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ESG] “국내 중소·중견기업 DX+GX 전략 필요” 산학연 입 모은 이유

2025.11.11 17:26:16

이동재 기자 eled@hellot.net

 

산업계에 디지털 전환(DX)과 그린 전환(GX)을 결합한 디지털 그린 전환 전략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


지난 7일 서울 스페이스쉐어 삼성역센터에서 개최된 ‘제5회 디지털ESG컨퍼런스’에 참석한 산학연 전문가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최갑홍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i-DEA) 회장은 인사말에서 “최근 AI의 발전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추동하는 하나의 큰 원동력이 되고 있고, 한편에서는 탄소 감축 문제 등 그린 전환(Green Transformation, GX)이라는 거대한 흐름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제는 DX와 GX를 결합한 디지털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방향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곧이어 기조 발표로 나선 강명구 i-DEA 사무총장은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나 배터리 규제,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등은 모두 디지털 전환과 AI 전환을 기본으로 깔고 있다”며, “스케줄의 변경이 있을 순 있어도, 규제의 방향성이 바뀌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강 사무총장은 “디지털 제품 여권(DPP) 규제가 탄소 관련 규제인 CBAM 뒤에 있는 이유는, 일단 산업 공급망 전체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프라가 깔려야 이후의 규제들이 성립하기 때문”이라며 데이터망 인프라의 필요성에 대해 설파하면서, “이와 함께 데이터 수집, 교환, 검인증 기술 등이 전부 통합된 맞춤형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부 산업환경과 이상은 과장은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과 관련된 규제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은 IT 기술을 쓰는 것”면서, “만약 (환경 규제들에)대응을 잘하면 단순히 규제에 대응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먹거리 산업이자 신성장동력으로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울러 이 과장은 공급망 내 기업들이 표준에 따라 탄소 배출량 등 각종 산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글로벌 환경 규제들에 개별 기업들이 대응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아우를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면서, “EU의 카나타X나 일본의 우로노스 에코시스템처럼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만들어서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면서도 글로벌 규제에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앤장 ESG경영연구소 김동수 소장은 “우리 기업들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요구에 맞춰서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 구축에 대해서 산업통상부뿐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여러 정부 부처에서 힘을 쓰고 있다”며, 글로벌 규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 DPP 대응 플랫폼 구축 사업에 대해 소개했다.


김 소장은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추진 로드맵을 보면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기반을 2025년까지 마련하고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시장 생태계 조성 및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운영 고도화 작업들을 2027년까지 진행, 2028년부터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며, “한국형 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게 되면 각종 규제들에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어려운 중소/중견기업들이 상당한 혜택을 보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급망 탄소배출을 관리해야 하는)대기업 입장에서도 중소기업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가 쉬워져, 많은 혜택을 누리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짚었다.


한편 ‘AI·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산업 DX·AX·GX 구현 전략’을 주제로 열린 디지털ESG컨퍼런스는 기업의 디지털 ESG 전략과 산업별 혁신 방향을 공유하고, ESG를 기반으로 한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디지털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각 기업 공급망 담당자 및 산학연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한 해당 컨퍼런스에서는 정부의 탄소중립 및 ESG 중장기 R&D 과제, 에너지·AI 고속도로 구축 및 데이터 활용 전략, 협단체의 규제 대응 현황과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됐다.

 

 

산업통상부의 산하 기관으로 새롭게 단장, 이달로 출범한지 7개월이 된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i-DEA)는 글로벌 및 국내 ESG 규제 종합 대응을 위한 SaaS 서비스 ‘디지털 ESG 패스포트’를 개발, 지난 8월 공식 론칭했다.

 

i-DEA는 “AI 기반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복잡하고 비용 부담이 컸던 ESG 평가 절차를 빠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며, “급변하는 글로벌 규제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 기업들은 빠르고 정확하며 신뢰도 높은 ESG 진단, 공시 및 검·인증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