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래하면서 무엇보다 주목받는 기술은 인공지능일 것이다. 과거 인간의 지능을 가진 기계를 꿈꾸며 개발 시작된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이 할 수 없는 영역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존재가 됐다. 이런 인공지능은 전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배터리, 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사업에 핵심기술로 평가된다. 이처럼 인공지능의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인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
AI 도입의 걸림돌, 지식 부족 및 인재난
IBM의 발표한 ‘전 세계 기업의 AI 도입 현황’ 결과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응답자는 AI 도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AI 기술, 지식 및 전문성 부족’을 꼽았다.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세계 주요국의 AI 인재 양성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한 이슈 분석에서는 글로벌 AI 고급 인재는 대부분 미국, 중국, 유럽에 집중돼 있으며 한국은 적은 비율에 인재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특히 국내 AI 중소·벤처기업은 AI 인재난을 가장 시급한 문제로 인식하는데, 기술력 한계요인으로 자금보다 인재 부족을 최우선 과제로 꼽을 만큼 인재 양성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최근 윤석열 정부는 2027년까지 세계 3위권 인공지능 국가 도입을 목표로 내세웠다. 정부 차원에서 AI 인재를 위한 전폭적인 지원이 예상되는 만큼, 대학에서는 AI 관련 학과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고, 기업에서도 적극적인 인공지능 양성에 나서고 있다.
AI 인재양성 위한 총출동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이 주도하고 참여하는 민관협력형 인재양성 프로젝트를 통해 2027년까지 디지털 인재 9만 명을 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업이 주도해 대학과 협력해 인재를 양성하는 ‘캠퍼스 SW 아카데미’와 지역 대학과 지자체, 지역 산업계가 연합해 인재를 양성하는 ‘네트워크형 캠퍼스 SW 아카데미’도 새롭게 도입한다.
또한, 산학연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 방안’을 마련하고 산업계가 주축이 되는 민·관 인재양성 협력체계인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를 출범할 계획이라 밝혔다.
국토교통부도 지난 6월 6일, ‘공간정보 특성화대학’에 경희대와 인하대, 전북대 등 3개 대학을 ‘공간정보 특성화대학교’로 신규 지정한다고 밝혔다. 공간정보 특성화 대학은 정부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드론, 스마트시티 등 대학별 특성에 맞는 혁신과제를 선정해 미래 신산업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게 3년간 총 45억 원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AI 반도체 융합인력 양성 사업’을 수행할 대학으로 서울대, 성균관대, 숭실대를 최종 선정했다. AI 반도체 분야의 실무형 인력 양성을 위해 학부 때부터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올해부터 3년간 약 14억 원을 지원한다.
기업의 AI 인재 양성을 위한 행보도 끊이지 않고 있다.
포스코는 ‘청년 AI Big Data 아카데미’에 19기생을 최근 모집했다. 포스코는 고용노동부가 선정한 ‘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로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야의 전문 역량 교육을 통해 미래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포스코ICT도 아주대학교 대학원과 협력해 인공지능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선발된 학생에게는 매월 장학금과 포스코ICT의 AI 전문가와 1대1 멘토링을 지원하고, 각종 기술 교육 및 세미나 참석 기회도 제공해 최종적으로 채용까지 연계한다.
의로 인공지능 플랫폼 전문기업 딥노이드도 부산대의대와 협력해 의료인공지능 인재 양성에 협력한다. 본과 1, 2학년을 대상으로 딥노이드가 개발한 노코딩 AI 연구 플랫폼 ‘딥파이’를 활용한 AI 기반 의료영상 분석실무화 실시간 실습을 실시한다. 과거 수작업에 의존했던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에도 AI를 넓히는 것이다.
KT와 포스텍도 인공지능 인재양성을 위해 맞손을 잡았다. 23학년도 신설되는 KT-POSTECH AI 인재양성 프로그램은 AI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채용연계형 전일제 석사과정이다. 국내외 학사 학위자를 대상으로 올 하반기에 모집을 시작한다.
무엇보다 인재양성이 시급한 이유
한편으론 우후죽순 생겨나는 인공지능 인재 육성 관련 정책 및 제도에 대해 숫자보단 방향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한다. 하지만 디지털 인재가 부족하다고 호소하는 것이 현장의 반응이다.
과기정통부 주최로 열린 ‘민·관 협력 디지털 인재양성 선포식 및 현장 간담회’서 참석한 관련 기업인들은 인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장의 절실함을 쏟아냈다. 인재에 대한 현장의 수요보다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5년간 100만명이 부족할 것이라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족한 인공지능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 기업, 대학 등이 총출동해 힘을 합치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인재양성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