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혁신적인 “코일 온 모듈(Coil on Module, CoM)”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접촉식 및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둘 다 채택한 전자 신분증, 전자 운전면허증, 의료보험 카드의 제조를 간소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들 듀얼 인터페이스 카드 소지자는 정부 기관이나 병의원에서 기존 인프라뿐 아니라 편의성이 뛰어난 비접촉 애플리케이션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피니언은 유선(wired) 카드 안테나를 이용해 듀얼 인터페이스 CoM 패키지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 이 기술은 유효기간이 길고 보안성이 극히 높은 관공서 신분증을 제작하는 데 필수적인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만들어진 카드에 편리하게 통합된다.
듀얼 인터페이스 카드는 오늘날 주로 이용되고 있는 접촉식 카드 애플리케이션과 앞으로의 모바일 솔루션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 몇 년 동안은 듀얼 인터페이스 솔루션의 수요가 순수한 비접촉식 솔루션보다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조사 기관인 IHS의 조사에 따르면(2014년 7월) 정부 및 의료 분야에 이용하기 위한 듀얼 인터페이스 카드 수가 2013년에서 2019년까지 연간 22%의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비해서 순수한 비접촉식 카드는 14.3%의 속도로 증가할 전망이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의 칩 카드 및 보안 부문 사장인 스테판 호프첸(Stefan Hofschen) 박사는 “인피니언의 ‘코일 온 모듈’ 기술은 결제 분야에서 이미 확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이제는 유효기간이 길고 보안성이 극히 높은 관공서 신분증에 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들 카드의 제조를 간소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인피니언은 고객의 시스템과 요구사항을 충분히 이해하고 해당 분야에 적합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이 자신의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듀얼 인터페이스 결제 카드에 기술상 수상 경력의 1세대 CoM 기술을 적용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인피니언은 칩 모듈과 카드 안테나 사이에 통상적인 기계-전기식 접속이 아니라 RF 링크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카드 제작 시 칩 모듈과 카드 안테나를 접속하기 위한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