSRAM의 5채널 스펙트럼 센서는 비용과 성능의 이상적인 균형을 제공한다.
ams OSRAM은 최신 5채널 ALS에서 센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 온 칩(on-chip) 간섭 필터 상단에 은(Ag) 코팅을 적용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실버 필터는 적외선(IR) 파장 차단 성능을 크게 향상하여, 기존의 ALS 제품과 비교할 때 원치 않는 IR 감도를 최대 1,000배까지 줄여준다(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스펙트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그림 7 참조).
이전 세대의 간섭 필터 센서는 적외선 강도가 최대 강도보다 두 자릿수 감소하는 광학 밀도(OD) 레벨 2인 반면, 하이브리드 간섭/실버 필터링 기술을 적용한 최신 ALS 제품은 적외선 파장에서 최대 OD4를 달성한다.
인간의 눈은 IR에 거의 민감하지 않지만 컬러 센서에 사용되는 실리콘 소재는 IR 파장의 빛을 감지하기 때문에 향상된 IR 차단 성능이 중요하다. 이전 ALS 제품은 이러한 IR 반응으로 인해 측정 출력이 왜곡되어 센서가 인간보다 더 높은 강도의 빛을 감지했다(IR과 가시광선을 모두 감지하기 때문). 이러한 특성은 태양광, ToF(time-of-flight) 센서 혹은 기타 유형의 근접 센서에서 나오는 여러 IR 광원에 노출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하다.
최신 ams OSRAM ALS 제품에 적용된 새로운 하이브리드 실버 필터는 디스플레이 밝기 및 화이트 포인트 밸런싱 조정이 주변 광에 대한 인간의 눈의 반응과 더욱 유사한 컬러 및 광도 측정값을 기반으로 한다.
보정을 통해 유닛 간 일관성 향상
센서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정해진 허용 오차 내에서 재질, 치수 및 배열에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는 방법이 없다면, 명목상으로는 같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센서의 성능으로 인해 동일 기종의 서로 다른 스마트폰 제품마다 화이트 포인트 밸런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같은 이미지를 나란히 놓고 볼 때 컬러가 약간 다르게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두 기기 중 하나가 오작동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실제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ams OSRAM은 비하인드-OLED ALS 제품의 차이를 측정하고, 공급되는 모든 생산 유닛을 보정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조회사는 데이터시트에 명시된 명목 응답과의 차이 또는 편차를 각 생산 유닛별로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생산 유닛에서의 컬러 측정 성능의 일관성이 매우 높아진다.
OLED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변 광 신호를 극대화하는 방법
최신 ams OSRAM ALS 제품은 향상된 필터링 성능과 각 개별 유닛의 보정을 통해 주변 광의 스펙트럼 성분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향상시켜 준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실외 환경일 때 한낮의 밝은 빛부터 해질녘의 어스름한 빛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다양한 빛의 세기를 정밀하게 구분해야 한다. 이 작업은 ALS가 OLED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어렵다.
실제로 OLED 디스플레이로 인한 감쇠 때문에 ALS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보는 빛보다 100 ~ 1000배 더 약한 빛만 볼 수 있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1세대 LTPS OLED 디스플레이에서 약 3%, 최신 COE(chip-on-encapsulation)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1% 이하로 감소한다.
ALS에 의해 측정되는 광 신호는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더 약한데, 이는 현재 최고의 ALS 제품에도 최소 5개의 측정 채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채널은 해당 필터를 통과하는 빛만 '감지'해, 포토다이오드에 도달하는 총 광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더욱 어려운 점은 ALS가 디스플레이 동작 시 각 프레임 사이의 블랭킹(Off) 구간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블랭킹 구간은 매우 짧은 시간으로, ALS의 포토다이오드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더욱 제한된다.
ams OSRAM의 스마트폰 전용 ALS 제품은 독창적인 두 가지 기능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
•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감도와 넓은 동적 범위: 모든 채널에서 정밀하게 광량을 측정해 전체 측정 범위에서 정확하고 일관된 출력을 보장한다.
• 입사광 각도에 대한 통합 보상 기능: 센서의 시야각을 줄이는 디스플레이 후면 적용에 의한 신호의 제한 문제를 해결한다.
새로운 기술로 입사각에 의한 영향 제거
광학 필터와 광학 센서는 빛의 입사각,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 현재 ams OSRAM은 ALS 제품에 새로운 광학 설계를 적용해 시야각을 확장하였으며, 이는 시스템의 시야각(field of view, FoV)을 이상적인 응답, 즉 코사인 함수에 가깝게 유지한다.
이 광학(디퓨저) 설계는 COE 디스플레이의 제한된 시야각(FoV)을 보상하기 위해 첨단 빔-성형 광학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되었다. 이 발명은 최신 COE O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주변 광이 들어올 수 있는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OLED 디스플레이 후면에 장착되는 ALS에서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 새로운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마이크로홀은 입사 각도가 큰 빛을 차단하게 된다. 그림 9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구조는 디스플레이를 통과하는 광학 경로를 디스플레이 표면에 보다 수직에 가까운 방향의 빛으로 제한한다.
뿐만 아니라, CoE OLED 디스플레이를 통과해 ALS에 도달하는 입사광의 투과율은 매우 다양하다. (각도에 따른 컬러 및 투과율 변화의 예는 그림 10 참조)
• 투과율은 청색 파장에서 가장 낮고, 일반적으로 450nm 이하에서 차단
• 적색광 투과율은 입사각에 따라 크게 달라짐
• 근적외선 파장 역시 입사각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
센서가 디스플레이 아래의 제한된 FoV로 인해 주변 광을 작게 평가하고 잘못 분석할 경우, 디스플레이 밝기는 지나치게 어둡게 설정되고 색상 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사실, 디스플레이가 어두울수록 정확한 색상 조정이 보다 더 중요해 지고, 시야각이 좁으면 화면의 콘트라스트와 색상 표현이 모두 저하된다. ams OSRAM이 개발한 새로운 빔 재성형(beam reshaping) 기술은 각도에 따른 투과율 변화를 줄임으로써 센서에 더 넓은 유효 FoV와 다이내믹 레인지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의 후방 산란광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ms OSRAM의 ALS 제품은 우수한 감도 덕분에 최신 OLED 디스플레이의 매우 짧은 블랭킹(Off) 구간 동안에도 효과적으로 동작 가능 하다. 애플은 SID 디스플레이 위크 2022(SID Display Week 2022)에서 센싱 시간을 단축해 디스플레이의 후방 산란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러한 문제(Crosstalk)를 보다 쉽게 보상할 수 있는 접근법(OLED 디스플레이 주변 컬러 감지)에 대해 설명했다. 애플은 타이밍 조절만으로도 디스플레이의 후방 산란광으로 인한 에러의 80% 이상을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짧은 블랭킹 구간 동안 입사광을 센싱하기 위해 ams OSRAM의 OLED 디스플레이용 전용 센서는 50µs 또는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변 광 측정값을 포착한다. 기존 ALS는 동일한 측정값을 포착하는 데 수십 밀리초가 걸렸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된 산란광은 수백 마이크로초에 걸쳐 감소하기 때문에 블랭킹 구간 동안 후방 산란광의 잔여물은 여전히 존재한다
ams OSRAM은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해 간섭 효과를 측정한 다음, 주변 광 센싱(측정)에서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제거한다. 여기에 활용된 두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 보정: 특정 OLED 디스플레이 설계에서 후방 산란광 방출이 어떻게 감소하는지를 특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보정
• 동적 보상 조정: 디스플레이의 동작 시 각각의 블랭킹 구간 이전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콘텐츠를 고려한 동적 보상
디스플레이에는 일정한 시간 지연(하강 시간 후 상승 시간)이 있으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내에서 인접한 픽셀 행에서 발생하는 후방 산란광이 중첩된다. 그 결과, 블랭킹 구간이 짧을수록 후방 산란광이 0으로 떨어지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센서는 높은 감도와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달성해야 하며, 이를 통해 특정 알고리즘이 남아 있는 후방 산란광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적 콘텐츠 특성화
ALS 센서 측정에서 디스플레이 콘텐츠와 주변 콘텐츠를 구분하기 위해 회귀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센서는 광범위한 시스템 조건에 맞춰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 화면 콘텐츠
• 디스플레이 리프레시(Refresh) 모드
• 디스플레이 PWM 모드
• 화면 밝기
ams OSRAM은 다양한 유형의 화면 콘텐츠와 작동 조건을 정확하게 특성화하기 위해 멀티 세그먼트 고속 샘플링(디스플레이의 켜짐 및 꺼짐 기간 동안 별도로 샘플링)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ams OSRAM은 스마트폰 제조회사가 시스템 및 동적 특성화를 정확하게 수행하고 이러한 정적 및 동적 간섭 효과를 정확하게 보상하는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통합 지원을 제공한다.
결론
디스플레이 화이트 포인트 조정을 위한 주변 광 측정은 최신 COE OLED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후면에 장착되어 매우 제한적인 동작환경에 직면한 ALS(주변광 센서)에는 까다로운 과제이다.
ams OSRAM이 개발한 새롭고 진보된 스펙트럼 컬러 감지 기술을 통해 스마트폰 제조회사는 디스플레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포함된다.
• 스펙트럼 응답을 조절하는 하이브리드 실버 필터
• 디스플레이 간섭을 극복하기 위한 초고속 고감도 포토다이오드 및 집적기
• 센싱 시야각(FoV)을 향상시키는 빔 성형 광학
•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보정 방법 및 알고리즘
이러한 기술 발전은 감도 향상, 비가시광선 간섭 제거, 모든 입사각에서 더 나은 광 샘플링, 그리고 OLED 디스플레이 픽셀에서 방출되는 후방 산란광 간섭 제거를 향상시킨다.
ams OSRAM은 주요 스마트폰 제조회사에 주변 광 센서를 공급해 온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지원 및 통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효과적으로 ALS를 적용하고 스마트폰 성공의 핵심 요소인 탁월한 디스플레이 성능을 위한 확실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