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voton社의32비트
RISC Cortex-M0 시작하기(II)
PAT-DAT-D7NM Target(이하 D7NM)은 누보톤(Nuvoton)社의 ARM 32Bit RISC Core CortexTM-M0를 효율적으로 익히기 위
해 회로를 설계하고 타깃 보드, 샘플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한 Cortex-M0 임베디드 보드이다. D7NM은 누보톤(Nuvoton.com)
NuMicro 시리즈 중 하나인 M052LAN이 사용됐으며 보드에서 다른 목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LQFP48 핀의 대부분을
2.54mm 헤더 핀에 연결했다. 샘플 코드를 이용, 타깃을 가지고 32비트 RISC Cortex-M0를 실습해본다
김형태 (conan@FirmwareBank.com), 펌웨어뱅크
0x5000_0000번지의 읽기 전용 32비트 값 중 하위 16비트가 칩의 정보를 나타 낸다. PDID 레지스터에는 M051 시리 즈의 ID Number만 나타나 있으므로 메모리의 크기와 패키지는 표 1과 같이 출력값으로 판단해야 한다. 출력된 PDID로 M052LAN을 확인할 수있으며타깃에입력된‘3’,‘ A’,‘ 7’ 은 UART 인터럽트가 실행되어 링이 제 대로 동작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PC에 서 타깃 보드로 보낸 키보드 값이다.
시리얼 통신 프로그램
D7NM_Utility/Terminal_V19B/ Terminal.exe
D7NM의 타깃 보드는 NuMicro M052LAN, 48핀 패키지를 이용하여 설계됐다. 22MHz 내부 발진 엔진으로 부팅되며, 교육용 보드로 사용하기 위 해 15, 16번 핀에 연결되는 12MHz 크리 스털은 옵션이므로 하드웨어에는 없다. 외부 부팅을 원할 경우, 반드시 12M 크 리스털을 그림 2에 나타난 옵션처럼 연 결해야 한다.
그림 3에 나타난 회로는 MPU 내부 에 풀업 저항이 있지만, 설계 시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야 하므로 10kΩ의 저항 으로 설계됐다. M051 시리즈 대부분의 핀을 외부로 연결하기 위해 1줄, 그리고 2줄 헤더 핀을 이용하여 슬롯으로 설계 됐다. 필요한 경우 2.54mm 피치의 CON21, CON22로 사용하여 확장하기 바란다.
대부분의 PC는 그 흔한 UART COM 포트가 없으므로 USB를 시리얼로 변환 해 주는 SiLAB(www.silabs.com)의 CP2102로 설계했다. 이 변환 IC는 5V입력에 VDD(6) 핀으로 3.3V 출력이 가 능하므로,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그림 4에 나타난 회로도와 같이 설계만 해놓 고 PCB에는 자삽하지 않았다. 소비전류가 100mA 이상 발생하는 임베디드 에서는 최대 소비 전류 이상의 레귤레 이터 용량을 사용하면 된다. AD 변환 실험을 하기 위해 미국 아 바고사의 포토 센서를 인터페이스 설계 했지만 지면 관계상 소스코드는 공개하 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ADC 항목은 기 술 단행본『ARM RISC 32bit 마이크로 프로세서 펌웨어 개발』을 참고하기 바 란다. GPIO 입력 실험을 실시하기 위 해 P3.2 핀에 부논리 입력으로, 또 P2.1 ∼P2.4에 부논리 출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타깃 사양
·Name : PAT-DAT-D7NM
·MPU : Cortex-M0, M052LAN (APROM 8K)
·Clock : 내부 22MHz
·USB2Serial : CP2102
·광 센서 : 아바고社의 Ambient Light Photo Sensor
·GPIO 버튼 : 2개(Reset, INT/ GPIO)
·GPIO LED : 그린 4개
·확장 슬롯 : CON21, CON22
·크기 : 55mm×86mm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