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구동이나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고성능 유연 전자소자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김재현 박사팀이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반도체 소자를 유연성이 뛰어난 폴리머 기판 위에 전사해 고성능의 유연전자소자를 양산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된 기술은 롤 스탬프와 박막-롤러 사이의 하중 제어 기술을 이용, 무기물 반도체 소자를 빠른 속도로 대면적 유연기판에 전사함으로써, 유연 전자소자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것이 핵심이다.
이 기술은 전하이동도가 기존 유기물 소자보다 10~100배 이상 빠른 무기물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를 신축성이 높은 고무기판 위에 성공적으로 전사함으로써, 고성능 유연 트랜지스터를 구현했다. 두께가 800nm 수준인 이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는 5%의 변형률과 100회 이상의 반복시험에도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성능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전하이동도가 12 cm2/Vs 로 상용 유기물 반도체(0.4 cm2/Vs)보다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유기물을 활용한 유연 전자소자는 전하이동도가 낮아 e-book이나 일회성 RFID 등 정지된 화면에만 구현 가능한 반면, 이 기술은 HD급 동영상 구동 및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필 두께에 감을 수 있을 만큼 정교한 고성능 유연 디스플레이나 접거나 감을 수 있으면서도 효율이 20%이상인 고효율 유연 태양전지, 인체에 부착 가능한 고성능 유연 컴퓨터 등 차세대 유연 전자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데에 필수적인 공정 및 장비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책임자인 김재현 박사는 “현재 고성능 유연 전자 시장은 실리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 이은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2021년 442억불 규모로 성장해현재의 메모리 반도체 세계 시장에 견줄 수 있는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