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 5G 서밋, 5G 기반 로봇·AI 등 신산업으로 무장하다

2022.05.11 09:53:05

서재창 기자 eled@hellot.net

[무료 웨비나] 업무의 새로운 패러다임 RPA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6/11)

 

퀄컴 테크날러지(이하 퀄컴)는 퀄컴 5G 서밋에서 지난 2월 MWC 바르셀로나에서 발표된 5세대 모뎀-투-안테나 5G 솔루션인 스냅드래곤 X70 모뎀-RF 시스템의 새로운 기능과 성과를 공개했다. 

 

스냅드래곤 X70는 AI를 바탕으로 10기가비트의 5G 다운로드 속도, 향상된 업로드 속도, 저지연성, 뛰어난 커버리지 및 전력효율성을 구현한다. 또한, 이와 같은 독보적 성능은 글로벌 5G 통신사를 대상으로 탁월한 유연성을 제공해 대역의 활용을 극대화해 최고의 5G 연결성을 지원한다. 

 

아울러, 퀄컴 5G AI 스위트, 퀄컴 5G 초저지연 스위트, 퀄컴 5G 파워세이브 젠3, 업링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단독모드 밀리미터파, 4X 6 GHz 이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등 우수한 기능을 기반으로 높은 5G  성능을 제공한다. 

 

 

퀄컴 스마트 트랜스밋 3.0은 퀄컴 테크날러지가 인증하는 시스템 단에서 제공하는 업그레이드 기술로,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전송 전력 관리까지  지원한다. 또한, 2G부터 5G까지, 밀리미터파,  와이파이(2.4GHz 6/6E/7) 및 블루투스(2.4)  무선에 걸쳐 전송 전력을 실시간으로  평균화하여 우수한 무선 성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5G 커버리지 확장 및 향상된 업링크 속도를 통해 셀룰러,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안테나 간의 전송을 최적화하는 한편, 기기가 전송 전력을 스마트하게 관리하도록  지원해 사용자에게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연결성을 제공한다. 

 

 

최대 8 Gbps에 이르는 속도를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5G 단독모드 밀리미터파는 키사이트의 5G 프로토콜 R&D 툴셋과 X70 기반 시험 용도 5G 기기를 사용해 구현했다. 이와 같은 성과는 샌디에고에 위치한 퀄컴의 5G 통합 및 테스트 연구소에서 이뤄졌다.

 

5G 단독모드 밀리미터파는 6GHz 이하 대역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고도 5G 밀리미터파 네트워크 및 기기 구축을 지원한다. 이는 통신사가 주거 및 상업 고객에게 멀티기가비트 속도와 초저지연으로 무선 광섬유 광대역을 지원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번 제품 시연을 통해, 퀄컴은 기기 및 네트워크를 위한 새롭고 세계적인 5G 기술 개발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두르가 말라디(Durga Malladi) 퀄컴 수석 부사장 겸 셀룰러 모뎀 및 인프라 부문 본부장은 “스냅드래곤 X70는 통신사가 독보적인 5G 역량 및 멀티기가비트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도록 돕는 동시에, 스마트폰, 노트북, 고정 무선망(FWA) 장비,  산업용 기기 등을 아우르는 새로운 사용 사례를 실현하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퀄컴은 업계 리더들과 함께 커넥티드 지능형 엣지에서 최고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5G 기술을 진일보시켜 소비자, 기업 등 산업 전반에 혁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퀄컴은 AI 강화 5G 성능, 6 Gbps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는 6GHz 이하 대역의 3x시분할 방식(TDD) 기반 5G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과 같은 스냅드래곤 X70의 성능을 5G 서밋에서 추가로 발표했다. 5G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은 셀룰러 기지국에서 멀리 떨어진 셀 엣지와 같은 까다로운 조건 속에서 평균 속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강력한 연결성을 제공한다. 

 

스냅드래곤 X70는 현재 고객을 대상으로 시제품을 출하하고 있으며, 모바일 상용 기기는 2022년 말 출시될 예정이다. 

 

한편, 퀄컴은 이날 행사에서 최첨단 5G 기술 및 엣지 AI 로보틱스 솔루션인 퀄컴 로보틱스 RB6 플랫폼과 퀄컴 RB5 AMR 레퍼런스 디자인 로드맵을 공개했다.

 

 

5G 기술이 스마트폰을 넘어 확대됨에 따라 퀄컴은 5G를 확산시키고 로봇 산업 혁신을 구현하는 기폭제 역할을 해왔으며, 최신 엣지 AI 및 로보틱스 솔루션을 통해 보다 생산성과 자율성이 높은 로봇 제작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신규  솔루션은 자율주행 로봇,  배달 로봇, 첨단 제조로봇, 협동 로봇, UAM 항공기,  상업용 드론 인프라 및 자율 방어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상업적 가치를 실현할 방침이다. 

 

퀄컴의 5G 역량과 퀄컴 AI 엔진 기술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최첨단 애플리케이션과 가능성을 실현해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한 로봇과 환경을 만든다.

 

퀄컴의 솔루션은 길거리를 주행하는 배달 로봇의 자율성 강화, 산업용 자율주행로봇의 원활한 로봇 관제 시스템, 제조 및 물류 분야에서 실행되는  중요한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실시간 데이터 및 인사이트  수집, 차세대 지능형 기술을 통한 안전한 자율형 UAM 교통 지원 등을 실현한다. 
 

퀄컴 로보틱스 RB6 플랫폼 및 퀄컴 RB5 AMR 레퍼런스 디자인은 정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물류, 건강관리, 유통, 창고 저장, 농업, 건설, 공익 등 분야에 산업용 지상 로봇을 개발하고자 하는 로봇 제조사 및 여러 제조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이끄는 한편,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할 방침이다. 

 

데브 싱(Dev Singh) 퀄컴 사업 개발 및 로보틱스 담당 시니어 디렉터는 “퀄컴의 확장된 솔루션 로드맵은 퀄컴의 선도적인 로보틱스 솔루션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추진력을 기반으로 로봇, 드론 및 지능형 머신 분야의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한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향상된 AI 및 5G 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퀄컴은 디지털 경제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 및 끊임없이 진화하는 산업의 요구에 대응하는 방법을 변화시킬 5G 연결성과 엣지 AI을 통해 로봇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퀄컴의 첨단 로보틱스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퀄컴 로보틱스 RB6 플랫폼은 퀄컴의 로보틱스 솔루션 중 가장 프리미엄 제품군으로, 기업 및 산업용 로봇 기술 혁신을 한 단계 높게 증진시키기 위해 향상된 AI 및 5G 기술을 통한 확장된 역량을 제공한다.  

 

또한, 메인스트림, 기업 및 특화망에서 글로벌 6㎓ 이하 대역 및 밀리미터파 대역을 지원하는 최첨단 5G 연결성을 선사한다. 퀄컴 로보틱스 플랫폼은 확장 카드를 지원하는 유연한 아키텍처를 통해 앞으로 진화할 연결성 기능까지 구현한다.  

 

퀄컴 로보틱스 RB6 플랫폼의 경우 3GPP 릴리스 15, 릴리스 16, 17은 물론, 향후 릴리즈 18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더불어, 최대 200 TOPS(초당 테라 연산)를 지원하는 최첨단 프리미엄 엣지 AI와 영상 처리 기술을 탑재해 차세대 고성능, 저전력, 5G  및 엣지 AI, 로봇,  드론, 지능형  머신 개발을 지원하는  프리미엄 기능 및 역량을 구현한다.  

 

퀄컴 RB5 AMR 레퍼런스디자인은 정밀하게 통합된 5G 및 AI 기능을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로봇 레퍼런스 디자인이다. 아울러, 상업용,  기업용 및 산업용 로봇의 개발을 가속화하고, 로보틱스 솔루션 도입과 더불어 커넥티드 지능형 엣지 솔루션의 이점을 실현하고자 하는 산업군에 혁신 가능성을 제시한다. 

 

퀄컴 로보틱스 RB6 플랫폼은 사용하기 쉬운 광범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세트로 구성돼 있다. 개발자는 완전히 통합된 프리미엄 AI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인 퀄컴 인텔리전트 멀티미디어 SDK를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키트는 멀티미디어, AI 및 ML, 컴퓨터 비전 및 네트워킹 빌딩 블록을 결합해 로봇 애플리케이션의 엔드-투-엔드 구축을 지원한다. 

 

퀄컴은 프리미엄 5G 및 엣지 AI 기술을 탑재한 솔루션의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 에이디링크, 아카샤 이미징, 싸이엔지엔, 포워드X, 퓨처마인드, 현대자동차, 인비아 로보틱스,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다중 액세스 에지 컴퓨팅, 모달AI, 네이버랩스, 푸두  로보틱스, 삼성전자, 테라키, 텔레다인 플리어, 썬더컴을 비롯한 로봇 공학, 드론 및 지능형 머신 분야의 리더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