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 ‘2025년 지능형도시스마트도시 시범설루션 발굴 사업’ 지자체 3곳 선정
울산·제주·충북, AI 활용한 빈집·주차장·인구 소멸 대응 설루션 구축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5년 스마트도시 데이터 허브 시범 설루션 발굴 사업’ 공모 결과, 울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제천시 공동 수행) 등 3개 지자체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스마트도시 데이터 허브’는 교통, 안전, 환경 등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통합 관리·활용하는 플랫폼으로, 데이터 기반의 도시정책 수립과 시민 체감형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국토부는 2022년부터 광역지자체와 협업해 데이터 허브를 구축해 왔으며, 올해 처음으로 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설루션을 발굴하기 위한 공모를 추진했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지자체에는 국비 최대 10억 원(지방비와 1:1 매칭)이 지원될 예정이다.
울산광역시: 생활데이터 기반 ‘AI 빈집 관리 설루션’
울산시는 가스, 전기, 수도 등 에너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거주패턴을 파악하고, 빈집 발생 가능성을 AI로 예측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실태조사 효율을 높이고, 최적의 현장 방문 경로를 제시하는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빈집 증가에 따른 도시 안전성과 관리 효율성 제고가 핵심 목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영주차장 안전 AI 설루션
관광 중심 도시인 제주는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협력해 공영주차장 내 이상행동 감지와 민원 대응에 특화된 AI 분석 설루션을 구축한다. 민원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행정의 효율성과 신속한 정책 대응도 기대된다.
충청북도(제천시): 지방 소멸 대응형 AI 분석 플랫폼
충북은 제천시와 공동으로 생활 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구 소멸 위험도 예측 및 정주 지원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농촌과 도시 데이터를 통합 수집하고, 귀촌 청년 유입, 창업 지원, 정주 대책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향후 챗봇 기반의 AI 행정 지원 기능도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공모를 통해 AI 등 첨단기술과 도시 데이터를 접목한 실질적 도시문제 해결 방안이 제시됐다”며, “인접 지자체 간 공동 활용 가능한 설루션 개발로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3개 지자체의 사업계획 발표 자료는 오는 7월 14일부터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