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데이터

배너

중국, 자동차 수출국 세계 2위 등극...'신에너지차 2배 이상 증가'

URL복사
[#강추 웨비나] 제조 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웨비나 시리즈: Autodesk 올인원 제조솔루션 Fusion 활용하기 - 2편: Fusion 디자인패키지- Generative Design & Simulation 활용하기 (8/27)

 

중국이 자동차 수출 부분에서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에 등극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022년 중국 자동차 글로벌 시장 수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54.4% 증가한 311만 대로, 중국은 261만 대를 수출한 독일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국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의 수출 물량 중 신에너지차(BEV, PHEV, FCEV)는 약 68만 대로, 전년 대비 120% 증가해 2배 이상 성장세를 기록했다.

 

일본은 2022년 11월까지 약 320만 대를 수출하며 1위를 확정했고, 한국은 잠정 230만 대로 6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지난 5년간 100만 대 전후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1년 100% 이상 급증 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의 전기차 수출 중 절반 가량은 미국의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한 물량이다. 2022년 상반기 기준 테슬라는 중국에서 9만 7182대를 수출하며 중국의 상반기 신에너지차 수출 20.2만 대 중 48%를 차지했다.

 

2022년 5월 기준 세계 전기차 판매 모델 상위 10개 중 7개가 BYD, SAIC 등 중국 업체의 모델로, 중국 완성차 회사의 전기차 수출 증가가 지속되고 있다. 기존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러시아, 이란, 중남미 등 1인당 소득이 낮거나 정치적으로 가까운 곳을 위주로 이뤄졌으나, 최근 신에너지차를 필두로 유럽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개선된 상품성을 바탕으로 기존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2016년 중국의 자동차 수출 주요 국가는 이란, 인도, 베트남, 미국, 이집트 등이었으나 2022년에는 벨기에, 칠레, 호주, 영국, 사우디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신에너지차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유럽, 오세아니아 등으로 수출국이 다변화되는 모양새다.

 

중국 자동차의 평균 수출 단가는 2018년 1만 2900달러였으나 2022년에는 1만 6400달러로 약 30% 상승하며 고부가가치화도 지속됐다. 중국 세관에 따르면 벨기에,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중국 전체 전기차 수출의 70%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 승용차 뿐만 아니라 전기버스 등 중대형 상용차 수요에 대응하는 중국 기업의 수출 확대가 이어지는 추이다.

 

국내 중국산 전기 버스의 시장점유율도 50%에 달하며 유럽시장에서도 BYD와 위통버스가 전기버스 시장점유율 30.4%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제조사들의 빈자리를 중국 자동차가 메꾸며 2022년 1~11월 기준 러시아 시장 점유율 31%를 차지했다. 또한 사우디에서는 판매량 상위 10개 브랜드 가운데 3개가 중국 브랜드(지리, 장안, MG)인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ASEAN(2005.7 발효), 칠레(2006.10), 페루(2010.3), 호주(2015.12) 등과 FTA를 체결하고 동 국가로의 수출 확대를 추진 중이다. 한국도 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중동, 중남미 등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과 신규 FTA 조기 체결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주요 수출 대상 국가인 칠레(2004.4), ASEAN(2007.6), EU(2011.7), 페루(2011.8), 호주(2014.12), 영국(2021.1) 등과 FTA를 체결한 상태다.

 

강남훈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중국 전기차 수출의 절반이 테슬라 제품"이라면서, “한국지엠, 르노코리아 등 외투기업의 국내 전기차 생산시설 유치 및 국내 기업의 전기차 시설 투자 확대를 위한 전폭적인 인센티브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미래차로의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미래차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 및 노동 유연성 확보 등 국내 자동차 산업 생산 기반 및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통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 경쟁력을 제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