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테크노트

배너

국내 연구진, 마스크 폐기물로 이차전지 성능 향상하는 기술 개발

URL복사
[선착순 마감 임박] AI분야 특급 전문가들과 함께 AI로 우리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AI 비즈니스 개발 융합 컨퍼런스에서 확인하세요 (5/3, 코엑스3층 E홀)

 

마스크 폐기물을 첨단 물질로 가공해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안광진 교수팀은 마스크 폐기물로부터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고,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도전재로 적용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제 1저자 남언우 연구원은 “마스크 폐기물로부터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고 배터리 성능을 연구한 것은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의 좋은 개발 사례”라며 “공정은 마스크 폐기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다른 폐플라스틱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열분해는 대표적인 화학적 재활용 방식 중 하나로,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열분해유와 탄화수소 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메탄,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탄화수소 가스는 고부가가치 탄소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 합성을 위한 원료로 이용된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열·전기 전도성 및 기계적 강도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안광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는 “‘열분해’와 고온에서 탄화수소를 분해하는 ‘화학기상증착’ 두 가지 기술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면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해 첨단 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탄소나노튜브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 도전재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도전재는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하는 활물질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탄소나노튜브를 도전재로 활용하면 기존의 카본블랙 소재보다 높은 표면적 및 전도성을 가진다. 즉, 도전재 사용량을 줄이는 동시에 활물질의 투입량을 늘려 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광진 교수는 “다양한 대학과 기관의 협업으로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향후 해당 공정에 대한 스케일 확장 및 산업적 구현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제성 및 환경성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라고 후속 연구 계획을 밝혔다.

 

서울시립대 서명원 교수는 “기존 탄소나노튜브 생산법과는 달리 마스크 등 고형 폐기물의 열분해로 생산된 가스들을 별도의 분리 공정 과정 없이 이용 가능한 것이 이번 연구의 차별점”이라며 “이번 성과는 환경적 측면과 각종 첨단 산업에서 핵심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충남대학교 이경진 교수는 “본 연구는 앞으로의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및 활용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탄소나노튜브를 배터리 도전재로 사용하면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번 공정을 통해 폐플라스틱으로도 생산 가능하다는 점은 상당한 파급력을 가지고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UNIST 안광진 교수, 충남대학교 이경진 교수, 서울시립대학교 서명원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했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라호원 박사 연구팀, 한국탄소산업진흥원 박영수 박사 연구팀, 한국화학연구원 임지선 박사, ㈜제이오 강득주 대표가 참여해 기술적으로 지원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