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신년 인터뷰] 폼랩코리아 김진욱 지사장 “국내 시장 진출 2년 만에 두 배 성장...3D프린팅 통합 솔루션으로 제조산업 공략 박차”

URL복사
[무료 등록] 최신 AI MCU 개발 트렌드와 함께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응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5/14, 코트야드 판교호텔 8층)

폼랩은 2011년 MIT 공대 출신들이 모여 3D프린팅 솔루션을 많은 사람이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퀄리티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들자는 취지하에 설립된 회사다. 한국 등 세계 7개국에 지사가 있으며 전 세계의 엔지니어, 디자이너, 제조사 등을 위한 글로벌 전문 3D프린팅 기업이다.

 

현재 7만개 이상 프린터를 출하했으며, 대규모 글로벌 기업에서 소규모 기업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폼랩코리아 김진욱 지사장은 “국내 시장 진출 2년 만에 두 배 성장을 거뒀다”며, “최근 스마트 제조에서 3D프린팅 산업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다양한 산업의 스마트 제조 산업 대상으로 적극 공략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Q. 주요 제품군과 사업 분야는.

 

A. 폼랩의 주요 제품군은 3D프린터와 3D프린팅의 재료가 되는 레진, 그리고 소프트웨어다. 이들 제품은 치과 및 의료 분야, 제조와 엔지니어링, 엔터테인먼트, 주얼리, 오디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의 니즈에 맞춤형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치과 분야에서는 글로벌 점유율이 40%로 1위 리더 업체다.

 

폼랩의 3D프린터는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제품이다. LFS 방식 프린터 Form 3/Form 3L은 정교하고 섬세하며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솔루션이다.

 

특히, Form 3L은 출력 사이즈를 3배 키워 대규모 부품 제작도 가능하다. SLS 프린터는 견고하고 기능성 높은 부품을 제작할 떄 정확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폼랩의 산업용 SLS프린터 Fuse 1이 특히 각광받고 있다. 폼랩은 제조 분야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차별화된 맞춤형 대량 생산 등 디지털 제조 혁신을 위해 다양한 3D프린터를 선보이고 있다.

 

치과 및 의료용 레진 분야에서는 Form 3B/Form 3BL 솔루션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폼랩의 광범위한 레진 포트폴리오는 치기공을 포함한 치과 및 의료, 제조, 엔지니어링, 엔터테인먼트, 쥬얼리, 오디오 등 폭넓은 산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다.

 

Q. 지난해 주요 사업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A. 폼랩코리아는 국내 시장 진출 2년 만에 2배 성장을 거뒀다. 비즈니스 측면에서 올해의 주요 성과는 매출 향상과 채널 에코시스템 확대를 꼽을 수 있다. 기술력 확보와 시장을 확장할 수 있었으며 회사와 제품의 인지도를 높였다.

 

제품 측면에서 성과는 다양한 제품의 업그레이드와 신제품을 출시해 서비스 분야를 다각화한 점이다. 특히, 기존의 레이저를 활용한 SLA 프린터 Form 2를 업그레이드한 LFS 방식의 ‘Form 3’, 대규모 대용량 출력물의 후처리 가공을 자동화한 ‘Form Wash L’ 및 ‘Cure L’, 산업용 SLS 프린터 ‘Fuse 1’을 출시해 다양한 시장 분야의 진출 기반을 다졌다.

 

또한, 레진 분야에서는 내구성이 강하고 생체 적합한 모델 버전 3를 개발해 치과와 의료 분야에 시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해 치과 및 의료용 레진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치과와 의료 분야에서 인지도가 높아져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대해갈 방침이다.

 

글로벌 시장과 비교해 코로나19 영향으로 3D프린팅 시장의 성장이 더딘 것이 안타깝다. 국내 3D프린팅 활용이 완제품 수요보다 모형제작이나 연구·시제품 등의 용도 활용이 높아 시장 형성에 어려운 상황이 아쉽다.

 

Q. 최근 3D프린팅 산업은 어떤 변화가 있으며, 폼랩의 대응은.

 

A. 최근 기업들은 더 이상 시제품 제작과 모형 제작에만 머무르지 않고 맞춤 제작 도구, 치과 모델, 최종 사용 부품 등 3D프린팅 활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디지털 제조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시장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폼랩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재료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치과 및 의료 산업을 위해 주력 프린터인 Form 3의 헬스케어 버전인 Form 3B를 새롭게 개발을 했다. 이와 함께 피부 상호작용 및 기타 생체 적합 니즈를 위해 설계된 12가지 이상의 신소재를 개발했다. 고객들은 비용대비 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호하기에 폼랩은 광범위한 제품, 소프트웨어 및 재료를 개선해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등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Q. 폼랩은 인더스트리4.0과 스마트공장의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최근 많은 제조기업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3D프린팅 기술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중 스마트 제조, 스마트 팩토리 영역은 폼랩의 핵심 영역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뉴발란스나 질레트 등 다양한 제조 기업들이 폼랩의 3D프린터를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폼랩은 스마트 제조 분야의 핵심 기술 구현을 돕는 폼랩 팩토리 솔루션을 출시하고 다양한 글로벌 제조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폼랩 팩토리 솔루션은 3D프린팅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재료 등의 기술을 통합한 솔루션으로 다양한 제조업체들의 소비자 맞춤형 제품 대량 생산의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예를 들어 PreForm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는 원격으로 인쇄물을 시작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정확하고 정교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폼랩의 프린터는 오토데스크와 같은 최신 CAD 도구와 완벽하게 통합되어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폼랩의 광범위한 분야의 프린터 재료는 맞춤형 소비자 부품 제작이 가능해 기업이 효율적으로 개인화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Q. 3D프린팅 산업 분야의 올해 주요 키워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A. 우선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 3D 프린터를 통한 완제품 생산, 즉 End Product 분야의 활용 증가다. 그다음으로는 치과와 의료 분야의 꾸준한 성장이다. 폼랩은 치과와 의료분야에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미래 교육의 주요 아이템으로 부상할 것을 보인다.

 

최근 사용자는 개별화 맞춤화를 요구하고 있어 다품종 소량생산에 의한 비즈니스가 성장하고,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3D프린팅 기업들이 가장 크게 고려할 점은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접근성의 확대다. 전문적이고 한정적인 영역을 벗어나 누구나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도록 서비스의 다양화를 목표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Q. 국내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폼랩만의 경쟁력은.

 

A. 첫 번째는 제품의 차별성이다. 폼랩의 제품은 섬세하고 정교하며 자동화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후처리 가공 자동화 기술은 폼랩만의 차별화된 기술로 각각의 폼랩 레진에 맞게 튜닝된 세팅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해 사용자의 작업을 자동화하고 간소화해 효율을 높인다. 또한 3D프린팅의 재료가 되는 레진의 품질이 우수하다.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레진을 개발해 산업별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두 번째, 비용대비 효율성이 높은 것이다. 3D프린팅 솔루션 중 고가이며 제한적인 기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폼랩은 꾸준한 기술 개발을 통해 가격 대비 효율성이 높고 고객 맞춤형 중심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폭넓은 파트너 생태계다. 산업의 활성화는 전문적인 기술력과 시장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 폼랩은 글로벌 벤처, 국내외의 신생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높이고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Q. 폼랩의 2022년 목표 및 향후 계획은?

 

A. 최근 스마트 제조와 엔지니어링 산업 분야와 치과 및 의료 분야에서 3D프린팅 산업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폼랩코리아도 2022년에는 사용자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시장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치과와 의료 분야에서는 2가지 레진의 식약처 인증 획득을 통해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올해 출시한 다양한 3D프린터를 개인화된 맞춤형 제품의 대규모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 등 다양한 산업의 스마트 제조 산업 대상으로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