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스포츠 활동을 하거나 산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몸을 활발히 움직이면 스트레스 해소 및 체력 증진에 큰 도움이 되지만 무리한 운동 및 산행은 오히려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급격한 움직임이나 점프를 하고 뛰어내리는 등의 과격한 동작은 무릎관절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때 특히 조심해야 할 부상이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프로스포츠 선수들뿐만 아니라 등산이나 축구 등의 활동적인 여가생활을 즐기는 일반인들에게도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발생 원인은 크게 접촉성과 비접촉성 외상으로 구분되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80% 이상으로 나타난다. 비접촉성 외상은 주로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 및 급작스러운 방향 전환, 외반력, 과신전 등의 동작에서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치료 시기를 미루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좋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MRI 촬영과 같은 정밀검사로 진단하며, 검사 결과를 통해 파열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경미한 파열은 냉각, 압박, 물리치료 등을 통해 염증 및 통증을 감소시키고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여 무릎의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비수술적 치료 방식으로 효과가 나타난다. 그렇지만 전방십자인대의 절반 이상이 파열되었거나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경미한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단순한 무릎 염좌로 오인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 만약 무릎에 충격을 받은 이후로 무릎 통증 및 부종이 지속되고 정강이가 흔들리는 듯한 이상 증세가 지속된다면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 파열 수술 후에는 재활 과정을 통해 무릎의 안정성을 회복하고 전방십자인대 재파열을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