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혁신 가능성에 도입 급증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으로 대표되는 태블릿 단말기 등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이하, 스마트 단말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 단말기의 특징으로 터치패널이 장착된 고해상도 LCD, 와이파이 등 무선 LAN 통신(이하, 와이파이), 장시간 운용 가능한 내장 2차 전지, 브라우저를 용한 웹 표시,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구성이 기본으로 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에서는 이와 더불어 휴대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업무용 핸디 터미널과 비교하면 고장률은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스마트폰 기능에서의 많은 운용 실적에서 보더라도 이미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수준의 내구성이 있으며, 보수 면에서도 저가인데다가 예비기까지 소지하여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가 여러 대 있으면 업무에서 TCO에 우수한 스마트 단말기 활용은 많은 기업에서 기대를 걸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기는 인터페이스로 와이파이 등 와이어리스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유통계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업무 프린터나 POS 계산대 주변기기 등에서 기존부터 사용하던 기기 접속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개발언어 환경이나 작성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수단도 업무용 시스템 개발의 장벽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스마트 단말기는 아직 진화과정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접속 가능한 주변기기가 많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서는 현재 상황에서의 스마트 단말기와 기존 업무용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SmaSvr 시스템의 개요
Techno Veins에서는 ‘업무계 주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제공’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왔다.
이 방식을 Techno Veins에서는 SmaSvr(SMArtSerVeR : 스마서버)라고 부르고 있다.
SmaSvr에서는 스마트 단말기의 와이파이 무선을 이용한 접속 환경을 제공하여 이것으로 단말기 브라우저에서 웹을 표시한다. 와이파이를 이용한 접속을 채용하여 대부분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직접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PC·노트북 등에서의 접속도 마찬가지로 실시한다. 인터넷이나 통신회선을 사용하지 않는 로컬 통신 환경에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안전하게 외부 통신 상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정된 운용이 가능하다.
와이파이 접속을 이용하는 것은 휴대전화나 인터넷 접속의 고정 통신비 절감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휴대전화 통신기능을 탑재하지 않고 있는 저가 타입의 아이패드로 동작이 가능하며, 또한 1만 대부터 구입 가능한 아이팟 터치나 안드로이드 단말기 등을 이용하면 단말기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SmaSvr 시스템의 동작
SmaSvr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터를 이용한 무선 LAN 접속 환경이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서버 환경 등 현재의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많은 기술을 집약시켜 로컬 서버로 스마트 단말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일반적인 웹 개발과 같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특수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현을 회피하도록 하여 WebrP 기술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하고, 웹 페이지 개발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와 같은 방법으로 SmaSvr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 접속
SmaSvr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메인 기능 수행기기로 동작하여 항상 와이파이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대기하고 있다.
스마트 단말기를 비롯하여 SmaSvr에 와이파이를 접속할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리스트 중에서 SmaSvr를 선택하여 접속한다(와이파이 네트워크 리스트에 표시되는 명칭은 SmaSvr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iOS에서는 와이파이 접속이 차단된 상태에서 과거에 확립된 액세스 포인트의 전파를 받으면 자동으로 와이파이 접속이 실시되기 때문에 재접속이 간편하다.
와이파이 접속이 확립되면 SmaSvr는 DHCP 서버 기능으로 와이파이 클라이언트에서 IP 어드레스 등을 내보낸다. 이렇게 되면 SmaSvr 로컬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개시되어 스마트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아이콘이 유효하게 된다.
브라우저 표시
유저가 스마트 단말기 내장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도메인명의 이름을 해결해야 한다. 스마트 단말기로 입력된 도메인명은 SmaSvr 내의 로컬 DNS 서버로 처리된다.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는 구성일 경우 설치 장소인 회사명이나 점포명 등 로컬에서만 유효하도록 하는 도메인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SmaSvr의 웹 서버에서 스마트 단말기 브라우저에서 요구된 페이지가 표시된다. 업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PHP나 CGI 등으로 작성되며, 스마트 단말기 브라우저에서 호출될 때, SmaSvr 내로 실행되어 스마트 단말기 측에 폼 화면으로 표시된다.
스마트 단말기로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객의 스마트 단말기를 접속한 정보표시 등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기존의 핸디 터미널 등의 운용과 달리, 마스터 데이터를 단말기 내에 배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난이나 분실에 대한 보안면에서도 대규모 기밀정보 유출은 발생되기 어렵다.
영수증 프린터 등 업무기기의 접속이 필요할 경우 SmaSvr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PHP로 제어한다. 그 외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MySQL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개발이나 운용지원으로 FTP 서버 기능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한다.
SmaSvr의 실현
SmaSvr는 PC 하드웨어인 Linux OS 상에 오픈소스 등을 이용한 서버나 스마트 디바이스 접속구조를 구축한다.
기본 OS로는 윈도 홈 서버(Windows Home Server, WHS2)에서도 구축하지만, 비용이나 오픈소스 입수성 등을 감안해 리눅스판을 준비했다.
운용에 있어서는 소형으로 연속 운전이 가능한 팬리스 컨트롤러나 POS에 내장시켜 PC나 OS의 존재를 유저에게 의식시키기 어려운 운용이 가능하다.
지상 디지털 TV나 리코더, NAS 등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최신 디지털 가전의 대부분에 내장되어 리눅스가 동작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Techno Veins에서는 SmaSvr의 소규모 안건에 대한 대응으로 A5 사이즈의 소형 팬리스 PC UEN-D525를 SmaSvr 컨트롤러로 SmaSvr를 프리 인스톨한 상태에서의 제공, 그리고 대량의 안건 대응으로 고객이 지정하는 환경으로 SmaSvr를 구축하는 컨설턴트로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SmaSvr에 대해서는 Techno Veins의 웹 사이트(http://www.technoveins.co.jp)에서도 정보가 게재되어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SmaSvr의 이용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POS 계산대 = SmaSvr에 현금 서랍(Cash Drawer), 영수증 프린터 등을 접속하여 POS 계산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태블릿형 단말기를 이용한 계산대를 구축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배포 = 와이파이 접속을 일반 고객에게 개방하여 와이파이 안테나 주변 등 한정된 범위에 있는 고객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직접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상품정보, 전시회 등의 설명이나 안내 등 한정된 고객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번호표 발행 = 대기 행렬 등 정리번호를 발권하는 업무에서 영수증 프린터와 커스터머 디스플레이를 접속시켜 스마트 단말기에서 번호표 발행을 실시하는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高久直也 Techno Veins
이 기사는 일본공업출판이 발행하는 <월간 자동인식>과의 저작권 협약에 의거해 제공받은 자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