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성균관대 배종욱 교수, 이산화탄소로 청정연료 만드는 기반기술 개발
[첨단 헬로티]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청정연료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성균관대학교 배종욱 교수 연구팀이 균일한 중형 기공의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유용한 석유화학 중간체를 생산하는 화학공정 기반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성균관대 배종욱 교수 <사진 : 성균관대 제공> 이번 연구 성과는 청정에너지와 석유화학 중간체를 합성하는 기반 기술이 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제거를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석유자원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로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제거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됐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탄올, 디메틸에테르 등의 중간체를 거쳐 다양한 석유화학 원료를 합성하는 촉매기술이 연구돼왔지만, 아직까지 촉매가 비활성화되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남아있었다. 배종욱 교수 연구팀은 알루미나와 구리 나노구조가 합성된 촉매를 개발해 이산화탄소에서 디메틸에테르를 합성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 개발된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석유화학 중간체를 합성‧활용하는 과정 5~8 nm(나노미터)의 기공이 규칙적으로 세공된 알루미나가 구리의 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