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2.8% 점유율로 세계 1위…'어닝쇼크' 인텔은 9.4% SK하이닉스는 6.8% 점유율로 세계 3위 지난해 인텔을 제치고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 1위로 올라선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점유율을 더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1,581억1,300만달러(약 220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의 2분기 반도체 매출은 203억달러(약 28조5천억원)로, 견조한 서버 수요와 시스템반도체 사업 성장에 힘입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였다.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1분기 12.5%에서 0.3%포인트(p) 늘어난 12.8%를 기록했다. 반면 인텔은 경기침체에 따른 PC 수요 둔화와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으로 올해 2분기에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인텔의 2분기 매출은 1분기보다 16.6% 감소한 148억6,500만달러(약 20조6천억원)였고, 4억5,400만달러(약 6천억원)의 적자까지 발생했다. 인텔의 시장 점유율은 올해 1분기 11.1%에서 2분기 9.4%로 하락했다. 이에 따라 1위 삼성전자와 2위 인텔 간 점유율 격차는 1분기 1.4%p에서 2분기 3.4%p로 벌어졌다. 삼성과 인텔은
IC인사이츠 "CMOS 이미지 센서 매출 작년보다 7% 감소할 듯" 비메모리 반도체도 수요 위축…하반기 반도체 기업 실적 '빨간불'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경기침체 여파로 대표적 비메모리 반도체인 CMOS 이미지 센서 시장이 올해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뿐만 아니라 비메모리 반도체 업황도 악화되면서 반도체 기업의 하반기 실적에 먹구름이 드리우게 됐다. 18일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CMOS 이미지 센서 시장의 글로벌 매출 규모는 186억달러로 지난해보다 7% 감소할 전망이다. 또 올해 CMOS 이미지 센서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CMOS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에서 사람 눈의 망막처럼 이미지를 포착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대표적 비메모리 반도체로 꼽힌다. CMOS 이미지 센서 시장 규모는 그동안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힘입어 급성장해왔으나 IC인사이츠의 예상대로라면 13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역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IC인사이츠는 코로나19로 급증했던 화상회의 수요가 줄고 스마트폰과 PC 판매량도 감소함에 따라 이미지 센서 판매도 부진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러시아
SNE리서치 분석…평균 판가는 삼성SDI가 1위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59조원 규모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증가한 435만대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전기차용 배터리(팩 기준) 매출 총액은 427억3000만달러(약 58조7000억원)였다.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이 130억달러(약 17조9000억원)로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은 58억4000만달러(약 8조원)에 14%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3위 중국 BYD(5조3000억원·9%), 4위 삼성SDI(4조1000억원·7%), 5위 일본 파나소닉(3조원·5%), 6위 SK온(2조8000억원·5%) 등의 순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올해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매출액은 108억9000만달러(약 15조원·26%)로, CATL 한 곳의 매출보다 적었다. 한편 업체별 평균 배터리 팩 판가는 삼성SDI가 kWh(킬로와트시)당 183달러로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량과 매출액에서 CATL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가운데, 국내 3사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SNE리서치가 집계한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435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5% 성장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1위는 CATL으로, 판매량과 매출액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LG에너지솔루션과 BYD가 2,3위로 뒤를 따랐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비중이 높은 삼성SDI는 배터리 사용량에 비해 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일본계 파나소닉과 올해 한국계 3사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는 SK온이 각각 4, 5위에 올랐다. 배터리 팩 판가($/kWh)를 계산한 결과, SDI가 183$/kWh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의 Guoxuan과 EVE가 다음으로 높았다. 일본의 파나소닉의 경우 테슬라에 원통형 셀 판매가 대부분으로 판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조업일수 감소에 수출 16.6%↓·수입 10.9%↓…올해 누적 무역적자 276억달러 '연간 최대' 9월 들어 1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16%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절로 조업일수가 감소한 영향이다. 13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62억46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6% 감소했다. 일평균 수출액은 1년 전보다 9.0%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6.5일로 추석 명절로 지난해 같은 기간(8.5일)보다 이틀 적었다. 1∼10일 수출입 통계는 단기성으로 조업일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게 관세청의 설명이다. 품목별 동향을 보면 수출의 주요 버팀목인 반도체가 1년 전보다 7.9% 증가했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2020년 6월 이후 26개월 만에 감소한 바 있다. 석유제품도 11.7% 늘었다. 반면 승용차(-17.9%), 철강 제품(-36.4%), 무선통신기기(-23.8%), 자동차부품(-15.8%) 등은 감소했다. 수출 상대국별로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대한 수출이 20.9% 줄었다. 대중 수출은 지난달까지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11.6%), 유럽연합(EU·-23.2%), 베트남(-1
1분기 18위보다 하락…주요 수출상대 중국 -2.3% '꼴지'·미국 -0.1% 하반기가 더 걱정…한은 "글로벌 성장 둔화에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도" 우리나라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포함한 주요 35개국 가운데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미국·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은 수출 감소에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까지 겹쳐 하반기 경제 성장이 더 힘겨워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0.9% 17위…중국·미국 역성장에 한국 수출 타격 12일 한은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콜롬비아·코스타리카·룩셈부르크·뉴질랜드를 제외(통계 미발표 등)한 33개 OECD 회원국에 중국·인도네시아를 포함한 35개국의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0.7%로 20위 수준이었다. 1분기와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18위(0.6%)에서 두 계단 떨어졌다. 2분기 경제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아이슬란드(3.9%)였고, 이어 네덜란드(2.6%), 튀르키예(터키·2.1%), 아일랜드(1.8%), 이스라엘(1.7%), 오스트리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 "담합 제재 완화에 신중해야" 최근 5년간 상품 판매·입찰 가격 등을 담합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은 기업의 관련 매출액이 7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부과된 과징금은 관련 매출액의 2.4%인 1조7천억원 수준이었다. 1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실에 따르면 공정위가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4년 8개월간 제재한 담합 사건 관련 매출액은 71조8,108억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담합사건 관련 매출액은 2018년 10조6,327억원, 2019년 3조227억원, 2020년 9조2,195억원에서 지난해 25조1,706억원으로 늘었고, 올해는 1∼8월에만 23조7,654억원으로 작년 연간 수치에 근접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에 부과된 담합 관련 과징금도 2018년 2,907억원, 2019년 921억원, 2020년 1,861억원에서 작년 5,727억원, 올해 1∼8월 5,622억원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4년 8개월간 과징금 부과액은 1조7,038억원으로, 관련 매출액의 2.4%에 그쳤다. 관련 매출액이 원가와 영업비용 등을 포함한 금액이긴 하지만, 매출액 대비 과징금이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담합은
스마트폰 출하량, 2년 연속 상반기 감소세…하반기엔 2.2% 성장 전망 시장조사업체 한국IDC는 올해 2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이 약 790만대로 작년 동기 대비 7.8% 감소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2분기에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3% 감소했는데, 이번에는 감소세가 더 가팔라졌다. 한국IDC는 작년 2분기에는 2020년 하반기 일부 브랜드의 공급 지연으로 침체했던 시장이 정상화되며 출하량 감소 폭이 크지 않았는데, 올해는 침체가 이어지며 감소 폭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삼성전자 갤럭시 S22 시리즈 등 플래그십 모델의 흥행과 주요 브랜드 중저가 모델의 출시로 부정적인 영향이 다소 줄었다고 한국IDC는 풀이했다. 특히 800달러(약 111만원) 이하 중저가 제품군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동기 47.7%에서 올해 58.3%로 증가하며 감소 폭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율과 주요 브랜드 중저가 신제품 출시의 영향으로 보이며, 삼성전자 갤럭시 A 시리즈 및 통신사 전용 시리즈, 애플 아이폰 SE 3세대 등이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켰다고 한국IDC는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IDC는 올해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은 작년 동기와 견
전세대출 9000억원↑·신용대출 1.3조원↓…정기예금 21.2조원 불어 주택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기업대출도 전달에 이어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지속했다. 한은이 8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1060조8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3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작년 12월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지난 4월(1조2000억원), 5월(4000억원), 6월(2000억원) 연속 증가한 뒤 7월(-3000억원) 뒷걸음쳤지만 한 달 사이 다시 반등했다. 가계대출 증감을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92조6000억원)이 한 달 사이 1조6000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9000억원은 전세자금 대출이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266조8000억원)의 경우 1조3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이후 9개월째 내리막이고, 8월 기준으로 기타대출이 전월보다 감소한 것은 2004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처음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주택 매매거래 부진에도 불구하고 집단대출, 전세자금 수요가 이어지면서 주택
토요타 등 일본 3대업체 최하위…"2030년까지 내연차 판매중단 선언해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세계 10대 자동차회사 친환경 평가에서 현대기아차가 지난해보다 한 단계 낮은 5위를 기록했다. 그린피스 동아시아 사무소는 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2년 글로벌 10대 자동차회사 친환경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기준 상위 10대 자동차 회사인 토요타, 폭스바겐, 현대기아차, 스텔란티스, 제너럴모터스(GM), 혼다, 포드, 닛산, 르노, 메르세데스 벤츠 등이 평가 대상에 포함됐다. 그린피스는 ▲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및 전기차 전환 ▲ 부품 공급망 탈탄소화 ▲ 자원 지속가능성 ▲ 문제점 등 4개 부문에서 친환경 실적과 계획을 평가한 뒤 종합 평점을 매겼다. 친환경 종합 평점은 GM이 38.5점을 얻어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메르세데스 벤츠(37.0), 폭스바겐(33.3), 포드(23.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현대기아차는 총점 22.3점을 얻어 지난해 4위에서 올해는 5위로 한 단계 낮게 평가됐다. 현대기아차는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항목에서 77점 만점 중 11.85점을 얻는 데 그쳤고, 공급망 탈탄소화와 자원 지속가능성 항
총자본비율 15.25%, 3개월새 0.23p↓…채권평가손실로 자본감소 올해 2분기 국내 은행들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국내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이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29%로, 3개월 전보다 0.23%포인트(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2.70%, 기본자본비율은 13.94%로 같은 기간 0.29%포인트, 0.28%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3월 말 대비 0.15%포인트 하락한 6.25%를 나타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감독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D-SIB)은 1%포인트를 가산해 총자본비율을 규제한다. 채권평가손실로 인한 자본 감소로 자산증가율(2.4%)이 자본증가율(0.9%)을 상회해 대부분 은행에서 자본비율이 하락했다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은행들
올해 상반기, 주요 랜섬웨어가 전년 대비 500% 증가한 것으로 탐지돼 트렌드마이크로가 2022 상반기 보안 위협 보고서를 발표해 리눅스 서버 및 임베디드 시스템을 표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의 급증을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에만 관련 공격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했다. 존 클레이(Jon Clay) 트렌드마이크로 위협 정보 부문 부사장은 “새롭게 부상하는 위협 집단은 정밀한 공격 방식에 초점을 두고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키고 있다”며, “이에 따라 조직은 확장되는 디지털 공격접점을 매핑, 이해 및 보호하기 위해 단일 통합 사이버 보안 플랫폼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트렌드마이크로는 올해 상반기 630억 개 위협을 차단했으며, 탐지된 위협은 2021년 상반기에 비해 52% 증가했다. 멀웨어 표적 상위 3개 부문은 정부, 제조 및 의료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에는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공격 탐지도 급증했다. 락빗과 콘티를 포함한 주요 랜섬웨어가 전년 대비 500% 증가한 것으로 탐지돼 6개월 만에 탐지 횟수가 거의 두 배를 돌파했다. 이러한 서비스형 랜섬웨어 모델은 랜섬웨어 개발자 및 관련자에게 상당
1∼8월 누계수주도 세계 2위…신조선가지수는 최고치 경신 한국 조선업계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치선박을 선별 수주한 여파로 지난달 전체 수주량에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88만CGT(표준선 환산톤수·51척)로 중국이 102만CGT(35척·54%), 한국이 76만CGT(12척·41%)를 수주하며 1∼2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수주량은 전월 116만CGT 대비 34% 감소했다. 업계관계자들은 인도 시기와 수익성을 고려해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을 선별 수주한 여파라고 설명했다. 1∼8월 전 세계 선박 누적 발주량은 작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2768만CGT로 집계됐다. 한국과 중국이 각각 1192만CGT(216척), 1235만CGT(475척)를 수주하며 43%와 45%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이 기간 선종별로는 14만m³ 이상 LNG 운반선 발주가 111척을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3배(190%) 가까이 증가했는데 한국은 이중 83척을 수주하며 75%의 점유율을 보였다. 아울러 지난달 발주된 LNG 운반선 8척을 모두 수주하기도 했
2022년 1~7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한국계 3사 점유율 25.9%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이 1, 2위를 유지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선 LG에너지솔루션이 1위를 지켰고 CATL은 3위를 차지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총 사용량은 240.8GWh로 전년 동기 대비 76.0% 상승했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장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계는 CATL과 BYD를 필두로 다수의 업체들이 중국 시장의 팽창을 바탕으로 세 자릿수의 고성장률을 보였다. 파나소닉을 포함한 일본계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평균에 못 미치는 성장률을 보이며 계속해서 하락세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4.2%에서 25.9%로 8.3% 하락했지만 성장세는 이어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한 34.3GWh로 2위를 유지했다. SK온은 약 2.1배 상승한 15.8GWh, 삼성SDI는 56.3% 상승한 12.2GWh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을 제외한 시장에서 국내 3사의 점유율은 55%를
호황이었던 전년 대비 지속적인 감소세로 이어질 가능성 있어 올해 상반기 가전시장 성장률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정보 기업 GfK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가전 시장 성장률은 전년 대비 -4.6%로 판매 규모의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국내 대표 가전제품 33개의 매출 금액 기준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주요 채널을 포함한 수치다. 2021년 4분기부터 시작된 가전 시장의 성장률 둔화가 이어져, 2022년 상반기는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서게 됐다. 이는 높은 가전 판매를 보였던 2021년으로 인한 기저효과에 더해, 2022년 본격화한 금리 상승과 소비자 물가 상승 등으로 소비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소비자가 비필수 제품의 소비부터 줄이기 시작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가전 시장 판매 감소는 대부분 오프라인 채널에서 나타났다. 오프라인에서는 프리미엄화에 집중한 백화점만 전년 대비 1.2%의 성장률을 보이며 판매 규모를 유지했을 뿐 대형 마트와 가전 전문점이 각각 -8.6%, -11.7%의 성장률을 보이며 전체 가전 시장의 감소를 주도했다. 2022년 초까지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던 온라인 채널도 성장률이 크게 감소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