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디지털라이프

배너

눈앞에 날파리가...비문증, 치료해야 하나?

URL복사
[무료 웨비나] 빠르고 직관적인 강력한 아날로그 시뮬레이션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5/23)

자고 일어났는데 갑자기 눈앞에 실 같은 선이 떠다니거나, 먼지 같은 부유물이 보인다면 비문증(飛蚊症)을 의심해보는 게 좋다. 이처럼 부유물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방해해 뿌옇게 그림자가 져 보이는 것을 비문증이라고 한다. 증상이 마치 날파리처럼 보인다고 해서 ‘날파리증’으로도 불린다.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보통 파란 하늘이나 흰 벽면처럼 밝은 곳을 바라볼 때 실타래, 먼지, 날파리, 얼룩, 점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기면 그 물질들이 따라서 움직이고 경우에 따라 눈앞에 번쩍이는 섬광이 보이기도 한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주로 40대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50~60대에 나타나기 쉬운데, 장시간의 전자기기 사용이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 영양 결핍과 같은 원인에 의해 눈의 근시화 및 노화가 빨라지면서 20~30대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들은 고도근시, 유리체 출혈, 염증질환, 망막열공 및 망막박리 등으로 발생 요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눈의 노화로 인해 유리체가 변성되어 나타난다고 전했다.


수정체와 망막 사이 공간은 결체조직과 수분으로 이루어진 반유동성의 유리체로 채워져 있다. 나이가 들면 이 유리체의 점도가 낮아지면서 그 구성비가 변하는 ‘유리체 액화’ 현상을 거치게 된다. 유리체가 액체로 변하면서 남은 젤리 부분은 점차 수축되어 시신경과 붙어 있던 부위가 떨어져 나가기도 하는데 이를 후유리체박리라고 한다. 이렇게 떨어진 부위가 혼탁해져 빛을 가리면서 환자의 눈에 검은 점, 선, 덩어리가 보인다고 이들 전문의는 설명한다.


이들은 비문증의 경우, 질병 자체나 그 원인을 치료하게 된다고 말한다. 대개의 심하지 않으면 6개월 정도 경과를 관찰한 후 시력 및 시야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한 특별한 처치없이 합병증 발생 유무를 관찰한다. 그러나 심한 시력 및 시야장애를 일으키는 증상이 지속되는 유리체 혼탁의 경우 종류에 따라 엔디야그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체혼탁 제거술 혹은 유리체전절제술을 통해 비문증 자체를 제거한다고 전한다.


또 갑작스럽게 후유리체 박리와 함께 망막이나 유리체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후유리체가 박리되면서 망막에 구멍이 생기거나, 염증질환으로 인해 비문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유리체전절제술을 받게 된다. 


미소아이안과 박진형 원장(위례점)은 “이 증상은 백내장 수술 후에 더 심하게 느껴지게 되는데, 평소 비문증이 있어도 수정체 혼탁으로 인해 잘 보이지 않다가 수술 후 시야가 깨끗해지면서 검은 점이나 선들이 뚜렷하게 보여지거나, 혹은 수술로 후유리체박리가 유도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간혹 생리적인 증상이 병적 증상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어 증상이 나타났다면 지속적으로 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면서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광각안저촬영검사 및 산동검사를 포함한 정밀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