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 14개 전기차 제작사와 함께 무상 안전 점검 시행… 고전압 배터리·BMS 점검 포함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전기차 화재 예방과 이용자의 안전한 차량 운행을 위해 전국적으로 전기차 무상 안전 점검을 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현대, 기아, 벤츠, 테슬라 등 국내외 14개 전기차 제작사가 자발적으로 참여해 진행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8월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마련된 정부 합동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024년 9월 6일 발표)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국토부는 제작사에 무상 안전 점검을 권고하고, 제작사들은 이에 따라 점검 일정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차, KG모빌리티 등 국산 브랜드는 물론 BMW, 벤츠, 테슬라, 폭스바겐, 아우디 등 수입 브랜드까지 총 14개사가 참여하며, 일부 제작사는 특정 기간에 국한하지 않고 연중 상시 점검 체계를 운영 중이다. 이번 무상점검에서는 고전압 배터리의 상태, 배터리 냉각 시스템 등 안전 핵심 항목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특히 배터리 하부의 충격 여부와 같은 외관 상태도 함께 살펴보고, 이상이 발견될 경우 수리 안내를 제공한다. 또한, 구형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이 탑재된 일부 차종은 고전압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지원받을 수 있다. 아울러, 리콜 미이행 여부도 확인해 리콜 조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전기차 이용자는 제작사별 점검 일정을 확인한 후 가까운 서비스센터를 예약·방문해 무상 점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제도적 보완책도 마련 중이다. 화재 위험이 있는 리콜 미이행 차량에 대해서는 향후 정기 검사 시 부적합 판정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및 ‘자동차 종합검사의 시행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이 입법예고 중이며(2025년 4월 30일~6월 9일), 이를 통해 보다 철저한 차량 안전관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작년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국민의 불안이 커진 만큼, 이번 무상 안전 점검을 통해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소비자 보호와 전기차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