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됐다. 2분기보다 더 큰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한전의 3분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16조4622억원으로 전기대비(2분기 13조5189억원) 21.8% 증가했다. 전년동기대비(2020년 3분기 15조71113억원) 4.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9366억원으로, 전기대비(7647억원) 22.5% 하락했다. 지난해 3분기에는 2조3322억원을 기록했다. 1~9월 누적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조1298억원이다. 한전은 이번 영업손실에 대해 연료비 및 구입전력비 증가 등으로 영업비용이 5조 4,618억원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전력 사용량 증가했는데, 판매수익은 저조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증가하면서 전력판매량이 4.6% 증가했지만 전기판매수익은 1.9%(8,082억원) 증가에 그쳤다. 한전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연료비 조정요금을 적용(-3원/kWh)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력 판매 실적 ’20년1~9월 ’21년1~9월 증가율 판 매 량(TWh) 384 402 4.6%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전력이 4분기 전기요금 조정단가를 발표했다. 지난 3분기 기준으로 본다면 3.0원/KWh이 인상됐지만 최종적으로 요금은 1년 전 그대로다. 그 사이 연료비는 55%(유연탄, LNG, BC유 합계 평균) 상승했다. 본래 연료비 연동제는 연료비 상승과 하락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자는 것이 취지였지만 연료비 변동과 전기요금 조정 간에 연관성이 부족한 한 해였다. 2021년 분기별 전기요금 조정단가 연료비 연동제는 유연탄, LNG, BC유 가격을 바탕으로 요금 변동분을 석달마다 산정해 기준 연료비에 직전 실적 연료비를 차감한 변동분을 전기 요금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연료비 연동제 시행 취지는 전력 시장 안정화와 국민들의 합리적인 전기 소비를 유도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전력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다. 한국전력의 최근 3년 간의 실적을 보면, 지난해를 제외하고 모두 2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봤다. 가장 큰 이유는 연료비 상승분이 전기요금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전기 생산에서 원재료(연료비) 비중은 60%가 넘는다. 전기요금 산정 방식에는 두 가지 평균연료비가 필요하다. 기준 연료비와 실적 연료비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상장마켓] 한국전력 주가에 미치는 요소들,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첫 번째 이야기 다시보기> 원전, 그 거대한 딜레마 이번 이야기는 연료비 연동제 시행 6개월, "전기요금 올려야 돼, 말아야 돼?" 입니다. 올해부터 연료비 인상폭에 따라 전기요금 가격을 책정하는 이른 바 '연료비 연동제'를 시행했습니다. 말들이 많았습니다.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올해 1분기 때 3원을 내렸는데, 2분기 때 동결, 3분기 때도 동결이었습니다. 기업 관점에서(그러니까 주주들은)는 "연료비 인상폭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을거면 뭐하러 연료비 연동제를 시행했냐!"는 것이죠. 이게 결국 한국전력 매출과 영업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주가에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거라고 봅니다. 이번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연료비 연동제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상장마켓] 한국전력 주가에 미치는 요소들 편은 총 3편입니다. 1편 다시보기) 원전, 그 거대한 딜레마 2편) 연료비 연동제 시행 6개월, "전기요금 올려야 돼, 말아야 돼?" 3편) 전기차 늘면 한국전력 주가도 오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