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가 올해 상반기 중국에 출시할 계획이었던 쏘나타 하이브리드(뉴스1DB)/News1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한반도 배치결정후 중국의 경제보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려던 현대차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LG화학과 삼성SDI 등 국내기업 배터리가 적용된 차량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현대차는 고심끝에 현지 생산품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배터리 교체에는 설계변경이 필요해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하려던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출시연기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내년부터 친환경차 생산·판매 비중이 법적 기준에 못 미치는 완성차업체에 패널티를 부과하는 NEV(친환경차) 크레딧 제도를 시행할 예정이어서 최악의 경우 현대차는 1000억원이 넘는 벌금을 물어야한다.
◇ 쏘나타PHEV 中 출시 연기 불가피…배터리 규제 여파
8일 현대차에 따르면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할 예정이던 쏘나타PHEV의 배터리를 LG화학 제품에서 현지 업체인 CALT 제품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은 모범규범 인증기준을 대폭 상향조정하는 방식으로 국내 배터리기업들의 시장진입을 사실상 봉쇄했다.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범 기준을 연간 생산능력 2억와트시(Wh)에서 80억Wh로 40배 높였다. LG화학과 삼성SDI의 연간 생상능력은 이 기준에 절반도 못 미친다. 중국 정부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이들 업체의 배터리가 장착된 차종은 보조금 지원대상에서 제외했다.
쏘나타PHEV는 현대차가 중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고자 선택한 전략 차종이다.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중국 시장에서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판매자체가 어려워 배터리 교체 검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가 친환경차 구매보조금으로 최대 20만위안(34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이 배터리를 CALT 제품으로 교체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PHEV의 핵심부품인 배터리를 교체하려면 반드시 자동차 설계를 변경해야한다는 점이다. 설계변경에는 보통 1년 이상이 걸린다. 이에 따라 쏘나타PHEV의 중국 출시 시점은 현대차가 계획했던 올해 4월에서 내년 2월 이후로 1년가량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 中 친환경차 라인업 전무 현대차…1000억원 이상 벌금 물라
중국에 쏘나타PHEV를 시작으로 아이오닉PHEV 등 친환경차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던 현대차는 당분간 현지 토종업체의 독주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
특히 중국 정부가 2018년까지 친환경차 비중이 연간 생산량의 8%를 넘지 못하는 업체에게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어서 공백 기간이 길어지면 현대차에게 불리하다.
연간 5만대 이상 판매한 업체가 친환경차 강제할당 대상 기업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114만2016대를 판 현대차는 2018년까지 9만대 이상을 친환경차로 채워야한다. 하지만 현대차는 물론 기아차도 중국에서 친환경차 생산·판매를 시작하지도 못하고 있다.
쏘나타PHEV 출시 시기가 지연되면 현지 정부로부터 벌금을 부과 받을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업계는 현대기아차의 생산·판매량을 감안했을 때 벌금규모가 1000억원대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친환경차 판매비중을 법적으로 할당하면 현대기아차 등 내연차량 점유율 상위권을 독점한 외국계 업체를 견제하는 효과가 있다"며 "표면적으로 미세먼지를 잡기 위한 조치지만 전기차에 강점을 가진 중국 업체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려는 일종의 산업보호주의 정책"이라고 말했다.
임해중 기자 (haezung2212@news1.kr)
뉴스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