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4일 두산로보틱스의 합병 및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증권신고서에 대해 정정을 요구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정정 요구는 주주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조개편의 배경, 주주가치 결정 내용, 수익성과 재무안정성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보완하라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개편과 관련한 배경과 주주가치에 대한 결정 내용을 명확히 하고, 수익성과 재무안정성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두산그룹은 최근 두산로보틱스와 두산에너빌리티 간 인적분할·합병 및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 간 포괄적 주식교환 등을 통해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의 완전자회사로 이전하는 사업 구조 개편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적자 기업인 두산로보틱스와 안정적인 '캐시카우'인 두산밥캣의 자본거래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거의 동일하게 평가된 점이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존 두산에너빌리티 주식을 보유한 소액주주들이 이번 구조개편으로 인해 주식 100주당 약 27만1천원의 손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추산
2021년 이후 최저금리…채무 상환 및 광양 양극재 투자 활용 포스코퓨처엠은 한국형 녹색채권 6천억원을 발행해 사업 성장을 위한 투자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게 됐다고 24일 밝혔다. 한국형 녹색채권은 환경부가 친환경 경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발행을 지원하는 채권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녹색채권 발행으로 최대 3억원의 이자 비용을 지원받아 금융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16일 수요예측 결과 모집 금액의 3배가 넘는 9,350억원의 수요가 확인돼 당초 계획한 3천억원보다 발행액을 2배로 증액했다. 발행 규모는 채권 만기별로 3년물 4,800억원, 5년물 1,200억원이다. 발행 금리는 3년물 3.484%, 5년물 3.593%로 2021년 9월 이후 가장 낮았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조달 자금을 하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채무 상환 및 건설 중인 광양 NCA 양극재 공장 시설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투자자들이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배터리산업의 성장성을 인정해 이번 수요예측 관심이 컸다고 분석했다. 포스코퓨처엠 정대형 경영기획본부장은 "회사의 성장성 및 사업 경쟁력에 대한 투자자들의 확고한 믿음을
전기차 화재진압장비·재활로봇·주차단속시스템 등 국민 삶과 직결된 제품 조달청은 신성장을 이끌 40개 혁신제품을 새로 지정하고, 혁신제품 지정이 만료된 28개 제품을 1년간 연장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조달청은 상용화 전 시제품 평가를 통해 공공부문이 혁신제품의 첫 번째 구매자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기술 개발을 유도하고, 기관에 대해서는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 지정된 혁신제품은 전기차 화재 전용 화재진압 장비와 스마트 교통안전 알림이, 옥외 소화전 주변 주차 단속시스템, 위·대장 내시경 의료기기, 침수 예방 빗물받이 시스템, 상지 기능 회복 재활 로봇, 양방향 스마트 도어락, 융복합 전기차 충전장치 등 국민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최대 6년간 수의계약, 구매목표제 시행, 구매면책 등의 판로 지원이 이뤄진다. 단가계약과 시범구매는 물론 수출 확대를 위한 해외실증 지원도 한다. 조달청은 지난달 부처 협업으로 기술 우수 혁신제품 확대, 시범구매 전략적 운영, 해외실증을 통한 수출 기반 마련, 단가계약 본격 도입, 규격추가 절차 간소화 등 혁신제품 구매 운영 규정을 개정한 바 있다. 전태원
한미반도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용 TC본더 생산 라인 증설을 위해 인천 서구 가좌동 소재 공장 용지를 취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주안국가산업단지에 있는 기존 3공장 '본더 팩토리' 옆 부지로 취득한 토지 면적은 9,700.8㎡, 금액은 293억4천만원이다. 회사 측은 신규 부지에서 내년 초 공장 증설 공사를 시작, 같은 해 말 완공할 계획이다. 현재 한미반도체는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 등에 HBM 제조 장비 TC 본더를 공급하고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스닥 상장사 티라유텍은 운영자금 등 약 250억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주당 5,698원에 신주 438만7,504주(보통주)가 발행된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엘에스일렉트릭주식회사(263만2,502주), 제이케이엘 이에스지미래 모빌리티 밸류체인사모투자합자회사(175만5,002주)다. 회사 측은 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에 관해 "스마트팩토리 사업규모 확장을 위한 신성장동력 확보 및 운영자금 조달"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마하(Mahr)는 독일 기업 옵토서프(OptoSurf)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마하는 이번 인수로 광학 표면 계측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고객에게 마찰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고유한 잠재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표면을 매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모를 줄이며 시스템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산란광의 고유하고 독립적인 기술은 특히 기능적 요구 사항이 높은 미세 가공 표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한다. 나노미터 범위의 거칠기까지 감지할 수 있다. 표면 파라미터는 기존의 촉각 또는 광학 방식처럼 높이 프로파일에서 얻지 않고 측정 지점 내의 마이크로 프로파일 각도 분포에서 얻는다. 표면이 거칠수록 각도 분포가 커지고 반사광의 산란이 더 넓어진다. 이 각도 정보는 마찰 시스템에서 표면의 마찰 거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산란광 기술은 진동과 거리에 민감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어 생산 환경에서 직접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고속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평가할 표면의 최대 100%까지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의 높은 정확도로 인해 이 기술은 특히 전기 이동성, 기계 공학, 항공 우주 기술, 의료 기술 및
유주영 팀장, 국내 RFID 라벨 사업 A부터 Z까지 진행...뮬바우어 라벨 컨버팅 장비 ‘CL30000’ 구매 의료폐기물 라벨, 의류 라벨, 타이어 라벨 등 RFID 라벨 라인업 준비 완료 RFID 특수태그 전문업체인 알에프캠프가 RFID 라벨 사업을 시작한 것도 큰 뉴스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사업을 미술 전공 출신으로 입사한 지 10개월 남짓한 신입직원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업계에서는 이 점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팀장이라는 직함이 낯설긴 하지만, RFID 기술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엔지니어와의 협업을 통해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고 있다. 유 팀장은 알에프캠프를 국내 RFID 산업을 선도하는 회사로 평가하며, 특히 의료폐기물 라벨 분야를 우선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그는 RFID 라벨 사업의 품질 일관성과 빠른 고객 대응을 차별화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앞으로 유 팀장은 청년세대가 제조업에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자임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통해 국내 RFID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미술 전공자에서 RFID 전문가로 변신을 꾀하고 있는 알에프캠프 유주영 팀장을 만나 알에프캠프의 RFID 라벨 사업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숨은 위험 찾기, 위험성평가, TBM 시연 등을 통한 산재예방 역량 제고 한국남부발전(사장 이승우, 이하 ‘남부발전’)이 18일 본사 대강당에서 유해·위험요인 발굴의 중요성과 안전보건에 대한 상생협력 가치를 강조하기 위하여 협력사와 함께하는 ‘위험성평가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사업소에서 남부발전과 협력사 직원들로 구성된 9개팀 50명이 참가한 이날 대회는 그림으로 제시된 발전소 작업 상황에서 △숨어 있는 위험 찾기, △고위험 작업유형에 대한 위험성평가 및 발표 △작업전 안전 회의(TBM, Tool Box Meeting) 시연 등을 통해 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안전 개선 대책을 수립·이행하는 역량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한, 대회 중간중간에 안전퀴즈, 위험성평가 빙고게임 등을 통해 참가자들의 위험성평가에 대해 이해 도모는 물론 안전보건에 대한 참여와 실천 문화를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날 최종 심사결과 신인천빛드림본부가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날 최우수팀으로 선정된 신인천빛드림본부본부 서효준 직원은 ”협력사와 한 팀으로 참여하게 되어 상생협력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았으며, 대회 준비와 경진대회 참가를 통해 막상 어렵게만 느껴왔던 위험성평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이동형 로봇용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Safety Software Framework)’가 국제 인증기관인 DNV(Det Norske Veritas)로부터 국내 최초로 국제 규격 ‘IEC 61508’과 ‘ISO 13849’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IEC 61508’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으로 SIL(Safety Integrity Level)에 따른 설계, 개발, 검증 및 유지보수 전 과정에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ISO 13849’는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기계류의 안전 부품에 대한 안전 요구사항을 정의한 국제 표준으로 PL(Performance Level)을 통해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평가한다. 삼성전자는 AI와 로봇 기술의 융합 가속화에 발맞춰 이동형 로봇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는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비상/보호 정지, 충돌 감지, 최고 속도 제한 등 10가지 안전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높은 안전성을 인정받아 로봇 안전 무결성 등급인 ‘SIL 2’와 ‘PL d’ 레벨을 획득했
크라우드스트라이크 11%↓…일부 증권사 온라인 거래 장애 19일(현지시간) 전 세계 곳곳에서 '글로벌 IT 대란'이 발생한 가운데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1% 가까이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77.49포인트(-0.93%) 내린 40,287.5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9.59포인트(-0.71%) 내린 5,505.0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44.28포인트(-0.81%) 내린 17,726.94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대형 기술주가 연일 약세를 이어간 가운데 최근 순환매 장세로 강세를 보였던 경기민감주와 중소형주도 전날에 이어 이날 약세를 보였다. 다만, 주간으로 보면 기술주 비중이 낮은 다우 지수는 주 후반 약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이번 주 들어 0.6% 상승했고, 중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 지수도 이번 주 들어 1.7% 올랐다. S&P 500 지수는 주간 기준으로 2% 하락하며 지난 4월 중순 이후 가장 나쁜 한 주를 보냈고, 나스닥 지수는 한 주간 3.7% 하락하며 역시 4월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GDS웰스매니지먼트의 글렌 스미
5MP에서 24MP까지 다양한 해상도와 최대 212fps 지원 바슬러(Basler)가 새로운 ‘ace 2 V’ 카메라 출시를 통해 ace 2 카메라 시리즈를 확장했다. 신규 출시된 모델은 단일 채널 CoaXPress 2.0 카메라로, 29mm x 29mm의 콤팩트한 디자인에 Sony Pregius S 시리즈의 7가지 센서를 탑재하고 있다. 이 센서는 각각 모노크롬과 컬러 버전으로 제공되며, 5MP에서 24MP까지 폭넓은 해상도와 최대 212fps의 프레임 속도를 제공한다. 강력한 CoaXPress 2.0 인터페이스는 12.5Gbps의 높은 대역폭을 지원해 빠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바슬러의 CoaXPress 2.0 포트폴리오에 통합된 ace 2 V 카메라는 호환 가능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ace 2 V 카메라는 Sony의 Pregius S 센서와 다양한 펌웨어 기능을 바탕으로 뛰어난 이미지 품질을 제공한다. 움직이는 오브젝트도 모션 아티팩트(Artifact) 없이 선명하게 구현하며, 센서의 매우 우수한 감광도를 통해 저조도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탁월한 이미지 품질을 보장한다. 강력한 CoaXPress 2.0 인터페이스가
재난 대응체계를 통합하고 재난위험 예지시스템을 구축한 점 등이 높은 평가 한국전력공사(대표이사 사장 김동철)는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4년도 재난관리평가’에서 에너지분야 공공기관 최초로 6년 연속 재난관리 우수기관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부 재난관리평가’는 기관들의 재난관리 책임성과 역량 제고를 목적으로 2005년부터 실시 중인 평가제도로, 338개 재난관리책임기관(중앙부처 29, 공공기관 66, 지자체 243)을 대상으로 재난관리 예방·대비·대응·복구 단계별 역량을 종합 진단해 ‘우수-보통-미흡’ 등급을 부여했다. 한전은 코로나19로 평가가 미시행된 2021년(2020년 실적)을 제외하고 2018년(2017년 실적)부터 6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 등급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력·가스·석유 등 에너지분야 공공기관 중 최초의 사례다. 이번 평가에서 △기관장·부기관장·실무자의 재난대응 역량(인터뷰 등) △재난대비훈련(안전한국훈련 등) △업무연속성 유지노력(재해경감 우수기업) △실제 재난 대비·대응 추진 정책 등 모든 지표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특히 △국가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활용해 자체 재난안전관리체계를 통합 구축한 점 △호우, 태풍 등
15~17일 사흘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국제식품기술박람회 ‘IFT 2024’ 참가 삼양사가 글로벌 식품 관련 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며 스페셜티(고기능성) 소재를 알리고 해외 판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양사(대표 최낙현)는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국제식품기술박람회 ‘IFT 2024’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 박람회는 국제식품학술기구 ‘IFT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가 매년 주최하는 행사로 전 세계 100여개국, 13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하는 식품 기술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박람회다. 앞서 삼양사는 3월 미국 천연식품박람회 ‘NPEW 2024’를 시작으로 5월 일본 식품전문전시회 ‘IFIA 2024’, 6월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 참가해 스페셜티 소재의 우수성을 알렸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와 수용성 식이섬유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소재를 중점적으로 알리고, 해당 소재가 사용된 시식 샘플을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도왔다. 시식 샘플로는 알룰로스로 칼로리를 낮추고,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으로 식이섬유 함량을 높인 무가당 바닐라 아이스크림과 식물성 젤리
오는 11월 상호인정협정(MRA) 체결을 목표로 협력 본격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지난 18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와 이탈리아 탄소발자국(CFI) 프로그램 간 상호인정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었다고 밝혔다. 산업부와 생기원이 운영 중인 ‘국제통용 발자국 검증제도’의 대외 확장성이 강화되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제품 수출입과 관련하여 탄소발자국 검증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나, 우리 기업들이 EU 등 현지에서 검증을받으려면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산업부와 생기원은 기업들이 국내에서 탄소발자국 검증을 받을 수 있도록 ‘국제통용 발자국 검증제도*’를 마련하는 동시에, 검증 결과가 해외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외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와의 상호인정 확보에 주력해왔다. 이번 양해각서(MOU)를 통해 생기원과 이탈리아 탄소발자국 프로그램은 양국 제도 간의 상호인정협정(MRA) 체결을 위한 협력을 본격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향후 MRA가 체결되면 우리 기업들이 국내의 ‘국제통용 발자국 검증제도’를 통해 획득한 탄소발자국이 유럽
다채로운 실내디자인 PBV 고려한 신기술… 해외시장 안전기준 충족, 확장성 갖춘 에어백 개발 현대모비스가 목적기반차량(PBV)에 특화된 에어백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고 밝혔다. 차량 내부가 상대적으로 넓고 다채로운 실내디자인이 가능한 PBV 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술이다. PBV 기반 플릿(Fleet) 서비스가 본격 상용화되는 내년부터 이 분야 승객안전 기술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모비스는 차 문에 장착해 아래에서 위로 펼쳐지는 ‘도어 장착형(Door Mounted) 커튼에어백’과 에어백 하단부의 지지력만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자립형(Self-Support) 동승석에어백’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두 기술 모두 충돌이나 전복 사고 시 탑승객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상해를 대폭 저감시킨다. 북미 등 까다로운 해외 선진시장의 각종 안전기준도 만족한다. 도어 장착형 에어백은 커튼에어백이 위에서 아래로 펼쳐지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수직으로 상승한다. 사고 시 0.03초 만에 팽창한다. 현대모비스는 세계 최초로 와이어 방식을 커튼에어백에 적용했다. 에어백 좌우로 설치된 와이어를 따라 쿠션이 펼쳐지며, 창문 밖으로 탑승객의 이탈을 방지한다. 북미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