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에탄으로 온실가스 줄이고,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KAIST, ‘로봇 종이’ 기술 개발
-
“연구자 없이 AI가 신소재 개발”...KAIST, ‘자율 탐색 실험’ 구축
-
KAIST 연구팀, 적응형 무선 차세대 웨어러블 플랫폼 개발
-
‘K-AI 휴머노이드’ 개발 시동...글로벌 미래 로봇 시장 선점 노린다
-
KAIST, 추론속도 최대 100배 빠른 AI 확산모델 신기술 개발
-
KAIST,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사람처럼 위험할 때만 대응”
-
KAIST·하이퍼엑셀, 생성형 AI에 특화된 NPU 기술 개발
-
KAIST, 억양·감정 표현하는 언어모델 ‘스피치SSM’ 개발
-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KAIST, 전투복 용 전자섬유 플랫폼 개발
-
KAIST,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보안 기술 개발
-
“숨결부터 압력·소리까지 감지” KAIST, 열 성형 촉각센서 개발
-
KAIST·네이버, AI 생성 모델 창의성 높이는 기술 개발
-
KAIST, AI 신약 발굴기술 개발...21개 화학반응 동시 분석
-
고해상도 분광기가 스마트폰에 ‘쏙’...KAIST, 소형화 성공
-
“백금 촉매 없이 수소 생산”...KAIST,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
-
KAIST, 자가발전형 무선 이산화탄소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AIST 연구팀, 성별 해킹대응 분석...“맞춤형 보안 교육 필요”
-
KAIST 사족 보행 로봇 ‘라이보’, 고양이처럼 '사뿐'...지형 제약 깨고 길 만든다
-
KAIST 연구팀, 자율시스템 기술로 美 IEEE 로봇 학회 우승
-
KAIST, 빛의 방향성 감지 가능한 반도체 소재 개발
-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성공
-
KAIST,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 “백금 사용량 100분의 1”
-
KAIST 연구팀, AI 이용해 효소 예측·설계 가능성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