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최신뉴스

배너

니켈값 오르고 리튬은 내려...한국 배터리 업체 부담↑

URL복사

 

NCM 배터리 주력 한국 업체, LFP 주력 중국 업체 희비 엇갈려

 

리튬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며 중국 배터리 업체의 주요 생산품인 LFP(리튬·인산·철)의 원가 부담은 낮아지고, 니켈 가격이 다시 급등하며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주력으로 삼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18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니켈 가격은 톤 당 2만 8천 625달러로 전월 평균 가격보다 13.3% 올랐다.

 

올해 초 2만 달러 선에서 거래되던 니켈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올해 3월 7일 하루 만에 가격이 66%가 급등해 4만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이후 7월 1만 9천 100달러까지 가격이 내려갔다가 공급 부족 문제로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니켈은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주원료로,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에너지밀도가 개선된다. 이 때문에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높은 원가에도 니켈 함량을 지속해서 늘려왔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광물 가격을 배터리 판매 가격에 연동하고 있어 수익성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렴한 중국산 LFP 배터리와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니켈값이 오르면 NCM 배터리 원가도 높아져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반면 지난달까지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오던 리튬 가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달 15일 기준 킬로그램 당 탄산리튬 가격은 527.5위안으로 전월 평균 가격과 비교하면 7.69% 하락했다. 이에 중국이 주력으로 삼는 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이 더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LFP 배터리는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NCM 배터리와 비교해 안정성이 높지만, NCM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고 주행거리가 짧은 것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LFP 배터리 탑재를 늘리고 있다. 기술 진화로 LFP의 성능이 향상된 데다 가격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