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ope1에서 Scope3까지 이르는 온실가스 배출량 대폭 감소 예고
SK텔레콤(이하 SKT)이 2일인 오늘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목표 검증을 국내 통신사 최초로 통과했다고 밝혔다.
SBTi는 2015년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 등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 연합기구로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검증하고 있다.
전 세계 3500여개의 기업이 SBTi에 참여하며, 국내 통신사가 SBTi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 받은 것은 이번이 최초다. SKT는 SBTi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검증을 통과함으로써 당사가 이행하는 탄소중립 목표가 신뢰성이 있음을 대외적으로 입증했다.
SKT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배출하는 직접 온실가스 배출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뿐 아니라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의 생산, 유통망 운영, 임직원 출퇴근 및 출장, 폐기물 처리까지의 사업 운영을 위한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까지 포함한다.
SKT는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직접 온실가스 배출(Scope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Scope2) 총량을 2020년 대비 2030년까지 47.7% 가량 줄일 계획이다. 또한, 사업 운영을 위한 모든 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Scope3)도 2020년 대비 2030년까지 22.3% 감축할 계획이다.
SKT는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방안을 SBTi에 제출해 검증을 받았다. 향후 재생 에너지 사용, 고효율 통신장비 개발 및 도입, 사옥 냉난방 효율화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갈 예정이다.
SBTi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검증은 최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기업 ESG 활동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공신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ESG 관점에서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주 및 투자자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어 SBTi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SKT는 2020년 통신업계 최초로 RE100에 가입하고, 네트워크 장비 소모 전력을 53% 절감하는 싱글랜 기술을 도입해 탄소배출권을 매년 1만 톤 이상 인정받는 등 적극적인 ESG 경영을 실천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SKT는 2022년 1월 환경 측면의 ESG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최고 등급 ‘리더십 A’를 획득한 바 있고, 2008년부터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상위 10% 기업이 속하는 월드지수에 지속적으로 편입되고 있다.
이준호 SKT ESG추진담당은 “SKT가 대외적으로 천명한 과학기반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ESG경영 활동을 추진해가겠다”라고 밝혔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