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글렌피딕, 위스키 콜키지 문화로 새로운 주류 트렌드 이끈다

URL복사
[무료 웨비나] 빠르고 직관적인 강력한 아날로그 시뮬레이션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5/23)

 

싱글몰트 위스키 브랜드 글렌피딕이 '콜키지(Corkage)' 문화를 선도하고자 지난 5월부터 위스키 콜키지 문화를 제안하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8월 공개된 '부산 미락슈퍼' 편에는 가수 겸 배우 정은지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이번 영상에서는 '글렌피딕 21년 그랑 레제르바'와 어우러지는 음식을 소개한다. 부드럽고 과실향이 나는 그랑 레제르바와 제철 창작 요리인 약선 오마카세의 완벽한 페어링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식당은 간이 센 한식과 위스키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편견을 없애기 위해 부산에 위치한 전통 한식 오마카세인 '미락슈퍼'로 선별했다. 해산물부터 육류까지 여러 재료를 활용한 음식들이 위스키와 어우러져 더 풍부한 맛을 느껴볼 수 있다.

 

럼 특유의 달콤함과 긴 여운의 피니시가 특징인 글렌피딕 21년 그랑 레제르바를 포함해 제품의 숙성연도, 위스키 제조 지역, 라벨 특징 등 위스키 관련 지식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위스키 숙성연도는 위스키를 제조할 때 사용된 가장 어린 원액의 나이로 결정된다. 만일 21년 동안 숙성된 원액을 99% 사용하고 단 1%의 원액만 10년 숙성된 원액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해당 위스키는 10년 숙성 제품으로 분류된다. 

 

제품에 사용되는 원액은 위스키의 품질 관리와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몰트 마스터가 테이스팅을 한 후 기준에 부합하는 원액만을 엄선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캐스크에서 여러해 동안 숙성된 원액들이 들어간다. 

 

위스키 전문가에 따르면 위스키 풍미의 최소 60%, 많게는 80%가 숙성 과정을 통해 결정되기 때문에 숙성 연수도 중요하지만 어떤 캐스크에서 얼마나, 어떻게 숙성 됐는 지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글렌피딕 21년 그랑 레제르바는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의 글렌피딕 증류소에서 만들어진다. 아메리칸 버번 배럴과 유러피안 셰리 캐스크에서 최소 21년 동안 숙성된 원액을 최상급 캐리비안 럼을 숙성했던 캐스크로 옮겨 담아 약 3개월 동안 추가 숙성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 특별한 과정을 통해 글렌피딕 특유의 청량한 과일향과 부드러운 바닐라, 오크향에 캐리비안 럼의 달콤한 열대 과일의 뉘앙스와 캐러멜 그리고 스파이시한 피니시가 더해졌다.

 

배대원 글렌피딕 앰버서더는 "위스키 콜키지가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소비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위스키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도록 위스키 콜키지 문화를 더욱 폭넓게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취하기 위해 마시는 주류가 아닌 소비자들이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위스키를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와 위스키 문화를 소개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