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기획특집

배너

[미래 에너지 특집Ⅰ] 만만찮은 탄소중립…원전이냐 재생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URL복사
[선착순 마감 임박] AI분야 특급 전문가들과 함께 AI로 우리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AI 비즈니스 개발 융합 컨퍼런스에서 확인하세요 (5/3, 코엑스3층 E홀)

 

IEA “전체 에너지 믹스 중 전기 비중 50%, 그 중 재생 전력 비중은 80% 넘겨야”

곽지혜 KIER 연구소장 “원자력∙재생에너지 최대한 늘리고 에너지 통합 인프라로 끌어와야”

 

지구 곳곳이 기후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남미, 유럽, 중앙아시아 등지로부터 들려오던 홍수, 이상 폭염, 가뭄 등 자연재해 소식은 빠른 속도로 우리나라를 덮쳐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달 25일 장마가 시작된 이후 지난 18일까지 전국에 평균 600㎜(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지금까지 40여 명이 넘는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보도에 따르면, 서울 넓이의 절반이 넘는 3만 2천 894.5ha(헥타르) 크기의 농경지가 침수됐고, 폐사한 가축은 79만 마리를 넘어섰다.

 

대한민국은 2018년 기준 약 7억 2700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제출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40%를 감축, 탄소 배출량을 4억 3천 600만 톤까지 줄여야 한다.

 

사실 국제 사회의 권고는 더욱 엄격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권고한 감축 수치는 2010년 대비 45%로, 우리나라가 이 권고에 따르려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3억 6천 1백만 톤까지 줄여야 한다.

 

국가 온실가스인벤토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석탄, 석유 등 자원을 전기나 열 에너지로 전환하는 전환 부문과 산업 부문, 각각 37%와 36%다. 최종 에너지 소비를 보면 산업에서 60%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산업 분야의 에너지 소비를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달 29일 열린 2023 PV 월드 포럼에서 발표를 진행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곽지혜 재생에너지연구소장은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 분야가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이기 때문에 탄소 배출 감축 미션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어렵다고 해서 안 할 수는 없다”면서, “일본, 영국 등처럼 원자력을 늘리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재생에너지를 줄여야한다고 말하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고 일침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세계 1차 에너지공급망 전망에 따르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선 전체 에너지 공급망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2030년 31%, 2050년엔 70%까지 올라가야 한다. 같은 시기 원자력 비중은 각각 8%, 12%다.

 

곽 소장은 온실가스가 나오지 않는 무탄소 전기를 최대한 생산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소리를 높였다.

 

우리나라 최종 에너지 소비는 크게 전기와 열 에너지로 나뉜다. 석유, 석탄, 가스 등을 통해 만드는 열 에너지의 경우,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적기 때문에, 열 에너지 비중을 줄이고 전기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탄소중립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제 사회도 마찬가지, 실제로 IEA가 전망한 2050년 세계 전기 수요는 2021년의 2만 4700TWh(테라와트시)에서 2배 이상 증가한 6만 2159TWh다.

 

곽 소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대부분 석유를 쓰는 산업원료용 소비 부문을 제외하고도,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전기의 비중이 2020년 기준 겨우 25%다. 전체 에너지 소비의 25% 남짓한 전기 소비 안에서도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원자력과 재생 전력의 비중은 각각 29%와 6.3%다.

 

IEA, BP 등 글로벌 기관들은 모두 탄소중립을 위해선 전체 에너지 믹스 중 전기의 비중이 50%를 넘어야 하고 이 중 재생 전력의 비중이 80%를 넘겨야 한다고 발표했다. IEA는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커져야 할 기술과 시장으로 태양광과 풍력을 꼽았다.

 

 

IEA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등 다수 유럽 국가들에서 전체 국가 발전량 중 재생 전력 비중이 40%를 넘었다. 원자력으로 전체 전기의 60~70%를 공급하고 있는 프랑스도 재생 전력이 전체 전기의 25%를 차지했다. 중국은 28% 일본은 21%, 한국은 6.3%다.

 

곽 소장은 “특히 일본은 2017년에 2030년 재생 전력 비중 20% 달성을 목표로 삼았는데, 2020년 이미 20%를 넘기고 현재 46%로 목표를 상향했다”며 “혹자는 우리나라가 태양광을 너무 급하게 늘려서 부작용이 있다고 비판하는데, 급속하게 늘린 것이 이제 4%”라며, “속도가 문제가 아니라 잘했어야 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재 국제 사회의 평균 재생에너지 비중은 2021년 28%, 2030년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밝힌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비중은 21%로, 목표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곽 소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존 원전 25기 중 18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현재 짓고 있는 원전 5개를 완공, 다 가동해도 2050년 발전량 전망 1209TWh의 19% 정도 밖에 감당하지 못한다.

 

곽 소장은 “원전이냐 태양광이냐 아니면 풍력이냐로 왈가왈부할 시간이 없고, 원자력도 재생에너지도 최대한 노력하면서 늘리고, 이를 에너지 통합 인프라 안으로 끌어와야만 탄소중립이 가능하다”면서 “원자력을 많이 하고 있는 프랑스도 10개의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분석, 동일한 결론 하나를 얻었는데, 그것은 원자력은 신규 원전이 없이는 안되고 할 수 있는 최대한으로 재생에너지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래 에너지 특집Ⅱ] 오래된 떡밥, 태양광에 대한 오해와 진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