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활동을 하면 체력이 강화되고 스트레스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예기치 못하게 부상을 당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하체를 이용하는 스포츠가 많은 만큼 전방십자인대파열과 같은 무릎 부상이 잦은데, 경미한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관절 내에 자리하고 있는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구분된다. 이들은 서로 교차한 모양으로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를 잡아주어 무릎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십자인대는 튼튼한 조직이지만 비틀림에 취약하여 다리가 꺾어지거나 회전하는 상황에서는 조직이 파열되는 등 손상을 입기 쉽다. 전방십자인대파열 시에는 무릎에서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통증 및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부상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전방십자인대파열을 가벼운 염좌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전방십자인대파열이 발생하면 파열된 인대가 관절을 탄탄하게 지지해 주지 못해 무릎이 아래로 툭 떨어지거나, 무릎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무릎에 충격을 받은 후에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을 의심하고 이학적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통해 인대의 파열 정도를 확인하고 연골과 같은 다른 구조물의 동반 손상 여부도 살펴보는 게 바람직하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파열의 치료는 파열 정도에 따라 나뉘는 편이다. 경미한 파열은 약물 및 주사치료, 운동요법, 보조기착용 등으로 호전이 기대할 수 있지만 파열이 심하거나 조직이 전부 끊어진 완전파열이 발생했다면 파열된 부위에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재건수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상범 원장은 또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는 파열 정도가 기준이 되지만 이는 절대적이지 않다. 환자의 성별과 연령, 직업, 생활방식 등을 모두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파열이 심한 편이 아니어도 무릎 구조물의 2차 손상 가능성이 높은 환자는 수술을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합병증의 위험이 있는 환자는 수술을 하지 않고 우선적으로 비수술을 진행하여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