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배터리 등 주력할 분야 및 클라우드 관련 비즈니스 전략 공개해
시스코 시스템즈(이하 시스코)가 클라우드 시대를 맞아 최적화한 클라우드 활용 전략을 발표했다.
시스코가 31일인 오늘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22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시스코코리아 조범구 대표와 진강훈 엔지니어 총괄 부사장이 참여해 자사에 대한 소개와 클라우드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 비즈니스 및 기술 전략을 소개했다.
첫 번째 발표를 진행한 조범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시스코는 많은 사람을 포용하는 미래를 만들어가겠다는 비전을 지향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코는 기존에 탄탄했던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을 선보이며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범구 대표는 “시스코는 올해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보안, 가시성 및 민첩성에 집중한 클라우드 전략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에 클라우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데 집중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시스코는 회계연도 2021년(2020년 8월 – 2021년 7월)에 제품으로 360억 달러(한화 약 45조 원), 서비스로 138억 달러(한화 약 17조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약 498억 달러(한화 약 62조 원)의 총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시스코의 사업 지역 중 한국이 속한 APJC(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는 77억 달러(한화 약 10조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시스코의 전체 매출 중 15%를 차지했다. 시스코 코리아의 경우 최근 매분기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며, 아시아태평양 지역뿐 아니라 글로벌 전체에서도 선두권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시스코는 그동안 소프트웨어 부문에 투자를 지속해왔다. 이에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 비중도 최근 몇 년간 성장세를 보였다. 2015년 당시 시스코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 매출이 40%였으나, 회계연도 2020년부터 소프트웨어 매출이 전체의 50% 이상 차지하고 회계연도 2021년에는 53%를 달성했으며, 소프트웨어 매출 중에서도 구독 라이선스 부문 매출은 79%를 기록했다.
이는 소프트웨어 매출이 전년 대비 7% 성장한 수치로 회계연도 2021년 소프트웨어 총 매출이 150억 달러(한화 약 19조 원)를 기록하며 시스코는 이제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조범구 대표는 "전체 매출은 소폭 성장했으나, 우리는 지난 6년 동안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의 전환에 성공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었던 것은 최근 M&A한 20여개 기업이 클라우드, 시큐리티 계열 기업과의 활발한 M&A가 있었고, 소프트웨어를 제안할 뿐 아니라 관리하고 지속 협업하는 에코시스템이 강화해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시스코는 자사의 가장 큰 성장 동력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높은 투자를 꼽았다. 시스코는 연간 약 65억 달러(한화 약 8조 원)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적극적으로 인수 및 합병을 이어오고 있다. 이외에도 2022년 가트너가 선정한 ‘글로벌 공급망 체인 리더’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할 만큼 안정적인 공급망을 자랑한다.

한편, 시스코는 다가오는 2022년 하반기 주요 전략으로 클라우드 환경 지원,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의 전환 가속화, K-배터리 및 디지털 네이티브, 운영기술(OT)·사물인터넷(IoT)을 발표했다. 시스코는 네트워크부터 보안, 협업 분야까지 모두 아우르는 자사 솔루션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고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의 전환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대두되는 K-배터리 시장과 디지털 스타트업을 필두로 한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 시장에서도 성장 모멘텀을 가져갈 계획이다. 또한, OT·IoT 시장에 집중해 스마트 공장부터 공장 보안, 모니터링, 자동화에 이르기까지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을 지속적으로 선도해갈 예정이다.
플렉세라가 발표한 ‘2022년 클라우드 현황’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 역시, 공공 및 산업 전 분야에 걸쳐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 추진에 나서고 있다.
시스코는 수많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그리고 다양한 IT 장비가 분산돼 있는 클라우드 환경을 빠르게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최적의 조건에서 클라우드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안전하고 민첩한 네트워크, 하이브리드 근무,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 경험, 엔드-투-엔드 보안 전략, 미래의 인터넷 등 다섯 가지 전략을 세웠다.
진강훈 기술 총괄 부사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일상화한 비대면 디지털 문화가 지배하고 있다. 이제 현 시대는 분산에 방점을 찍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비즈니스를 지속하기 위해 효과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해야 하는데, 클라우드는 그런 배경에서 탄생했다"고 밝혔다.
진강훈 부사장은 "이제는 클라우드 활용이 필수다. 기업도 그런 트렌드를 따라가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에 시스코는 안전한 연결을 바탕으로, 클라우드와 데이터에 대한 가시성과 분석력을 갖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의 자동화를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